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인의 후예 작품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작자 소개> 황순원

Ⅰ. 사실구조
1. 플롯
2. Character
(1) 박훈 (2) 도섭 영감 (3) 오작녀 (4) 오작녀의 남편 (5) 용제 어른 (6) 박혁 (7) 그 외
3. Setting
(1) 시간적 배경 (2) 공간적 배경 (3) 사상적 배경

Ⅱ. 주제

Ⅲ. 문학적 장치
(1) 제목 (2) 시점 (3) 문체 : 어법 이미저리 구조 (4) 어조 : 인물 독자

Ⅳ. 소설사적 의미

본문내용

‘침묵자로서의 부정의 행동’을 선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소극적인 듯하면서도 완강히 자기 내면의 순결성을 지켜 가는 박 훈의 모습은 그의 그 뒤의 장편소설의 긍정적 인물들, 예컨대 “인간접목”의 ‘종호’, “나무들 비탈에 서다”의 ‘동호’, “일월”의 ‘인철’ 등에도 투영되어 있다. 그리고 그런 면은 앞서의 ‘원응서’의 증언에서 볼 수 있는 바 작가 황순원 자신의 인간적 변모를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앞서 이 작품은 고발 문학적 성격이 짙다고 했지만, 그러나 물론 이 작품은 그런 차원을 훨씬 넘어서 있다. 박 훈의 생태에서 우리가 읽어낼 수 있는 것은 오히려 가혹한 시대를 이겨내는 한 지식인의 갈등과 모색의 생태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작 이 작품에 있어서 더 큰 흥미의 초점이 되는 것은 ‘오작녀'의 모습이다. ’오작녀'는 ‘곰녀'를 비롯한 많은 그의 단편소설의 토속적 여인상들과 진한 혈연을 맺고 있다. 그녀 역시 ’곰녀‘가 그러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당대의 시대적 소용돌이와는 아무 상관없는 자리에 위치해 있는 인간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작녀‘는 ’박훈‘에게서는 도저히 찾을 수 없는 강렬한 원시적 생명력이 발산하고 있다. 이 작품의 작중 현실이 대체로 박 훈의 시선에 의하여 관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오작녀‘의 강렬한 생명력이 발산하는 빛에 의하여 ’박훈‘의 모습은 희미하다. 독자 앞에 정면으로 나타나는 ’박훈‘보다도 그의 자의식의 시선을 거쳐서야 독자에게 전달되는, 따라서 그의 자의식의 피사체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는 ’오작녀‘의 모습이 더 신선하게 독자에게 인상지워진다는 것은 분명 이 작품이 갖는 독특한 아이러니다.
그 아이러니의 비밀은 어디 있을까. 역시 실체 그 자체보다도 그것의 이미지를 환기시키는 데 탁월한 재능을 발휘하는 이 작가의 예술적 특질 탓이 아닐까. ‘오작녀’는 분명 오늘의 여인은 아니다. 그러나 그녀의 배후에는 무수한 세월의 부피가 깔려 있다. 그녀의 배후에는 큰 아기 바윗골의 전설, 뻐꾸기 울음, 망부석의 이미지 등등 무수한 한국적 여인상들이 무수한 세월을 살아오는 동안에 이룩하여 놓은 농도 짙은 환상의 여울이 깔려 있다. 그녀의 모습은 당대 현실의 산문적 차원을 훨씬 넘어서는 시적 이미지로서의 그것이다. 예술가로서의 황순원의 매력은 ‘오작녀’에 이르러 한 분수령을 이룩하게 된다. 동시에 그것은 단편 작가로서의 이 작가의 문학적 과제의 한 장점이기도 하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9.27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94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