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문화의 일본전파
1. 선사시대
2. 삼국시대
3. 고려시대
4. 조선시대
1. 선사시대
2. 삼국시대
3. 고려시대
4. 조선시대
본문내용
림과 글씨를 남기고 돌아오는 경우도 많았다.
세종 때 일본에 건너간 이수문과 문청은 일본 화단에 큰 영향을 주었다.
교토 상국사의 승려 주문은 조선의 화풍을 일본에 전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ㄴ. 임란
도요토미 히데요시 막부시대에 동방의 주자라고 알려진 이황의 성리학이 일본에 전해져 큰 영향을 주었다.
ㄷ. 임란 후
에도시대 (도쿠가와 이에야스) 도자기공 이삼평, 심당길의 전수로 일본 도자기 문화의 큰 발달을 보았는데 이들은 일본의 도조(陶祖)로 불린다.
일본국왕은 조선의 에조판서나 참의에게 약 60여 차례에 걸쳐 친서를 보내면서 사신파견을 요청했으나 조선은 약 12회에 걸쳐 통신사를 파견하였다.
참고문헌
- 국정교과서, 국사편찬위원회
- 다시 찾는 우리역사, 한영우
- 통합한국사, 정재준
세종 때 일본에 건너간 이수문과 문청은 일본 화단에 큰 영향을 주었다.
교토 상국사의 승려 주문은 조선의 화풍을 일본에 전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ㄴ. 임란
도요토미 히데요시 막부시대에 동방의 주자라고 알려진 이황의 성리학이 일본에 전해져 큰 영향을 주었다.
ㄷ. 임란 후
에도시대 (도쿠가와 이에야스) 도자기공 이삼평, 심당길의 전수로 일본 도자기 문화의 큰 발달을 보았는데 이들은 일본의 도조(陶祖)로 불린다.
일본국왕은 조선의 에조판서나 참의에게 약 60여 차례에 걸쳐 친서를 보내면서 사신파견을 요청했으나 조선은 약 12회에 걸쳐 통신사를 파견하였다.
참고문헌
- 국정교과서, 국사편찬위원회
- 다시 찾는 우리역사, 한영우
- 통합한국사, 정재준
추천자료
(한국문화사) 한국 서민의 삶과 역사
[한국문화마케팅]한류열풍과 국내기업의 문화마케팅 전략방향
영미문화와 한국문화 비교
태국인의 한국문화 접촉과 한국의 국가이미지에 대한 설문
[문화연구입문A+] 한국문화 여러 사례를 통해 살펴본 혼종성
중국문화와 한국문화의 차이점과 유사점
[한국문화사] 담배의 역사 - 담배, 담배의 원산지와 전래과정, 담배의 어원, 담배문화, 하멜...
[한국문화사] <차 (茶)> 우리나라 차의 역사 - 우리나라 차의 전래(인도차 전래설, 중국차종 ...
2014년 2학기 한국문화자원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체험한 문화관광 긍정적 부정적측면)
[한국문화유산] 문화유산 탐방보고서 - 동래 복천 박물관
2016년 2학기 한국문화자원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체험한 문화자원의 역사적 배경)
[한국문화교육론] 한국 드라마가 해외에서 인기를 얻게 된 원인을 살펴보고, 한류의 긍정적...
2017년 2학기 한국문화자원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B형(문화자원 직접체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