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작가소개 - 이기영
Ⅱ. 사실구조
1. 플롯
2. 성격
(1) 주동 인물 (2) 반동 인물
3. 배경
(1) 시간적 배경 (2) 공간적 배경 (3) 사상적 배경
Ⅲ. 주제
Ⅳ. 문학적 장치
1. 제목
2. 시점
3. 문체
(1) 어법 (2) 이미저리 (3) 통사
4. 어조
(1) 인물 (2) 독자
Ⅴ. 문학사적 의의
Ⅱ. 사실구조
1. 플롯
2. 성격
(1) 주동 인물 (2) 반동 인물
3. 배경
(1) 시간적 배경 (2) 공간적 배경 (3) 사상적 배경
Ⅲ. 주제
Ⅳ. 문학적 장치
1. 제목
2. 시점
3. 문체
(1) 어법 (2) 이미저리 (3) 통사
4. 어조
(1) 인물 (2) 독자
Ⅴ. 문학사적 의의
본문내용
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3부의 주제는 제1,2부의 주제인 민족적인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투쟁의 방법과 방향을 제시한다. 적의 무기를 탈취하여 무장을 해야 하며, 위대한 지도자를 중심으로 뭉쳐서 집단적인 투쟁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집단적인 무장 투쟁의 길로 나가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결국 전편적인 주제는 민족 해방 투쟁에 있어서의 국민적 역량의 결집을 통한 집단적인 무장 투쟁의 필요성을 고취한 것이라 하겠다.
Ⅳ. 문학적 장치
1. 제목
‘두만강’은 우리의 영토를 획정하는 국경선이다. 우리 민족은 우리 국토 안에서 수천 년 동안 평화스럽게 살아왔는데 어쩌다 외세의 침략으로 인하여 나라를 잃고 쫓겨나 두만강을 건너 타국 땅을 전전하면서 고통스럽게 살게 되었는데, 이러한 우리 민족의 고난의 역사를 두만강은 생생히 알고 있을 것이라는 것이다. 즉 두만강은 우리 민족의 고난을 바라본 역사의 증인이다. 강이 죽음과 재생, 영원한 흐름을 상징하는 원형적 이미지로 두만강에는 시간의 흐름이라는 역사성과 죽음과 재생이라는 의미가 담겨져 있다. 왜냐하면 1,2부의 주인공은 과업을 실현하지 못하고 죽지만, 3부의 주인공이 그 꿈을 실현하기 위하여 힘차게 투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두만강이 민족사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는 공간이기는 하지만 주제를 암시하기에 충분한 제목은 되지 못하고 있다.
2. 시점
전지적 작가시점
3. 문체
(1) 어법 : 외연적 의미의 단어 사용이 많다.
(2) 이미저리
이기영이 외연적 어법에 의존하는 작가이기 때문에 『두만강』에서도 『고향』에서와 마찬가지로 특별한 이미지를 사용하지 않았다. 그러나 작중 인물이나 환경과 관련 있는 몇 개의 이미지를 꼽자면, 이기영의 원형적 이미지로서 물, 바람, 햇빛, 나무 등의 사용을 들 수 있다. 또 바람, 먼동, 광명, 아침, 어둠, 소나무, 두만강 등의 이미지가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중 바람과 어둠은 시대적인 환경을 암시하는 이미지이며, 광명이나 여명은 밝아오는 새 아침, 곧 새날을 의미하는 이미지임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리고 소나무는 혁명가들(또는 항일 유격대)의 꿋꿋한 절개와 지조를 의미하며, 두만강은 민족 투쟁사의 현장 또는 증인을 의미한다.
(3) 통사 : 단문과 단순한 문장을 사용. 전체적인 특성에 대하여 개괄적인 관찰
4. 어조
(1) 인물 : 냉정하고 객관적. 주동인물에 대해 신뢰적, 반동인물에 대해 냉소적
(2) 독자 : 객관적 태도
Ⅴ. 문학사적 의의
『두만강』은 소설의 기술이라는 면에서는 많은 문제점을 노출시킨 작품이긴 하지만, 식민지 시대의 우리 민족의 총체적인 삶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우리의 귀중한 민족 문학으로 평가될 수 있는 작품이라 하겠다. 이 작품의 문학사적 의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식민지 시대를 배경하는 한 대표적인 리얼리즘 소설의 하나라는 점이다.
식민지 시대의 우리 민족의 삶을 총체적으로 리얼하게 보여주었다.
(2) 우리가 통일 문학사를 쓸 때 가장 문제시될 수 있는 작품이다.
작가가 비록 북한에서 쓴 작품이지만 남북한을 무대로 양쪽의 정서를 이만큼 핍진하게 그려낸 작품은 아직 없었다.
(3) 잊혀져가는 우리말을 잘 살려 썼다는 점에서 한국 소설 문장의 전범이 되는 작품이다.
이러한 시도는 우리 소설 문장사에 있어서 귀중한 노력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상선, 『민촌 이기영 문학연구』, 국학자료원, 1999.
신춘호, 『이기영의 두만강 연구』,『중원인문논총』15권, 1996.
이기영, 『대하역사소설 - 두만강』, 사계절, 1989.
조남현, 『이야기꾼 리얼리즘이데올로기 - 이기영』, 건국대학교출판부, 2002.
3부의 주제는 제1,2부의 주제인 민족적인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투쟁의 방법과 방향을 제시한다. 적의 무기를 탈취하여 무장을 해야 하며, 위대한 지도자를 중심으로 뭉쳐서 집단적인 투쟁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집단적인 무장 투쟁의 길로 나가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결국 전편적인 주제는 민족 해방 투쟁에 있어서의 국민적 역량의 결집을 통한 집단적인 무장 투쟁의 필요성을 고취한 것이라 하겠다.
Ⅳ. 문학적 장치
1. 제목
‘두만강’은 우리의 영토를 획정하는 국경선이다. 우리 민족은 우리 국토 안에서 수천 년 동안 평화스럽게 살아왔는데 어쩌다 외세의 침략으로 인하여 나라를 잃고 쫓겨나 두만강을 건너 타국 땅을 전전하면서 고통스럽게 살게 되었는데, 이러한 우리 민족의 고난의 역사를 두만강은 생생히 알고 있을 것이라는 것이다. 즉 두만강은 우리 민족의 고난을 바라본 역사의 증인이다. 강이 죽음과 재생, 영원한 흐름을 상징하는 원형적 이미지로 두만강에는 시간의 흐름이라는 역사성과 죽음과 재생이라는 의미가 담겨져 있다. 왜냐하면 1,2부의 주인공은 과업을 실현하지 못하고 죽지만, 3부의 주인공이 그 꿈을 실현하기 위하여 힘차게 투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두만강이 민족사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는 공간이기는 하지만 주제를 암시하기에 충분한 제목은 되지 못하고 있다.
2. 시점
전지적 작가시점
3. 문체
(1) 어법 : 외연적 의미의 단어 사용이 많다.
(2) 이미저리
이기영이 외연적 어법에 의존하는 작가이기 때문에 『두만강』에서도 『고향』에서와 마찬가지로 특별한 이미지를 사용하지 않았다. 그러나 작중 인물이나 환경과 관련 있는 몇 개의 이미지를 꼽자면, 이기영의 원형적 이미지로서 물, 바람, 햇빛, 나무 등의 사용을 들 수 있다. 또 바람, 먼동, 광명, 아침, 어둠, 소나무, 두만강 등의 이미지가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중 바람과 어둠은 시대적인 환경을 암시하는 이미지이며, 광명이나 여명은 밝아오는 새 아침, 곧 새날을 의미하는 이미지임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리고 소나무는 혁명가들(또는 항일 유격대)의 꿋꿋한 절개와 지조를 의미하며, 두만강은 민족 투쟁사의 현장 또는 증인을 의미한다.
(3) 통사 : 단문과 단순한 문장을 사용. 전체적인 특성에 대하여 개괄적인 관찰
4. 어조
(1) 인물 : 냉정하고 객관적. 주동인물에 대해 신뢰적, 반동인물에 대해 냉소적
(2) 독자 : 객관적 태도
Ⅴ. 문학사적 의의
『두만강』은 소설의 기술이라는 면에서는 많은 문제점을 노출시킨 작품이긴 하지만, 식민지 시대의 우리 민족의 총체적인 삶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우리의 귀중한 민족 문학으로 평가될 수 있는 작품이라 하겠다. 이 작품의 문학사적 의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식민지 시대를 배경하는 한 대표적인 리얼리즘 소설의 하나라는 점이다.
식민지 시대의 우리 민족의 삶을 총체적으로 리얼하게 보여주었다.
(2) 우리가 통일 문학사를 쓸 때 가장 문제시될 수 있는 작품이다.
작가가 비록 북한에서 쓴 작품이지만 남북한을 무대로 양쪽의 정서를 이만큼 핍진하게 그려낸 작품은 아직 없었다.
(3) 잊혀져가는 우리말을 잘 살려 썼다는 점에서 한국 소설 문장의 전범이 되는 작품이다.
이러한 시도는 우리 소설 문장사에 있어서 귀중한 노력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상선, 『민촌 이기영 문학연구』, 국학자료원, 1999.
신춘호, 『이기영의 두만강 연구』,『중원인문논총』15권, 1996.
이기영, 『대하역사소설 - 두만강』, 사계절, 1989.
조남현, 『이야기꾼 리얼리즘이데올로기 - 이기영』, 건국대학교출판부, 2002.
키워드
추천자료
'브로크백 마운틴' 에 대한 작품분석 및 나의 감상문
'효자동 이발사'에 대한 작품분석 및 나의감상문(A+자료)
'오만과 편견'에 대한 작품분석, 줄거리요약 및 나의독후감
구효서의 '시계가 걸렸던 자리' 작품분석
[고전문학]죽부인전 - 작품분석, 연구사, 문학사적 위상
[고전문학]국선생전 - 작품분석, 문학사적 위상, 연구사
중동문학 가싼 카나파니 하이파에 돌아와서 와 불볕속의 사람들 작품분석
강신재 < 젊은 느티나무 > 작품분석과 소설지도 방법에 대한 연구
이호철의 「닳아지는 살들」작품분석과 지도론
최인훈의 「총독의 소리」의 작품분석과 수업 지도 방안에 대해
[헤밍웨이] 헤밍웨이의 문학세계 및 각 작품분석
[추상표현주의] 추상표현주의의 특성 및 작가와 작품분석
[아방가르드] 아방가르드의 특성과 작품분석
[국문학A+] 하층민의 리얼리즘, 강경애 작품분석 - 대표작 <인간문제>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