목차
1. 이슬람 聖月, 라마단 (Ramadan)
(1) 라마단의 어원
(2) 이슬람의 5대 의무
2. 라마단 금식, Saum
(1) 라마단의 시작과 끝
(2) 라마단 금식
(3) 3일간의 축제, 이드알피트르(Eid-al-Fitr)
3. 라마단의 유래
(1) 유대교
(2) 절제와 믿음
4. 라마단의 이면
(1) 폭식
(2) 라마단 특수, 과소비
(3) 라마단 증후군
(4) 부부갈등, 이혼율 상승
(5) 테러, 역(逆)라마단 기도 운동
< 참고자료 >
(1) 라마단의 어원
(2) 이슬람의 5대 의무
2. 라마단 금식, Saum
(1) 라마단의 시작과 끝
(2) 라마단 금식
(3) 3일간의 축제, 이드알피트르(Eid-al-Fitr)
3. 라마단의 유래
(1) 유대교
(2) 절제와 믿음
4. 라마단의 이면
(1) 폭식
(2) 라마단 특수, 과소비
(3) 라마단 증후군
(4) 부부갈등, 이혼율 상승
(5) 테러, 역(逆)라마단 기도 운동
< 참고자료 >
본문내용
는 사람들이 급증하고 있다. 일반 식당 또한 엄청난 호황을 누리는데, 물론 낮 동안은 음식을 팔지 않으나 저녁에는 사람들이 배고픔을 참고 요리하기가 힘들어서 대부분 외식을 하기 때문에 저녁이 되면 식당에 발 딛을 틈이 없을 정도로 모이게 된다. 이 기간을 '라마단 특수'라고 한다.
라마단 명절 특수를 틈타 생필품 가격도 오른다. 아울러 백화점이나 대형 매장들은 라마단을 맞이해 특별할인 기간이다. 평소보다 더 많은 매출이 발생하기에 즐거운 비명이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라마단만 같아라! 호재를 부른다. 매출이 증가하는 것은 낮에는 금식이지만 밤에는 풍성한 잔치가 벌어지기 때문이다.
라마단을 축하하는 풍습도 바뀌고 있다. ‘라마단 카드’는 이제 어엿한 문화상품이 됐다. 인터넷 공간에선 ‘e카드’가 유행한다. 집집마다 상점마다 형형색색의 라마단 장식등 ‘파누스’가 밤이 되면 더욱 축제 분위기를 돋운다. 캐럴만 없다 뿐이지, 기독교의 크리스마스를 연상시키기에 충분하다. 신문과 방송, 각종 전단지마다 라마단 특수를 노린 광고가 넘쳐난다. 라마단 특수는 일년 매출액의 30~40%를 차지한다. 라마단이 “과식과 쇼핑의 시간으로 전락했다”는 탄식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백화점의 라마단 특별 할인> <라마단 장식등 ‘파누스’>
(3) 라마단 증후군
이슬람권에서 라마단은 그저 종교적 행사가 아니다. 종교 활동의 범위를 넘어 일상의 시선으로 라마단을 들여다보면, ‘라마단 증후군’을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라마단 한 달은 낮에도 밤에도 분주하게 지내는 기간이다. 공식적인 금식이 진행되는 낮 시간 동안에도 사회활동이 중단되지 않는다. 낮 시간 동안 사회활동을 하고 밤 시간 동안 먹고 마시다 보니, 라마단 기간엔 심신이 지쳐 있는 무슬림들을 쉽게 만날 수 있다. 한 달 동안 하루를 쪼개 ‘2교대 근무’를 하는 셈이기 때문이다.
그들이 정작 힘들어하는 것은 새벽에 아침을 먹기 위해서는 4시경에 일어나 아침을 준비하여 먹다 보니 수면이 항상 부족한 것이고 또 하나는 낮 동안에는 담배를 피우는 것도 무더운 날씨에 물 한 모금 마시는 것도 금하는 것 때문이다. 수업 시간에도 조는 학생들이 태반이지만 뭐라 할 것이 못 된다. 라마단 기간에는 으레 학습능률이 떨어진다. 이 기간에는 아예 시험도 치르지 않는다. 어차피 학생들이 공부할 분위기가 아니기 때문이다.
라마단 증후군은 우리의 ‘명절 증후군’보다 심각하다. 이와 관련한 연구 결과들을 보진 못했지만, 라마단 증후군으로 미뤄 짐작할 만한 사례들은 주변에 널려 있다. ‘용어’는 없어도 ‘현상’은 존재하기 때문이다. 주부, 남편, 노부모, 미혼남녀 등 처지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이른바 ‘라마단 증후군’을 겪는 경우가 허다하다. 음식이 얹힌 것 같다(소화불량), 이유 없이 짜증이 난다, 머리가 아프다(긴장성 두통), 가슴이 답답하다, 불안하다, 팔다리가 쑤시고 아프다, 우울하다, 잠을 이루기 어렵다(불면증). 심리적 부담으로 인한 다양한 고통이 표출된다.
(4) 부부갈등, 이혼율 상승
이슬람 사회도 변하고 있지만 여전히 남성중심의 전통문화가 주를 이루고 있다. 불평등한 남녀관계에 따른 불만이 커지고, 과다한 일거리로 인한 스트레스, 일가친척들이 모이는 번잡스러움, 비용 부담 등으로 인한 어려움도 어렵지 않게 목격하고 있다. 무슬림 주부들이 라마단 증후군을 겪는 가장 큰 이유는 라마단 한 달 동안 낮과 밤을 가리지 않고 이어지는 음식 장만을 꼽을 수 있다. 가부장제적 전통은 남자들이 부엌일에 끼어드는 것을 곱게 봐주지 않는다. 결국 라마단 기간 내내 부엌은 주부들만의 몫이다. 라마단 증후군을 겪는 주부들은 운명이려니 하고 그냥 참거나 시부모 없을 때 남편과 다투기도 하고, 아이들에게 화풀이를 하거나 폭식을 하는 등의 반응을 하기도 한다.
반면 남성들은 주로 선물 장만이나 용돈 주기와 같은 경제적 부담으로 골머리를 앓는다. 라마단 기간에 일가친척들이 오면 아이들에게 선물이나 용돈을 주는 풍습이 있기 때문이다. ‘체면 문화’가 여전한 탓에 빈손으로 돌려보낼 수 없으니, 라마단 기간 내내 경제적 부담이 크다.
(5) 테러, 역(逆)라마단 기도 운동
금세기 들어 무차별 살상을 일삼는 ‘알 카에다’ 등 국제테러조직이 라마단 기간 중 대중이 운집하는 점을 악용하여 자살 폭탄테러 등을 수시로 자행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이들은 라마단 기간 중 자신들의 과격행동이 순교라는 이름으로 면죄 받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동 기간 중 중동지역에서 테러발생이 우려된다고 한다.
미 911테러로 인해 이슬람주의자들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면서 기독교에서는 무슬림 선교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져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선교 단체에서 시작된 역라마단 기도운동이 각 교회로 확산되어 가고 있다. 무슬림들이 맹목적일 정도로 절대적인 신앙을 전통으로 지켜오고 있는 가운데 1991년 세계 선교단체 지도자들의 모임에서부터 역으로 이슬람을 위해서 연합 기도가 시작됐고, 현재 12년째 접어든 역라마단 기도운동은 무슬림 선교의 사명 위에 더욱 활성화되고 있다.
< 참고자료 >
이슬람의 두 얼굴 / 김동문 / 예영커뮤니케이션 / 2001
이슬람 / 지아우딘 사르다르 / 김영사 / 2002
아랍문화의 이해 / 공일주 / 대한교과서 / 1996
한겨레21 2006-11-03 기사인용
국민일보 2006-11-06 기사인용
http://www.turkeypeople.com/ramadan.asp / 터키피플
http://www.islammission.org / 이슬람선교
http://www.tiic.go.kr / 테러정보통합센터
*목 차
1. 이슬람 聖月, 라마단 (Ramadan)
(1) 라마단의 어원
(2) 이슬람의 5대 의무
2. 라마단 금식, Saum
(1) 라마단의 시작과 끝
(2) 라마단 금식
(3) 3일간의 축제, 이드알피트르(Eid-al-Fitr)
3. 라마단의 유래
(1) 유대교
(2) 절제와 믿음
4. 라마단의 이면
(1) 폭식
(2) 라마단 특수, 과소비
(3) 라마단 증후군
(4) 부부갈등, 이혼율 상승
(5) 테러, 역(逆)라마단 기도 운동
< 참고자료 >
라마단 명절 특수를 틈타 생필품 가격도 오른다. 아울러 백화점이나 대형 매장들은 라마단을 맞이해 특별할인 기간이다. 평소보다 더 많은 매출이 발생하기에 즐거운 비명이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라마단만 같아라! 호재를 부른다. 매출이 증가하는 것은 낮에는 금식이지만 밤에는 풍성한 잔치가 벌어지기 때문이다.
라마단을 축하하는 풍습도 바뀌고 있다. ‘라마단 카드’는 이제 어엿한 문화상품이 됐다. 인터넷 공간에선 ‘e카드’가 유행한다. 집집마다 상점마다 형형색색의 라마단 장식등 ‘파누스’가 밤이 되면 더욱 축제 분위기를 돋운다. 캐럴만 없다 뿐이지, 기독교의 크리스마스를 연상시키기에 충분하다. 신문과 방송, 각종 전단지마다 라마단 특수를 노린 광고가 넘쳐난다. 라마단 특수는 일년 매출액의 30~40%를 차지한다. 라마단이 “과식과 쇼핑의 시간으로 전락했다”는 탄식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백화점의 라마단 특별 할인> <라마단 장식등 ‘파누스’>
(3) 라마단 증후군
이슬람권에서 라마단은 그저 종교적 행사가 아니다. 종교 활동의 범위를 넘어 일상의 시선으로 라마단을 들여다보면, ‘라마단 증후군’을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라마단 한 달은 낮에도 밤에도 분주하게 지내는 기간이다. 공식적인 금식이 진행되는 낮 시간 동안에도 사회활동이 중단되지 않는다. 낮 시간 동안 사회활동을 하고 밤 시간 동안 먹고 마시다 보니, 라마단 기간엔 심신이 지쳐 있는 무슬림들을 쉽게 만날 수 있다. 한 달 동안 하루를 쪼개 ‘2교대 근무’를 하는 셈이기 때문이다.
그들이 정작 힘들어하는 것은 새벽에 아침을 먹기 위해서는 4시경에 일어나 아침을 준비하여 먹다 보니 수면이 항상 부족한 것이고 또 하나는 낮 동안에는 담배를 피우는 것도 무더운 날씨에 물 한 모금 마시는 것도 금하는 것 때문이다. 수업 시간에도 조는 학생들이 태반이지만 뭐라 할 것이 못 된다. 라마단 기간에는 으레 학습능률이 떨어진다. 이 기간에는 아예 시험도 치르지 않는다. 어차피 학생들이 공부할 분위기가 아니기 때문이다.
라마단 증후군은 우리의 ‘명절 증후군’보다 심각하다. 이와 관련한 연구 결과들을 보진 못했지만, 라마단 증후군으로 미뤄 짐작할 만한 사례들은 주변에 널려 있다. ‘용어’는 없어도 ‘현상’은 존재하기 때문이다. 주부, 남편, 노부모, 미혼남녀 등 처지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이른바 ‘라마단 증후군’을 겪는 경우가 허다하다. 음식이 얹힌 것 같다(소화불량), 이유 없이 짜증이 난다, 머리가 아프다(긴장성 두통), 가슴이 답답하다, 불안하다, 팔다리가 쑤시고 아프다, 우울하다, 잠을 이루기 어렵다(불면증). 심리적 부담으로 인한 다양한 고통이 표출된다.
(4) 부부갈등, 이혼율 상승
이슬람 사회도 변하고 있지만 여전히 남성중심의 전통문화가 주를 이루고 있다. 불평등한 남녀관계에 따른 불만이 커지고, 과다한 일거리로 인한 스트레스, 일가친척들이 모이는 번잡스러움, 비용 부담 등으로 인한 어려움도 어렵지 않게 목격하고 있다. 무슬림 주부들이 라마단 증후군을 겪는 가장 큰 이유는 라마단 한 달 동안 낮과 밤을 가리지 않고 이어지는 음식 장만을 꼽을 수 있다. 가부장제적 전통은 남자들이 부엌일에 끼어드는 것을 곱게 봐주지 않는다. 결국 라마단 기간 내내 부엌은 주부들만의 몫이다. 라마단 증후군을 겪는 주부들은 운명이려니 하고 그냥 참거나 시부모 없을 때 남편과 다투기도 하고, 아이들에게 화풀이를 하거나 폭식을 하는 등의 반응을 하기도 한다.
반면 남성들은 주로 선물 장만이나 용돈 주기와 같은 경제적 부담으로 골머리를 앓는다. 라마단 기간에 일가친척들이 오면 아이들에게 선물이나 용돈을 주는 풍습이 있기 때문이다. ‘체면 문화’가 여전한 탓에 빈손으로 돌려보낼 수 없으니, 라마단 기간 내내 경제적 부담이 크다.
(5) 테러, 역(逆)라마단 기도 운동
금세기 들어 무차별 살상을 일삼는 ‘알 카에다’ 등 국제테러조직이 라마단 기간 중 대중이 운집하는 점을 악용하여 자살 폭탄테러 등을 수시로 자행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이들은 라마단 기간 중 자신들의 과격행동이 순교라는 이름으로 면죄 받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동 기간 중 중동지역에서 테러발생이 우려된다고 한다.
미 911테러로 인해 이슬람주의자들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면서 기독교에서는 무슬림 선교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져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선교 단체에서 시작된 역라마단 기도운동이 각 교회로 확산되어 가고 있다. 무슬림들이 맹목적일 정도로 절대적인 신앙을 전통으로 지켜오고 있는 가운데 1991년 세계 선교단체 지도자들의 모임에서부터 역으로 이슬람을 위해서 연합 기도가 시작됐고, 현재 12년째 접어든 역라마단 기도운동은 무슬림 선교의 사명 위에 더욱 활성화되고 있다.
< 참고자료 >
이슬람의 두 얼굴 / 김동문 / 예영커뮤니케이션 / 2001
이슬람 / 지아우딘 사르다르 / 김영사 / 2002
아랍문화의 이해 / 공일주 / 대한교과서 / 1996
한겨레21 2006-11-03 기사인용
국민일보 2006-11-06 기사인용
http://www.turkeypeople.com/ramadan.asp / 터키피플
http://www.islammission.org / 이슬람선교
http://www.tiic.go.kr / 테러정보통합센터
*목 차
1. 이슬람 聖月, 라마단 (Ramadan)
(1) 라마단의 어원
(2) 이슬람의 5대 의무
2. 라마단 금식, Saum
(1) 라마단의 시작과 끝
(2) 라마단 금식
(3) 3일간의 축제, 이드알피트르(Eid-al-Fitr)
3. 라마단의 유래
(1) 유대교
(2) 절제와 믿음
4. 라마단의 이면
(1) 폭식
(2) 라마단 특수, 과소비
(3) 라마단 증후군
(4) 부부갈등, 이혼율 상승
(5) 테러, 역(逆)라마단 기도 운동
< 참고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