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부의 수수케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터부란?

<터부를 이해하기 위한 열쇠>

<음식이야기>

<음식터부>

<섹스 이야기>

<근친상간 터부>

본문내용

지금까지도 토템에 재현하고 있다는 주장또한 무리가 있다.
*사회학적 차원
-가족관계설
근친상간의 터부가 없었더라면 각자의 Identity가 상실된 무정부적인 카오스 상태의 출현을 저 지하기 위해 만들어 진 것이라는 주장이 이 학파의 일관된 주장이다.
마리노프스키는 '가족교육의 최초의 장이 될 근친상간은 나이의 구별을 혼란시키고 세대를 뒤 죽박죽으로 만들고 애정을 해체하고 모든 역할을 난폭하게 뒤집게 된다. 어떠한 사회도 이러한 상황에서는 존재할 수가 없을 것이다' 라고 단언하고 있다.
하지만 그가 주장한 가족질서의 응집과 질서에서 터부의 원인을 추구한 가족관계설은 인도 의 토다족이나,인도의 바족등에서와 같이 근친상간이 행해진 이들 사회에서는 가족질서의 붕괴나 Identity의 혼란은 발생하지 않았다.
첫째,가족집단을 다른 가족집단과의 개방된 사회관계로 보지 않았다는점.
둘째,폐쇄적인 단위 집단 내부에서만 문제를 주시한다는 점.
셋째,생물학적인 1차적 유대에만 착안하고 사회적인 2차적 유대를 무시한점이 이 가족관계설의 한계이다.
-사회시스템적인 관계론
레베 스트로스는 생물학적인 근친상간의 내적 관계 문제만을 다룬 종래의 입장과는 반대로 자 신의 딸이나 자매를 타인에게 주는 조건으로 아내를 외부에서 영입해 옴으로서 근친과의 성교 접이 금지가 되었다고 주장했다.
개인은 근친과의 관계속에서 뿐아니라 자기집단의 다른 구성원과의 관계, 더 나아가서는 다른 집단구성원들과의 관계속에서도 고찰되어야 한다. 근친혼의 금지는 어머니,자매,딸을 아내로 맞 이하는 것을 금지하는 규제라기 보다는 오히려 이들을 타인에게 줄 것을 강요하는 뛰어난 증여 의 규제라는 것이다. 레비 스트로스는 생물학적 의미에서의 이미 특정한 요구를 강요해오는 문 화속에 놓여 있다 하더라도,근친상간 문제 해결방법은 가족내부에 있는 것이 아니다. 문화적 텍 스트는 추상적인 상황속에 있는 것이다.그것은 생물학적 가족은 이미 단독으로 존재할수 없기 때문에 타집단 가족과의 혼인에 의존 할 수밖에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인류학자인 폭스는 근친상간 금기는 성에 관한 규칙이고 외혼제는 혼인에 관한 규칙이 며 이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또 인류학자 구디는 타집단과의 관계로부터 근친 상간 터부가 생겨 났다는 주장은 구성원인 형제나 자매의 성적 금기에는 일면 타당성이 있지만 집단의 구성원인 아내와의 성 관계를 금하는 습관을 쉽게 설명할수 없다고 말했다.

키워드

터부,   정의,   기원,   어원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9.20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87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