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의 일본전파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한국문화의 일본전파


1. 선사시대
2. 삼국시대
3. 고려시대
4. 조선시대

본문내용

림과 글씨를 남기고 돌아오는 경우도 많았다.
세종 때 일본에 건너간 이수문과 문청은 일본 화단에 큰 영향을 주었다.
교토 상국사의 승려 주문은 조선의 화풍을 일본에 전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ㄴ. 임란
도요토미 히데요시 막부시대에 동방의 주자라고 알려진 이황의 성리학이 일본에 전해져 큰 영향을 주었다.
ㄷ. 임란 후
에도시대 (도쿠가와 이에야스) 도자기공 이삼평, 심당길의 전수로 일본 도자기 문화의 큰 발달을 보았는데 이들은 일본의 도조(陶祖)로 불린다.
일본국왕은 조선의 에조판서나 참의에게 약 60여 차례에 걸쳐 친서를 보내면서 사신파견을 요청했으나 조선은 약 12회에 걸쳐 통신사를 파견하였다.
참고문헌
- 국정교과서, 국사편찬위원회
- 다시 찾는 우리역사, 한영우
- 통합한국사, 정재준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7.09.19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86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