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의 2차 가공품 - 떡에 대한 조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있는 우리의 전통 음식이다. 또한 포장에 신경을 쓴다면 빵과 같이 언제 어디서든 먹을 수 있는 음식인 것이다. 그러므로 판매하는 장소를 굳이 백화점이나 특별한 업장 외에, 궁궐이나 왕릉과 같은 관광지 주변에서 판매할 수도 있다. 이는 단지 떡의 판매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서가 아니라 관광지의 먹거리를 찾는 중요한 방안이 될 수 있다. 우리의 전통과 문화가 있는 곳에 그에 맞는 우리의 먹거리를 제공하는 것은 당연한 일인 것이다. 좀 더 다양한 판매 루트를 개발, 입점, 관리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현재의 유통 구조를 體系的으로 개선해야 한다. 대부분의 판매 매장은 제조업체로부터 떡을 제공받아 판매하게 된다. 그러니 그 유통 과정이 선명하지 않아 소비자의 입장에는 불안한 경우가 많다. 이는 체인점화, 브랜드화를 통해서 극복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3) 홍보 판촉 측면
전통 떡류의 홍보 방안 중 가장 效果的이라 할 만한 것은 직접 그 맛을 보여주고 소비를 유도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직접적 홍보는 쉽게 이루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눈으로 맛을 볼 수 있게끔 하는 책자의 발간과 전문 site의 운영이 필요하다. 떡을 소재로 한 개인 홈페이지들이나 궁중 음식 연구원과 같은 기관을 통해 떡이 간단히 소개되고 있고는 있지만 아직도 떡 전문 site가 존재하고 있지는 않다. 쉽게 떡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면 이는 홍보 효과 면에서 영향이 클 것이고, 홍보를 통한 판촉의 증대는 당연한 결과일 것이다.
4) 관련 상품 개발 측면
주 5일제로 인한 여가 시간의 증대로 가족과 함께 주말을 보내려는 경향이 늘고 있다. 떡을 직접 만들어서 먹을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특징을 살릴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기획으로 소비자의 눈길을 잡을 필요가 있다.
또한 국내에 안주한 시각만이 아니라 국외적으로 떡과 관련된 캐릭터의 개발이나 관련 도구의 商品化도 고려해 관광수입의 증대를 기대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결 론
본 report에서는 쌀을 이용한 2차 가공품 중에 떡에 대해 조사하였다.
먼저 서론의 1장에서는 쌀의 역사와 문화를, 2장에서는 떡의 由來와 역사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기본적인 배경 지식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본론의 1장 쌀의 일반적 특성에서 쌀의 영양성분 및 구성비와 쌀의 기능적 우수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2장 쌀산업의 여건 변화와 전망에서는 우리나라 및 세계의 쌀산업 여건 변화와 그에 따른 앞으로의 쌀 재고량 등을 예측해 보았다.
3장 우리나라 떡 문화와 풍속에서 전통적인 음식인 떡이 우리나라 실생활에서 어떻게 사용되어 왔고, 어떤 의미로 사용되어 왔는지와, 그리고 떡을 만들 때 사용되는 주재료, 부재료 및 도구들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았으며, 부가적으로 떡 만드는 방법에 따른 떡의 분류와 떡의 식품학적 의의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4장 떡이 되는 원리 및 제조 공정에서는 쌀의 호화 과정을 통해 주재료인 쌀이 어떻게 떡이 되는지에 대한 원리와 떡이 되는 과정에서 필요한 공정들을 알아보았다. 뿐만 아니라 그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전통적인 도구들과 현대의 요건에 맞춰 자동화된 기계 장비들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5장 전통 떡류 제조 및 판매 업체 현황과 6장 전통 떡류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에서는 떡 제조 및 판매 현황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전통 떡류의 문제점과 그 문제점을 개선시켜 나갈 방안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문제점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었다.
① 떡 소비 시장의 한계성
② 떡류 제품 개발 및 생산의 영세성
③ 가격과 품질의 조화 문제
④ 상품 개발, 제품 판매에 있어 중점 고객의 선정 미흡
⑤ 떡류의 용기 및 포장의 낙후, 연계 상품의 개발 미비
⑥ 판매업체의 마케팅 전략 부재
⑦ 지원과 육성책 미흡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시켜 나갈 방안은 다음과 같다.
① 상품 개발 측면에서 저장성을 높이고, 老化를 방지할 수 있는 연구의 필요성과 제품 포장과 관련된 연구의 병행
② 판매 유통 측면에서 한정된 떡 소비 시장의 확대를 위한 판매에 있어 분점이나 지점과 같은 체인점화
③ 홍보 판촉 측면에서 책자의 발간과 전문 site의 운영
④ 관련 상품 개발 측면에서 떡과 함께 연계된 패키지 상품의 개발
참 고 문 헌
1. 서적
1) 한복려, 쉽게 맛있게 아름답게 만드는 떡, 궁중음식연구원, 1999.
2) 윤서석, 우리나라 식생활 문화의 역사, 신광출판사, 1999.
3) 정재홍, 한국의 떡, 형설출판사, 2003.
4) 윤숙자, 한국의 떡 한과 음청류, 지구문화사, 2001.
5) 최순자, 한국의 떡, 한국외식정보, 2001.
2. 논문
1) 김옥선, 우리나라 전통 떡의 이용현황에 관한 연구 :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경희대 관광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2) 김민자, 한국전통음식의 관광상품화에 관한 연구 : 한국전통 떡류를 중심으로, 순천향대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3) 황혜전, 떡 상품의 대중화를 위한 이용실태 파악과 인지도 조사 : 서울지역 여성을 대상으로, 세종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4) 정효선, 한국 전통의 떡류와 한과류의 인지도 및 기호도에 관한 연구 : 대학생을 중심으로, 경희대 관광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5) 홍금선, 가공 판매되는 한국전통음식의 인지도 및 기호도 : 청주지역의 중학생과 성인을 대상으로,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9.
6) 유진현, 가래떡 제조의 최적화 및 뽕잎첨가 기능성 가래떡에 관한 연구, 경기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5.
3. 기타 관련 서적 및 SITE
1) 쌀의 품질과학,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2005.
2) 고품질 쌀 생산 유통 연계 방안 연구, 2차년도 완결보고서, 농촌진흥청, 2004.
3) 맛있고 영양 많은 쌀요리, 농촌진흥청, 2001.
4) 쌀가공식품현황 및 소비활성화 방안, 한국쌀가공식품협회, 2007.
5) 떡집 창업가이드
6) www.krfa.or.kr ( 한국쌀가공식품협회)
7) www.ssal.co.kr
8) www.dcake.co.kr (떡보의하루)
9) www.foodgi.com (한국식품기계연합)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7.10.12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14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