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작기계의 향후발전과 기술적인 문제점, 공작기계 산업의 특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작기계의 향후발전과 기술적인 문제점, 공작기계 산업의 특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공작기계의 향후발전
2. 공작기계의 기술적인 문제점
3. 공작기계 산업의 특성

본문내용

직립 드릴링 머신의 상부 기구를 같은 베드 위에 여러 개 나란히 장치한 것이며, 개개의 스핀들에 드릴과 그 밖의 여러 가지 공구를 장치하여 드릴링 가공, 리이밍 가공, 탭핑 가공 등을 연속적이고 능률적으로 작업할수 있다.
마. 보링 머신(boring machine) : 각각의 공정 중에 만들어진 구멍의 지름의 크기, 진원도, 원통도, 진직도, 위치 상호피치 등이 만족스럽지 못하므로 이들의 구멍을 정확한 치수로 절삭하는 공작기계이다.
1) 수평식 보링 머신 : 대표적인 보링 머신으며, 구조에 따라 테이블형 플로어형, 프레이너형이 있다.
2) 지그 보링 머신 : 주로 공구나 지그 가공을 목적으로 하며, 2~10㎛ 의 정밀도로 구멍을 가공할 수 있다.
3) 정밀 보링 머신 : 다이아몬드 또는 초경합금 공구를 사용하며, 정밀 선삭의 원리로 고속도 경절삭으로 정밀한 보링을 하는 기계이다.
바. 셰이퍼(shaper) : 일반적으로 소형 공작물의 평면이나 홈을 가공하는 공작기계이다. 일반 구조에 의하여 수평형(전진 절삭), 수평형(후진절삭), 질립형, 기어절삭으로 분류된다.
사. 기어 절삭기계
1) 호빙머신 : 호브라는 공구를 사용하여 기어를 깎는다.
2) 기어 셰이퍼 : 피니언형 공구 또는 랙형 공구를 왕복 운동시키고 기어 소재와 공구에 적당한 이송을 주면서 기어를 가공하는 공작기계이다.
아. 브로칭머신(broaching machine) : 다수의 절삭날을 일직선상에 비치한 절삭 공구를 사용한다. 공작물의 내면 또는 표면을 필요한 모양으로 절삭 완성하는 공작법이다.
자. 정밀 입자 가공
1) 랩핑 : 마모 현상을 가공에 응용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공작물과 랩 공구사이에 미분말 상태의 랩제와 윤활제를 넣고, 이들 사이에 상대 운동을 시켜 표면을 매끈하게 가공하는 방법.
2) 호닝(honing) : 직사각형 단면의 긴 숫돌을 지지봉의 끝에 방사 방향으로 붙여놓은 혼을 구멍에 넣고 회전 운동과 축 방향의 운동을 동시에 시키며 구멍의 내면을 정밀하게 다듬질하는 가공.
3) 슈퍼피니싱(super finishing) : 입도가 작고, 연한 숫돌을 작은 압력으로 가공물의 표면에 가압하면서 공작물에 피드를 주고, 또 숫돌을 진동시키면서 공작물을 완성 가공하는 방식
차. 특수가공(special ,machining)
1) 방전가공 : 가공액 중에서의 방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방전 전극의 소모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2) 와이어컷 방전 가공기 : 프레스 다이. 압출 다이, 테이퍼 가공 등 매우 폭넓은 가공을 할 수 있다. 가는 황동선 등을 전극으로 사용하고, 이 와이어에 장력을 주어 감으면서 요구하는 윤곽선을 딸 이동시켜 간다.
3) 전해가공 : 도금장치와는 반대로 도전성의 공구를 음극에, 공작물을 양극에 접촉하고, 그 사이에 전해질 용액을 분출시켜, 양극 사이에 저전압 대전류를 사용하여 공작물을 용해 가공 한다.
4) 초음파 가공 : 봉 또는 판상의 공구에 초음파 주파수의 진동을 주면서 공작물과 공구 사이에 연삭 입자를 두고 공작물을 정밀하게 다듬는 방법이다.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10.11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13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