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금기의 정의
2. 금기의 사회적 기능
3. 대부분의 금기가 사라진 현대사회
4. 설화에서 나타나는 금기의 조건
5. 아동 문학에서의 금기의 예
● 그림동화 <라푼젤>
● 그림동화 <피처의 새 Fitchters Vogel>
● 그림 동화 <투루데여사 Frau Trude>
● 그림 동화 <마리아의 아이>
● 외국동화 <푸른 수염>
● 전래동화 <선녀와 나무꾼>
● 전래동화〈구렁덩덩 신선비〉
● 전래동화 <용소와 며느리 바위>
● 전래동화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Ⅱ. 본론
1. 금기의 정의
2. 금기의 사회적 기능
3. 대부분의 금기가 사라진 현대사회
4. 설화에서 나타나는 금기의 조건
5. 아동 문학에서의 금기의 예
● 그림동화 <라푼젤>
● 그림동화 <피처의 새 Fitchters Vogel>
● 그림 동화 <투루데여사 Frau Trude>
● 그림 동화 <마리아의 아이>
● 외국동화 <푸른 수염>
● 전래동화 <선녀와 나무꾼>
● 전래동화〈구렁덩덩 신선비〉
● 전래동화 <용소와 며느리 바위>
● 전래동화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본문내용
데 까치, 멧돼지, 빨래하는 아주머니, 새보는 아이 등에게 길을 물어 신선비의 거처를 알아낸다. 신부는 신선비가 달을 보고 자기를 그리워함을 알고 노래로 화답하여 재회한다. 이미 신선비에게는 후처가 있어 신선비는 전처와 후처에게 물 긷기, 호랑이 눈썹 뽑아오기 등의 시험을 부과한다. 여기서 전처가 승리하고 신선비는 전처와 재결합한다.
-전래동화 <용소와 며느리 바위>
인색한 장자가 시주를 부탁한 도승을 괄시하여 쌀 대신에 쇠똥을 주어 내보내는데 이를 본 며느리가 대신 시주를 한다. 도승은 며느리에게 큰 재앙이 올테니 어서 도망가라고 말해 장자는 재앙을 맞지만, 착한 며느리는 도승의 안내로 재앙을 피하는데 도중 뒤를 돌아보지 말라는 금기를 어겨서 그만 화석이 되고 말았다
'용소와 며느리 바위'에서 금기(禁忌)의 기능은 첫 번째 통과 의례이다. 불타산을 향해 도망가는 며느리는 지상적 세계에서 초월적 세계로 나아가는 것이며, 이 때 금기는 초월성을 얻기까지 일종의 통과 의례로서의 시련과 고난인 것이다. 화석이 된 며느리는 결국 시련과 고난을 통과하지 못한 존재가 된다.
두 번째, 천기누설의 예방책이다. 이러한 금기에는 천기가 행해지는 장면을 보지 말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금기를 어기고 용소가 생성되는 현장을 목격한 며느리는 천기를 알게 된 죄로 돌이 되고 만다.
마지막으로 인간의 한계와 비극성을 드러내는 장치로서의 역할을 한다. 세속적인 인간은 완전한 신성(神聖)을 획득할 수 없다는 비극적 한계를 드러낸 것이다.
-전래동화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어느 나라의 한 임금이 자신의 귀가 비정상적으로 커진다. 자신의 귀가 마치 당나귀 귀 같이 커진 것에 고민하던 임금님은 갓장이를 몰래 불러서 그에게 자신의 귀에 맞는 모자를 만들어 오라고 한다. 그리고 이 사실은 절대 비밀이며 누설하지 말 것을 당부한다. 갓장이는 모자를 만들어준 후에 임금님의 비밀을 말하고 싶어서 병이 난다. 답답한 마음에 자신이 죽을 것을 예감한 갓장이는 몰래 숲으로 가서 임금님의 비밀을 말해버리고 죽는다. 그 이후 숲에서 계속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다' 라는 말이 들려와서 당황한 임금님은 그 숲의 나무를 모두 베어버리지만 이미 세상사람들에게 소문이 난 후였다.
참고문헌 -------------------------------------------
1. 최창모(2003). 금기의 수수께끼. 한길사
2. 블라디미르 프롭, 황인덕 譯(1987). 민담형태론. 대방출판사
3. 김열규 옮김.(1988). 그림형제 동화전집. 서울
4. 임석재 엮음(1993). <구렁덩덩 신선비> 한국구전설화-전라북도 편 , 평민사
5. 작곡 바그너, 그림 김정선(2001), <로엔그린>《동화로 읽는 오페라 뮤지컬 스토 리즈》, 교원 출판사
6. 작곡 프로코피예프, 그림 가우다 신스카(2001), <세 개의 오렌지에 대한 사랑〉 《동화로 읽는 오페라 뮤지컬 스토리즈》, 교원 출판사
7. 글 스톡턴, 그림 미흐누셰프(2001), <미녀일까, 호랑이일까?>《세계의 명단편-38 권》, 교원 출판사
-전래동화 <용소와 며느리 바위>
인색한 장자가 시주를 부탁한 도승을 괄시하여 쌀 대신에 쇠똥을 주어 내보내는데 이를 본 며느리가 대신 시주를 한다. 도승은 며느리에게 큰 재앙이 올테니 어서 도망가라고 말해 장자는 재앙을 맞지만, 착한 며느리는 도승의 안내로 재앙을 피하는데 도중 뒤를 돌아보지 말라는 금기를 어겨서 그만 화석이 되고 말았다
'용소와 며느리 바위'에서 금기(禁忌)의 기능은 첫 번째 통과 의례이다. 불타산을 향해 도망가는 며느리는 지상적 세계에서 초월적 세계로 나아가는 것이며, 이 때 금기는 초월성을 얻기까지 일종의 통과 의례로서의 시련과 고난인 것이다. 화석이 된 며느리는 결국 시련과 고난을 통과하지 못한 존재가 된다.
두 번째, 천기누설의 예방책이다. 이러한 금기에는 천기가 행해지는 장면을 보지 말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금기를 어기고 용소가 생성되는 현장을 목격한 며느리는 천기를 알게 된 죄로 돌이 되고 만다.
마지막으로 인간의 한계와 비극성을 드러내는 장치로서의 역할을 한다. 세속적인 인간은 완전한 신성(神聖)을 획득할 수 없다는 비극적 한계를 드러낸 것이다.
-전래동화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어느 나라의 한 임금이 자신의 귀가 비정상적으로 커진다. 자신의 귀가 마치 당나귀 귀 같이 커진 것에 고민하던 임금님은 갓장이를 몰래 불러서 그에게 자신의 귀에 맞는 모자를 만들어 오라고 한다. 그리고 이 사실은 절대 비밀이며 누설하지 말 것을 당부한다. 갓장이는 모자를 만들어준 후에 임금님의 비밀을 말하고 싶어서 병이 난다. 답답한 마음에 자신이 죽을 것을 예감한 갓장이는 몰래 숲으로 가서 임금님의 비밀을 말해버리고 죽는다. 그 이후 숲에서 계속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다' 라는 말이 들려와서 당황한 임금님은 그 숲의 나무를 모두 베어버리지만 이미 세상사람들에게 소문이 난 후였다.
참고문헌 -------------------------------------------
1. 최창모(2003). 금기의 수수께끼. 한길사
2. 블라디미르 프롭, 황인덕 譯(1987). 민담형태론. 대방출판사
3. 김열규 옮김.(1988). 그림형제 동화전집. 서울
4. 임석재 엮음(1993). <구렁덩덩 신선비> 한국구전설화-전라북도 편 , 평민사
5. 작곡 바그너, 그림 김정선(2001), <로엔그린>《동화로 읽는 오페라 뮤지컬 스토 리즈》, 교원 출판사
6. 작곡 프로코피예프, 그림 가우다 신스카(2001), <세 개의 오렌지에 대한 사랑〉 《동화로 읽는 오페라 뮤지컬 스토리즈》, 교원 출판사
7. 글 스톡턴, 그림 미흐누셰프(2001), <미녀일까, 호랑이일까?>《세계의 명단편-38 권》, 교원 출판사
추천자료
최근의 아동문학출판경향에 대해 장단점을 고찰해보고, 우리나라 출판시장 및 문학경험확장을...
[아동문학] 그림책 선정하여 서지사항(제목,글쓴이,그린이,출판연도,출판사,내용요약) 정리, ...
다문화 사회에서 아동문학의 역할 및 방법에 대하여 정리하고 다문화 이해를 위한 문학활동을...
가족생활교육, 아동문학, 아동발달
자신이 보육교사라 가정하여 5세 아동에게 읽어줄 아동문학을 선정하고 왜 선정했는지와 효과...
성인문학과 구별되는 아동문학의 특수한 성격은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교육적인 입장에서 서술.
[아동문학] 문학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는 여러가지 활동 및 방법에 대해 의견을 제시
[아동문학] 우리나라 아동문학의 역사를 시대적으로 구분하고 특히 발흥·성장기 때의 문예사...
시간이 흐를수록 남의 일에 상관하지 않으려하고 타인에 대한 배려상실과 이기주의가 만연한 ...
아동문학과 관련하여 책만들기 활동을 한다면 아동이 할 수 있는 책만들기 활동방법은 어떤 ...
아동문학의 가치에 대해 서술하고 문학 경험의 첫 시기(연령)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이유 적...
아동문학의 정의에 대해 기술하고 유아기에 좋은 문학을 경험했을 때의 가치에 대해 실제 사...
아동문학작품 : (3-5세 누리과정)의 5개 영역 중 자연탐구 영역과 관련된 문학작품 1권을 선...
(영아에게 적합한 아동문학) 영아에게 적합한 아동문학 5개를 찾아 내용과 가치를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