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연구의 필요성및목적
2.문헌고찰
Ⅱ. 본론
환자상태기록
건강력
투약
검사
간호사례보고서
Ⅲ. 결론 및 소감
1.연구의 필요성및목적
2.문헌고찰
Ⅱ. 본론
환자상태기록
건강력
투약
검사
간호사례보고서
Ⅲ. 결론 및 소감
본문내용
소화불량, 귀독성, 발진, 알레르기, 간기능 수치상승.
vit-k₁
환자에게 사용한용량과 투여경로 : 1 × 1 / IV
적응증:저prothrombin혈증,각종출혈성질환(분만시,신생아,수술후),
부작용 : 위장장애, 신간기능장애, 발적
(3)응급처치
환자문제
응급처치
응급처치의 원리
결과
Dyspnea
산소 2L/min 줌
SO2의 수치를 올리도록 도와줌
93%에서 100%로 올라감
*vital sign:check q 2hour
I/o: check q8hour
urine out put: check q 1hour
Diet: soft Diet
간호사정
합리적 근거
S;“ 배가 불러오니까 숨쉬기도 힘들어..”
“ 몸에 힘이 하나도 없고, 피곤해 죽겠어.. ”
O;① sodium, potassium등 전해질의 지속적인 장애
② 전신적인 부종상태
③ 호흡곤란 증세
④ 복부촉진시 얼굴을 찡그리고 신음소리를 냄
⑤ 체위변경시 힘들어 함
과학적 근거
간의 동모혈관을 통과하여 간정맥과 대정맥으로 흐르는 혈액의 흐름이 방해를 받으면 문맥계의 정수압이 상승한다. 문맥압이 상승함에 따라 혈장과 림프가 간 피막과 울혈된 문맥에서 직접 복강내로 저알부민혈증으로 인한 교질 삼투압 저하고 수분의 유입을 일으킨다. 저하된 순환혈량은 고알도스테론증을 야기하고 나아가 복강내 수분축적을 증가시킨다.
간호진단
간성복수와 관련된 체액과다, 통증
목표
체중과 전해질치가 정상이고, 복부둘레는 점차 감소된다
계획
및수행
①체중을 측정하거나 복부둘레를 줄자로 잰다
(환자가 움직일수없는 관계로 체중측정대대신 복부둘레를 손넓이로 제어봄.)
②배설량보다 섭취량이 많을 때에는 과도한 수분이 조직에 남게 되므로 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한다.
③염분의 과다섭취를 조직내로 수분을 축적하게 되므로 저염식이를 제공한다.
④처방된 이뇨제(lasix)를 투여한다
⑤복수로 인한 호흡곤란을 완화시켜 주기 위하여 반좌위를 취하거나 산소 2ℓ제공한다.
평가
복부둘레 확인 결과 복부둘레가 더 늘어나지는 않았으며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횟수도 줄어들었다.
하지만 호흡이 안정되지 않고 (특히 새벽에) 자주 변동되므로 계속적이고 지속적인 관찰과 간호가 요구된다.
(4)응급환자 간호사례 보고서
Ⅲ. 결론 및 소감
간은 여러 가지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매우 중요한 장기인 것을 안다. 기원전 1000 년부터 고대 중국에서는 인간의 혼을 담은 혈액을 간에서 보관하고 있다고 믿었고 따라서 간에 병이 생기면 영혼이 타락한다고 믿었다. 이러한 변화는 고대 중국인들이 생각했던 것처럼 혼을 담은 혈액이 간에 보관되어 있어서 생기는 것은 아니고, 간에 병이 생기면 여러 가지 중요한 기능이 마비되어 발생하는 결과로 생기는 것이다.
이런 간경화에 알아보고 간호과정을 해봄으로써 많은 것을 알게 되었고 내가 조사한 대상자 그분은 간경화라는 병에 대해 지식도 없으셨고 치료 및 처치도 하지 않고 자신의 몸을 더욱 망가뜨려 정말 걱정이 되었다. 내가 몇가지 간호문제에 대한 조언을 드렸음에도 불구하고 잘 지키려고 하지 않고 부정적이셨다. 이렇게 응급실에는 한번 왔던 사람들이 자주 오기 마련이라고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응급실이라고 하면 왠지 복잡하고 바쁘고 그런 느낌이 먼저 들어서 정신병원 이외에 처음 나가는 곳이라 솔직히 긴장도 많이 되고 불안하기도 했다. 하지만 실습 딱 1시간 후에 내가 왜 그런 괜한 걱정을 했을까 하는 생각이 들게 되었다. 그야 말로 active하고 활기차고 보고 배울 것도 많은 곳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자 왠지 2주가 짧지는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게 되었다. 실제로도 실습하면서 처음 본 것들 배운 것들이 많았다.
응급실이라 신환이 오면 기계적으로 움직이고 생각하고 바쁘게 일 처리하고 그럴 줄로만 생각했었는데 나에 대해 그리고 내 가족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던 좋은 경험이 되었던 것 같다. 그리고 응급실이라고 매일 바쁜 것이 아니고 한가 할 때도 있었는데 솔직히 한가한게 싫었지만 그만큼 다치고 아픈 사람이 없다는 점에서 그 감정이 반반이었다.
이제껏 실습 한 곳 중에 가장 열심히 뛰어다니고 보고 배웠던 실습이었던 것 같아 뿌듯함이 많이 남는다.
Ⅳ. 참고문헌
http://www.naver.com/
대한 기초 간호 자연 과학회(현문사)
성모병원 의약어 용어집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현문사, 2004
김영숙 외, 성인간호학, 수문사, 2001
유해영 외, 임상간호메뉴얼, 현문사, 1999
간호진단분류, 성미혜 외, 수문사
임상간호의 핵심, 한우리
vit-k₁
환자에게 사용한용량과 투여경로 : 1 × 1 / IV
적응증:저prothrombin혈증,각종출혈성질환(분만시,신생아,수술후),
부작용 : 위장장애, 신간기능장애, 발적
(3)응급처치
환자문제
응급처치
응급처치의 원리
결과
Dyspnea
산소 2L/min 줌
SO2의 수치를 올리도록 도와줌
93%에서 100%로 올라감
*vital sign:check q 2hour
I/o: check q8hour
urine out put: check q 1hour
Diet: soft Diet
간호사정
합리적 근거
S;“ 배가 불러오니까 숨쉬기도 힘들어..”
“ 몸에 힘이 하나도 없고, 피곤해 죽겠어.. ”
O;① sodium, potassium등 전해질의 지속적인 장애
② 전신적인 부종상태
③ 호흡곤란 증세
④ 복부촉진시 얼굴을 찡그리고 신음소리를 냄
⑤ 체위변경시 힘들어 함
과학적 근거
간의 동모혈관을 통과하여 간정맥과 대정맥으로 흐르는 혈액의 흐름이 방해를 받으면 문맥계의 정수압이 상승한다. 문맥압이 상승함에 따라 혈장과 림프가 간 피막과 울혈된 문맥에서 직접 복강내로 저알부민혈증으로 인한 교질 삼투압 저하고 수분의 유입을 일으킨다. 저하된 순환혈량은 고알도스테론증을 야기하고 나아가 복강내 수분축적을 증가시킨다.
간호진단
간성복수와 관련된 체액과다, 통증
목표
체중과 전해질치가 정상이고, 복부둘레는 점차 감소된다
계획
및수행
①체중을 측정하거나 복부둘레를 줄자로 잰다
(환자가 움직일수없는 관계로 체중측정대대신 복부둘레를 손넓이로 제어봄.)
②배설량보다 섭취량이 많을 때에는 과도한 수분이 조직에 남게 되므로 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한다.
③염분의 과다섭취를 조직내로 수분을 축적하게 되므로 저염식이를 제공한다.
④처방된 이뇨제(lasix)를 투여한다
⑤복수로 인한 호흡곤란을 완화시켜 주기 위하여 반좌위를 취하거나 산소 2ℓ제공한다.
평가
복부둘레 확인 결과 복부둘레가 더 늘어나지는 않았으며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횟수도 줄어들었다.
하지만 호흡이 안정되지 않고 (특히 새벽에) 자주 변동되므로 계속적이고 지속적인 관찰과 간호가 요구된다.
(4)응급환자 간호사례 보고서
Ⅲ. 결론 및 소감
간은 여러 가지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매우 중요한 장기인 것을 안다. 기원전 1000 년부터 고대 중국에서는 인간의 혼을 담은 혈액을 간에서 보관하고 있다고 믿었고 따라서 간에 병이 생기면 영혼이 타락한다고 믿었다. 이러한 변화는 고대 중국인들이 생각했던 것처럼 혼을 담은 혈액이 간에 보관되어 있어서 생기는 것은 아니고, 간에 병이 생기면 여러 가지 중요한 기능이 마비되어 발생하는 결과로 생기는 것이다.
이런 간경화에 알아보고 간호과정을 해봄으로써 많은 것을 알게 되었고 내가 조사한 대상자 그분은 간경화라는 병에 대해 지식도 없으셨고 치료 및 처치도 하지 않고 자신의 몸을 더욱 망가뜨려 정말 걱정이 되었다. 내가 몇가지 간호문제에 대한 조언을 드렸음에도 불구하고 잘 지키려고 하지 않고 부정적이셨다. 이렇게 응급실에는 한번 왔던 사람들이 자주 오기 마련이라고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응급실이라고 하면 왠지 복잡하고 바쁘고 그런 느낌이 먼저 들어서 정신병원 이외에 처음 나가는 곳이라 솔직히 긴장도 많이 되고 불안하기도 했다. 하지만 실습 딱 1시간 후에 내가 왜 그런 괜한 걱정을 했을까 하는 생각이 들게 되었다. 그야 말로 active하고 활기차고 보고 배울 것도 많은 곳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자 왠지 2주가 짧지는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게 되었다. 실제로도 실습하면서 처음 본 것들 배운 것들이 많았다.
응급실이라 신환이 오면 기계적으로 움직이고 생각하고 바쁘게 일 처리하고 그럴 줄로만 생각했었는데 나에 대해 그리고 내 가족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던 좋은 경험이 되었던 것 같다. 그리고 응급실이라고 매일 바쁜 것이 아니고 한가 할 때도 있었는데 솔직히 한가한게 싫었지만 그만큼 다치고 아픈 사람이 없다는 점에서 그 감정이 반반이었다.
이제껏 실습 한 곳 중에 가장 열심히 뛰어다니고 보고 배웠던 실습이었던 것 같아 뿌듯함이 많이 남는다.
Ⅳ. 참고문헌
http://www.naver.com/
대한 기초 간호 자연 과학회(현문사)
성모병원 의약어 용어집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현문사, 2004
김영숙 외, 성인간호학, 수문사, 2001
유해영 외, 임상간호메뉴얼, 현문사, 1999
간호진단분류, 성미혜 외, 수문사
임상간호의 핵심, 한우리
추천자료
간경화 문헌 고찰
전략적간호관리 - 간호사의 이직에 대하여
간호관리학 국시대비 요약집
(간호학과) 여성건강간호학 실습 체크리스트
정신간호학 실습 레포트
<간호학과> 여성실습 레포트 셀프스터디
간호학과> 여성건강간호학 실습 레포트 (대상자파악)
간호학과> 아두골반불균형-제왕절개 케이스스터디 (여성실습)
간호과 성인 ICU 실습 진단검사 목록(check list 체크리스트)
지역사회 간호학 절주정책
기초간호과학>면역에서 과민반응이 무엇을의미하는지 설명,기초간호과학,4가지과민반응별로 ...
[상급 성인 간호학 세미나] 개념 정리 & 연구 계획서 - self-esteem(자존감)
[성인 간호 세미나] 이행 (compliance) - 이행 사전적 정의 이행 속성 이행 영향 요인 이행 ...
K대학교 간호대학생의 성인간호학 실습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