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화왕계」와 「공방전」의 문학적 가치와 이해
1) 「화왕계」의 감상과 이해
2) 「공방전」의 줄거리와 이해
3) 「공방전」의 주제적 의미
2. 가전체 문학에 있어 「화왕계」의 의미 고찰
3. 고려시대 가전체 문학과 「공방전」의 가전체적 특징
1) 고려시대 가전체 문학의 배경과 일반적인 특징
2) 「공방전」에 나타난 가전체 문학의 특징
4. 「화왕계」와 「공방전」의 공통점과 차이점 고찰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Ⅱ. 본 론
1. 「화왕계」와 「공방전」의 문학적 가치와 이해
1) 「화왕계」의 감상과 이해
2) 「공방전」의 줄거리와 이해
3) 「공방전」의 주제적 의미
2. 가전체 문학에 있어 「화왕계」의 의미 고찰
3. 고려시대 가전체 문학과 「공방전」의 가전체적 특징
1) 고려시대 가전체 문학의 배경과 일반적인 특징
2) 「공방전」에 나타난 가전체 문학의 특징
4. 「화왕계」와 「공방전」의 공통점과 차이점 고찰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직한 자를 가까이 해야 함을 강조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孔方傳」은 擬人化를 바탕으로 經世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다.
創作 屑話인 「花王戒」우리나라 최초의 창작설화로, 高麗時代 가전체에 영향을 준 작품으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孔方傳」은 교훈을 目的으로 사람의 일생을 압축 . 서술한 교술문학으로, 물건을 擬人化하여 경계심을 일깨워 줄 目的으로 지어졌으며, 소설에 한 발짝 접근된 형태로 평가 해 볼 수 있다.
Ⅲ. 결 론
지금까지 「花王戒」와 「孔方傳」의 特徵을 살펴보고, 각 作品에 대한 감상 및 이해에 대하여 자세히 敍述하여 보았다.
「花王戒」는 우리나라 최초의 創作 屑話로 꽃의 擬人化를 통하여 假傳 文學에 近接한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新羅 神文王 때의 薛聰이 한문으로 지은 寓言的인 단편 散文으로, 어느 날 무슨 신기한 이야기를 하라는 神文王의 명을 받고 들려 준 이야기라고 하는데, 꽃을 擬人化하여 임금을 忠告한 諷刺的인 내용이다. 「花王戒」는 우리 나라 최초의 소설적인 기록이며, 後代의 가전체 소설은 이 글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즉, 이 작품은 꽃을 擬人化하여 쓴 서사문학 作品으로는 최초의 것이다. 이처럼 사물을 擬人化 한 작품을 만드는 傳統은 高麗 時代의 가전 문학으로 이어지고, 朝鮮時代에 이르면 심성을 擬人化한 소설로, 動物을 擬人化한 소설 등으로 발전적인 變貌를 하게 된다. 朝鮮時代에 나온 꽃을 擬人化한 대표적인 소설로는 '花史'를 들 수 있다. 또한 「花王戒」는 식물을 擬人化해서 사람의 처신을 말함으로써 文學的 表現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여 後代에 깊은 영향을 끼쳤으며, 擬人 屑話로서 文學的인 가치가 있다.
「孔方傳」은 돈을 擬人化하여 사회를 풍자한 가전체 문학으로 「麴醇傳」과 함께 高麗時代의 대표적인 가전체 문학으로 꼽히고 있는 작품이다.
「孔方傳」은 서사 양식으로서의 '傳'의 특성과 우회적인 요건을 동시에 갖추고 있다. 돈을 擬人化시켜서 인간적인 品格을 부여하는 方式은 일종의 우의적인 表現법에 해당된다. 돈의 속성에 대한 批判적인 認識과 각성을 의도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전'의 事實性과 우화의 倫理성을 결합시킨 것이 바로 이 작품의 特徵이다. 高麗時代의 가假傳體 文學은 相對的으로 화려한 지위를 누려왔던 시문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엉성했던 散文文學 作品중 그래도 文學的 諧謔과 풍자성이 짙은 創作物이고, 後代까지 連綿하게 이어져 발전한 文學 형태라는 점에 焦點을 맞춘다면 좀더 그 文學적 價値의 비중을 강화할 수 있을 만큼 그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겠다.
Ⅳ. 참고문헌
1. 고대전기 한문학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이혜순, 200.4.
2. 고려시대 가전체 문학에 나타난 풍자성연구, 정병한, 단국대학교석사논문, 1988.
4. 이규보연구, 한국문학연구총서, 새문사, 1986.
5. 한국고전소설연구, 김기동, 교육연구사, 1985.
6. 고려후기 가전체 연구, 이계원, 단국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84.
7. 고려시대 가전체 문학연구, 고경식, 단국대학교박사학위논문, 1990.
創作 屑話인 「花王戒」우리나라 최초의 창작설화로, 高麗時代 가전체에 영향을 준 작품으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孔方傳」은 교훈을 目的으로 사람의 일생을 압축 . 서술한 교술문학으로, 물건을 擬人化하여 경계심을 일깨워 줄 目的으로 지어졌으며, 소설에 한 발짝 접근된 형태로 평가 해 볼 수 있다.
Ⅲ. 결 론
지금까지 「花王戒」와 「孔方傳」의 特徵을 살펴보고, 각 作品에 대한 감상 및 이해에 대하여 자세히 敍述하여 보았다.
「花王戒」는 우리나라 최초의 創作 屑話로 꽃의 擬人化를 통하여 假傳 文學에 近接한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新羅 神文王 때의 薛聰이 한문으로 지은 寓言的인 단편 散文으로, 어느 날 무슨 신기한 이야기를 하라는 神文王의 명을 받고 들려 준 이야기라고 하는데, 꽃을 擬人化하여 임금을 忠告한 諷刺的인 내용이다. 「花王戒」는 우리 나라 최초의 소설적인 기록이며, 後代의 가전체 소설은 이 글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즉, 이 작품은 꽃을 擬人化하여 쓴 서사문학 作品으로는 최초의 것이다. 이처럼 사물을 擬人化 한 작품을 만드는 傳統은 高麗 時代의 가전 문학으로 이어지고, 朝鮮時代에 이르면 심성을 擬人化한 소설로, 動物을 擬人化한 소설 등으로 발전적인 變貌를 하게 된다. 朝鮮時代에 나온 꽃을 擬人化한 대표적인 소설로는 '花史'를 들 수 있다. 또한 「花王戒」는 식물을 擬人化해서 사람의 처신을 말함으로써 文學的 表現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여 後代에 깊은 영향을 끼쳤으며, 擬人 屑話로서 文學的인 가치가 있다.
「孔方傳」은 돈을 擬人化하여 사회를 풍자한 가전체 문학으로 「麴醇傳」과 함께 高麗時代의 대표적인 가전체 문학으로 꼽히고 있는 작품이다.
「孔方傳」은 서사 양식으로서의 '傳'의 특성과 우회적인 요건을 동시에 갖추고 있다. 돈을 擬人化시켜서 인간적인 品格을 부여하는 方式은 일종의 우의적인 表現법에 해당된다. 돈의 속성에 대한 批判적인 認識과 각성을 의도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전'의 事實性과 우화의 倫理성을 결합시킨 것이 바로 이 작품의 特徵이다. 高麗時代의 가假傳體 文學은 相對的으로 화려한 지위를 누려왔던 시문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엉성했던 散文文學 作品중 그래도 文學的 諧謔과 풍자성이 짙은 創作物이고, 後代까지 連綿하게 이어져 발전한 文學 형태라는 점에 焦點을 맞춘다면 좀더 그 文學적 價値의 비중을 강화할 수 있을 만큼 그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겠다.
Ⅳ. 참고문헌
1. 고대전기 한문학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이혜순, 200.4.
2. 고려시대 가전체 문학에 나타난 풍자성연구, 정병한, 단국대학교석사논문, 1988.
4. 이규보연구, 한국문학연구총서, 새문사, 1986.
5. 한국고전소설연구, 김기동, 교육연구사, 1985.
6. 고려후기 가전체 연구, 이계원, 단국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84.
7. 고려시대 가전체 문학연구, 고경식, 단국대학교박사학위논문,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