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생생물의 관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Title
Date
Purpose
Introduction
Materials
Methods
result
Discussion
Reference

본문내용

녹조류는 수중과 육지에 모두 서식하며, 수중에서 서식하는 녹조류는 주로 담수에서 생활하지만, 해양에서 살아가는 것도 있다. 육지에서 서식하는 것들은 주로 수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토양이나 나무껍질 등의 습한 지역에서만 생활하며 특히 담수에서 생활하는 녹조류는 생산자로 먹이 사슬의 기저에 위치하기 때문에 생태계에서 중요한 생물이다.
(2) 갈조류문
갈조류는 원생생물 중에서 가장 큰 생물로 모든 갈조류는 다세포성이며, 길이는 수 cm에서 60cm에 이르기 까지 다양하다. 이들의 체형은 작은 술 모양, 밧줄 모양 또는 두껍고 편평하며 분지된 모양을 하고 있다. 갈조류 중에서 크기가 가장 큰 것이 다시마 등의 해초류로 외부형태는 강한 가죽과 같으며, 잎과 비슷한 모양의 엽편(blade)과 줄기의 비슷한 엽병(stipe) 그리고 이 해초를 고착시키는 부착근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종종 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가스로 가득찬 기낭(float)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갈조류는 광합성 원생생물로, 엽록체 색소인 엽록소 a와 c 그리고 카르테노이드, 갈조류에서 발견되는 황갈색 카로테노이드인 푸코잔틴(fucoxanthin)이 있는데, 이것은 갈조류외에 규조류나 쌍편모충류에도 존재하는 색소이다.
갈조류는 보통 수온이 낮은 해양 특히 바위가 많은 해안 근처의 낮은 물 속이나 조간대에서 생활한다. 다시마와 같은 것은 수중에서 광범위한 숲을 형성하며 생태계에서 1차 생산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렇게 형성된 숲은 해양 무척추동물이나 물고기들에게 서식처를 제공해 주기 때문에 해저 갈조류 숲 주변에는 엄청나게 다양한 생물들이 존재한다.
(3) 홍조류문
대부분의 홍조류는 비록 약간의 단세포성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다세포성 생물이다. 이러한 다세포성 체형을 만드는 홍조류는 주로 섬세한 깃털과 같이 복잡하게 엮어진 섬유형을 하고 있지만 평평한 판과 같은 구조를 갖는 것도 약간 있다. 이들은 뿌리와 같은 구조의 부착근(holdfast)에 의해서 바위나 다른 기질에 부착하여 생활하는데, 이들의 색소로는 엽록소 a와 카로테노이드 그리고 붉은색소인 피코에리드린, 푸른색소인 피코시아닌이 있으며, 저장물질은 글리코겐과 비슷한 탄수화물인 장밋빛(floridean) 녹말이다.
홍조류는 기온이 높은 열대바다에서 서식하지만 담수나 토양에서 서식하는 종도 있다. 해양에서 생활하는 홍조류 중에는 세포벽에 탄산칼슘을 결합시키는 것이 있는데, 이러한 산호성 홍조류는 일반적으로 산호보다도 산호초 형성에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규조류문
군체를 형성하는 종도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규조류(diatom)들은 단세포로 존재하며 이들의 세포벽은 크기가 다른 두 개의 배양접시를 겹쳐놓은 것과 비슷한 형태로 많은 무수규산(silica)을 함유한다. 이 유리와 같은 물질은 구조류의 종마다 독특한 형태를 하고 있어서 분류의 열쇠로 사용되기도 한다.
규조류에는 크게 방사대칭형과 좌우대칭형이 있으며 대부분의 규조류는 부유생활을 하는 플랑크톤으로 존재하지만, 바위나 다른 물체의 표면에 부착하여 생활하는 것도 있다. 이들은 규조류의 껍질을 따라서 분포하는 작은 홈으로부터 분비되는 물질을 이용하는 활주운동을 통해 이동한다.
대부분의 규조류에는 광합성 생물로 엽록소 a와 c 그리고 카로테노이드 색소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색소의 조성 때문에 규조류의 몸은 황색이나 갈색을 띄고 있다. 또한 규조류는 기름이나 탄수화물의 형태고 먹이를 저장한다.
규조류는 민물이나 해양에 모두 존재하지만 보통 수온이 낮은 해양에 풍부하게 분포한다. 수중에는 엄청난 수의 규조류가 존재하기 때문에 수중생태계에서 중요한 생산자로서 역할을 한다. 이들 규조류가 죽게 되면 규조류의 세포벽이 해양의 바닥으로 침전하여 수성암이 되며 수백만년 후에 이러한 수성암은 지각의 융기에 의해서 육지로 나오게 된다. 이렇게 규조류에 의해서 만들어진 흙은 여과장치나 절연물질, 방음물질 등 산업적으로 이용된다.
Materials
현미경, slide glass, cover glass, 활성 Sludge A(Blue), B(Red)
일회용 스포이드
Methods
① 준비한 활성 sludge를 흔들어 고르게 섞이도록 한다.
② 일회용 스포이드로 떠서 Slide glass위에 한방울 떨어 뜨린다.
③ cover glass를 덮는다.
④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⑤ 같은 방법으로 준비한 다른 활성 sludge를 관찰한다.
Results
1. 조류의 관찰 (400X)
규조류 Fragilaria
녹조류 Pediastrum
규조류 Synedra
녹조류 Scendesmus
남세균 Oscillatoria
규조류 Navicula
규조류 Melosira의 변형
2. 원생동물의 관찰
육질충류 Arcella
섬모충류 Vorticella
섬모충류 Colpidium 추정
섬모충류 Paramecium
Discussion
이번 실험을 통해 원생생물을 관찰하여 그 형태를 파악하고 각각 분류 할 수 있었다. 조류는 그 생김새나 크기가 다양하여 쉽게 관찰 할 수 있었지만 원생동물은 Paramecium 외 몇 종 밖에 관찰을 못해서 많은 아쉬움이 남은 실험이었다.
조류는 운동성이 없어서 관찰하기 쉬웠는데 몇몇은 보기(프린트물)와는 다르게 변종이 있었다. 규조류중 Melosira, 녹조류중 Scendesmus가 변종을 보인 조류이다.
이 중 가장 많이 보인 것은 Synedra로서 군체를 이루는 것부터 단세포처럼 따로 떨어진 것까지 많은 수의 개체가 있었다.
원생동물에서 많이 관찰된 것은 역시 Paramecium이었다. 섬모를 이용해 빠르게 활보하고 다녀서 찍기 힘들었는데 운 좋게도 둘이 짝지어진 것을 찍을 수 가 있었다. 그리고 다른 조원이 종벌레라 불리는 Vorticella와 Arcella로 추정되는 원생동물을 찾을 수가 있었다.
Reference
Brock의 미생물학 제 11판 / 대표역자 오계헌 / 월드 사이언스/ 2006 / p463-466, 472-477
생물학 / 킴볼, 존 W / 탐구당 / 1995 / p674-687
최신 생물학 / Villee. C. A / 법문사 / 1995 / p448-468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10.05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04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