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이슬에 대해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참이슬에 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경영철학
①최고의 품질 경영
②최상의 고객만족
③창조적인 혁신과 도전
④지속경영
⑤진로의 사회공헌활동

2. 분석
①시장점유율
②3C
③SWOT
④STP
⑤4P

3. 성공사례

4. 심벌

본문내용

. 연상, 개성 그리고 이미지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브랜드 개성은 브랜드 연상이 체계적으로 조직화 되엉 뚜렷한 의미를 가지게 된 것을 의미하고, 브랜드 이미지는 소비자가 브랜드로부터 연상하는 편익이나 결과의 내용 그리고 과거의 판촉이나 명성, 동료 집단의 평가 등을 모두 포함하는 좀 더 광의 개념을 말한다.
<용기 디자인>
현재 소주의 주 포장 용기인 병은 기업의 중요한 자산으로 관리되고 있다. 정부의 가격통제와 고객이익 속에서 해당 기업은 수익의 워천을 규모에서 찾을 수 밖에 없는데, 색상의 잦은 변경은 기업의 수익성을 근본적으로 제약한다. 저렴한 상품 가격이 유지되는 그 이면에는 사용 후 빈병의 높은 재활용율(Recycling)이라는 보이지 않는 토대가 있다. 따라서 한번 설계된 병의 형태와 컬러를 변경하는 것은 경영상의 중대한 결심을 의미한다. 시장에 깔려있는 물적 자산이 한꺼번에 없어지기 때문이다.
소주의 용기의 재질은 대부분 유리병을 사용하고 있으나, 용량이 클 경우에는 PET를 많이 사용하며 \'Tetra Pack\'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현재 소주 용기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초록색 유리병은 두산의 \'그린\'소주가 최초로 사용하였다.
유리병의 특성
-차광성과 가스 차단성이 우수하다
-유리병의 사용 후 파손 시 재활용이 우수하다
-투명성을 가지고 있어 내용물의 확인이 용이하다
-화학적으로 안전하여 내용물의 변질, 오염이 없다
-회수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성이 좋다
PET의 특성
-가볍고 취급이 간편하며 충격에 강하다
-투명성이 타 용기에 비해 우수하다
-생산 시 높은 작업 효율을 올릴 수 있다
-제조 공정 시 에너지 소비량이 적다
-다양한 디자인의 성형이 가능하다
9. 시대별 제품
1967년도에 생산된 희석식 소주. 1975년부터 1983년도까지 1982년도에 출시된 30도 소주
74년 말까지 생산. 생산된 진로소주.
상표색상이 파란색.
1984년도에 생산된 진로소주 1996년에 생산된 진로소주 레귤러 1998년에 생산된 참眞이슬露
1998년에 생산된 진로골드 2001년부터 생산되고있는 진로골드 2001년부터 생산되고 있는
(올리고당 함유) 참眞이슬露 포켓용
2002년에 리뉴얼된 참眞이슬露 2006년에 리뉴얼된 참眞이슬露 2006년에 리뉴얼된 참眞이슬露
10. 광고
①소주광고 속의 미녀들의 수다
소주 광고속에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미인들이 모두 모여 있다.
참이슬의 광고 변천사
1998년 참이슬 광고
이때는 문안하게 참이슬이 어떻게 만들어 지는지에 대한 이야기 즉, 대나무숯으로 걸러 맑고 좋은 술이 된다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전체적인 이미지가 컨셉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999년 참이슬 광고
이때부터 참이슬 광고에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광고가 나오기 시작한다.
당연히 최고의 미인은 이영애
이영애와 함께 \"반했어요\" 라는 카피로 광고를 이끌었다.
이영애를 모델로 쓴 것은 맑고 투명한 피부의 대명사이기 때문이다.
또한 그러한 이영애의 이미지를 소주에 잘 반영하였기 때문이다.
2002년 참이슬 광고
이 광고의 모델은 당시 최고의 주가를 올린 김정은
원드컵을 컨셉으로 한 광고이다.
참이슬의 이미지와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김정은의 밝고 맑은 미소가 아마 참이슬에 반영이 된 것이 아닐까 한다.
2003년 참이슬 광고
이 시대에는 김주미가 최고의 여인이었던 것이다.
김주미의 단아하고 맑은 이미지를 역시나 참이슬에 반영하는 광고이다.
2003년 참이슬 광고
아마 이때는 순수한 일반대학생을 전속모델로 활용 한 것 같다.
순수함의 대명사가 바로 우리나라 새내기 여대생이 아닐까 하는 생각에서 비롯 된 것이다.
2004년 참이슬 광고
김태희의 맑고 순수해 보이는 미소와 깨끗한 피부가 참이슬의 이미지와 부합한 다고 할 수 있다.
2005년 참이슬 광고
성유리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맑고 투명한 눈!
그 눈에서는 묘한 매력이 느껴진다. 서브 카피에서도 나오듯이 이러한 매력을 참이슬에 반영 한 듯하다.
2006년 참이슬 광고
19.8도라는 컨셉으로 저도수 시장으로 펼쳐나가는 참이슬 후레쉬의 마케팅의 전환이 이루어진 광고 참이슬 후레쉬가 최고가 될 수 있었던 것도 이러한 지속적인 시도 때문이었다.
2007년 참이슬 광고
지금까지 해오던 미녀들의 이미지를 가지고 온 참이슬이 이제는 색다른 컨셉인 세대공감이란 컨셉을 가지고 나왔다.
요즘 방송가에 이루와 태진아의 동시 충연이 잦아지면서 어른들과 아이들이 동시에 공감할 수 있고 즐길 수 있는 이야기로 만들어 간다.
이러한 특징을 살려 만든 것이 바로 세대공감이라는 컨셉을 지니고 나온 참이슬후레쉬이다.
참이슬후레쉬로 국민들이 세대공감을 이룰 그 날까지를 컨셉으로 진행하는 듯 하다.
②과거의 광고
1959년 광고
1960년대 광고
1962년 광고
1975년 광고
③여러 광고
↑100억병판매 기념 참이슬 스페셜 컬렉션
길거리 홍보
←참이슬 POP
출입구 문에 부착된
스티커
문을 여닫을 때마다
광고가 된다 →
↑소주잔에 소주를 따라 마실 때 마다 광고가 된다
←물을 따라 마실 때 마다 광고가 된다.
←옥외 간판
↑참이슬 지하철 광고
↑현 소주시장의 타사 제품
11. 출처
http://blog.naver.com/lleaopp?
http://blog.naver.com/cicialle?
http://www.jinro.com
브랜드 차별성 강화를 위한 소주 포장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진석 (2006)
참이슬fresh 시장분석자료
BRAND NAME
국회도서관& 인터넷 포털사이트& 학교 도서관 이용
<목차>
1. 경영철학1쪽
①최고의 품질 경영
②최상의 고객만족
③창조적인 혁신과 도전
④지속경영
⑤진로의 사회공헌활동
2. 분석2~5쪽
①시장점유율
②3C
③SWOT
④STP
⑤4P
3. 성공사례6쪽
4. 심벌7~8쪽
5. 라벨변천사8~9쪽
6. 참이슬9~11쪽
①제품의 특징
②알코올 함량 및 용량
③브랜드네임
④로고
⑤라벨디자인
⑥용기디자인
⑦캡
7. 패키지디자인12쪽
8. Brand Identity13쪽
9. 시대별제품14~15쪽
10. 광고15~22쪽
①소주광고 속의 미녀들의 수다
②과거의 광고
③여러 광고
11. 출처23쪽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7.10.09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10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