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 제목:[일반화학실험]- 아스피린의 합성, 아스피린의 수득률, 아세틸살리실산, 아스피린의 합성원리, 살리실산과 아세트산을 이용한 아스피린의 생성 (아스피린: C6H4COOHCOOH3, 살리실산: C6H4OHCOOH, 아세트산:
CH3COOH)]
1.실험목적 및 개요
2.실험의 의미
3.실험원리
4.실험과정
5.실험시 유의사항
6.관찰
7.실험결과
8.고찰
9.참고문헌
CH3COOH)]
1.실험목적 및 개요
2.실험의 의미
3.실험원리
4.실험과정
5.실험시 유의사항
6.관찰
7.실험결과
8.고찰
9.참고문헌
본문내용
불순한 아스피린 1.5g을 0.1N NaOH를 사용하여 적정해 보니 종말점에 0.1N NaOH 용액 70ml가 소비되었음을 알았다. 적정과정에서 일어나는 반응식을 쓰고 아스피린의 순도 (%)를 계산하여라.
--> 아스피린의 순도: 84%
8. 고찰 (-> 실험을 통해 알게된 사실이나 느낀 점 등에 대해 고찰해 보시오.)
--> 간단한 실험을 통해서 시중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아스피린”이라는 의약품을 합성할 수 있었다. 비록 순도가 낮고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합성한 아스피린을 복용할 수 없지만, 수차례의 정제과정을 거친 후의 아스피린은 실제 유통되고 있는 아스피린과 동일한 작용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어렵지 않은 실험이었기에 생각보다 높은 수득률을 기대했지만, 이론과는 상이한 수득률을 보였다. 실험에서 수득률이 높을수록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수득률을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정을 해보았다.
1> 살리실산 1.8g의 질량 측정 후 삼각플라스크에 넣는 과정에서 가능한 한 삼각플라스크 입구에 닿지 않도록, 그리고 질량측정 때 사용했던 종이에 잔량이 존재하지 않도록 한다.
2> 무수 아세트산 1.5ml을 가할 때 벽에 묻은 살리실산을 완전하게 제거한다.
3> 촉매로 사용된 인산을 1~2방울 가해주어 적정 pH를 맞추어서 안정성을 확보한다.
4> 수돗물로 삼각플라스크를 식힐 때 삼각플라스크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5> 썩션(Suction)의 거름종이 위에 생성된 아스피린을 빼낼 때, 삼각플라스크에 붙어있는 아스피린을 모두 빼내고 물은 썩션을 통해 물방울이 떨어지지 않을 때까지 여과시킨다.
6> 오븐에서 건조시킬 때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아스피린 결정만 남기도록 한다.
이상 여섯 가지의 가정을 하였는데, 실험을 할 때, 시간이 충분히 주어진다면, 현재의 85% 가량인 수득률을 95~99%까지 올릴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또한 이번 실험에서는 정제과정을 거치지 않았으나, 기회가 된다면 불순물을 정제해서 높은 수득률과 순도가 높은 아스피린을 만들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9. 참고문헌
-. [General Chemistry] (2006년), R.Chang, 자유아카데미
-. [화학실험] (제7판), 아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아주대학교 출판부 p.261~268
-. [분석화학] (제5판), 이용근, 박정학 외, 회중당
-. [최신일반화학] (2000년), 화교재편찬위원회, 동화기술
-. [일반물리학실험] (2003년), 한국물리학회, 청문각
-. 인터넷 엠파스 백과사전 (http://search.empas.com/search/encdic)
-. 인터넷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
-. 네이버 오픈지식
(http://kin.naver.com/open100/db_detail.php?d1id=7&dir_id=707&eid=BD6IHWMDqdSkH/iz5xOeLNvvwf8Gq1SE&qb=vLy787+hvK0gsKHA5SC+xr26x8e4sA==)
--> 아스피린의 순도: 84%
8. 고찰 (-> 실험을 통해 알게된 사실이나 느낀 점 등에 대해 고찰해 보시오.)
--> 간단한 실험을 통해서 시중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아스피린”이라는 의약품을 합성할 수 있었다. 비록 순도가 낮고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합성한 아스피린을 복용할 수 없지만, 수차례의 정제과정을 거친 후의 아스피린은 실제 유통되고 있는 아스피린과 동일한 작용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어렵지 않은 실험이었기에 생각보다 높은 수득률을 기대했지만, 이론과는 상이한 수득률을 보였다. 실험에서 수득률이 높을수록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수득률을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정을 해보았다.
1> 살리실산 1.8g의 질량 측정 후 삼각플라스크에 넣는 과정에서 가능한 한 삼각플라스크 입구에 닿지 않도록, 그리고 질량측정 때 사용했던 종이에 잔량이 존재하지 않도록 한다.
2> 무수 아세트산 1.5ml을 가할 때 벽에 묻은 살리실산을 완전하게 제거한다.
3> 촉매로 사용된 인산을 1~2방울 가해주어 적정 pH를 맞추어서 안정성을 확보한다.
4> 수돗물로 삼각플라스크를 식힐 때 삼각플라스크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5> 썩션(Suction)의 거름종이 위에 생성된 아스피린을 빼낼 때, 삼각플라스크에 붙어있는 아스피린을 모두 빼내고 물은 썩션을 통해 물방울이 떨어지지 않을 때까지 여과시킨다.
6> 오븐에서 건조시킬 때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아스피린 결정만 남기도록 한다.
이상 여섯 가지의 가정을 하였는데, 실험을 할 때, 시간이 충분히 주어진다면, 현재의 85% 가량인 수득률을 95~99%까지 올릴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또한 이번 실험에서는 정제과정을 거치지 않았으나, 기회가 된다면 불순물을 정제해서 높은 수득률과 순도가 높은 아스피린을 만들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9. 참고문헌
-. [General Chemistry] (2006년), R.Chang, 자유아카데미
-. [화학실험] (제7판), 아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아주대학교 출판부 p.261~268
-. [분석화학] (제5판), 이용근, 박정학 외, 회중당
-. [최신일반화학] (2000년), 화교재편찬위원회, 동화기술
-. [일반물리학실험] (2003년), 한국물리학회, 청문각
-. 인터넷 엠파스 백과사전 (http://search.empas.com/search/encdic)
-. 인터넷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
-. 네이버 오픈지식
(http://kin.naver.com/open100/db_detail.php?d1id=7&dir_id=707&eid=BD6IHWMDqdSkH/iz5xOeLNvvwf8Gq1SE&qb=vLy787+hvK0gsKHA5SC+xr26x8e4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