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설계의 목적
3. 시스템의 설계
4. 시스템 설계 결과
5. 시스템 설계 문제점과 보완점
6. 기대 효과
2. 설계의 목적
3. 시스템의 설계
4. 시스템 설계 결과
5. 시스템 설계 문제점과 보완점
6. 기대 효과
본문내용
7.70g
백동(Cu-Ni)
100원
24.00㎜
5.42g
백동(Cu-Ni)
50원
21.60㎜
4.16g
양백(Cu-Zn-Ni)
10원
22.86㎜
4.06g
구리황동
(Cu65%, Zn35%)
▲ 표.1 동전의 제원
동전의 입구 및 통로는 동전의 크기를 고려, 최적의 설계(40X3㎜)를 하며, 수직통로 는 동전의 속도를 일정하게 하기위하여 제작하며 동전이 투입 방향과 직각을 이루어 들어오는 속도를 제한한다. (그림.1)
▲ 그림.1 크기를 이용한 동전분류 시스템의 설계도면
분류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는 턱은 기차가 레일을 선택적
으로 변환 할 수 있는 원리에 착안, 동전의 크기를 계산하여 턱을 그 크기에 맞게 위쪽으로 설치하여 큰 동전부터 걸리도록 설계 한다. 턱에 걸리는 동전은 옆쪽의 통로로 빠져 나오게 되어 동전의 종류 별로 분류가 된다.(그림.2)
▲ 동전이 걸리는 턱
▲ 동전이 걸리는 턱(확대도)
그림.2 동전 분류턱의 완성
각각의 동전이 분류되면 그 동전을 인식하기 위해서 포토 센서를 설치하였다.
포토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져서 동전이 포토센서 사이로 지나갈 때 빛이 차단되어 동전의 통과 여부를 알 수 있다.
각각의 통로에 포토센서를 설치하여 각 포토센서에서 받아들인 신호를 LED의 점멸여부로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그림.3)
밑의 그림.4 는 포토센서의 회로도이다.
▲ 포 토 센 서
▲ LED 디스플레이
그림.3 포토센서와 LED
▲ 그림.4 포토센서의 회로도
이로 인해 동전이 투입구로 들어오게 되면 동전의 종류별로 분류되어 나와서 각 출구 부분에 있는 포토센서를 통과하면 그림과 같이 분류된 동전을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그림. 5)
▲500원 LED 점멸
▲100원 LED 점멸
▲50원 LED 점멸
▲그림.5 분류된 동전
4. 시스템 설계 결과
▲ 동전분류시스템의 완성된 모습
▲ 분류된 동전을 LED에 표시
다음과 같이 제작 되어서 동전 분류 실험을 하였다.
- 50회의 실험 결과 -
성공횟수
실패횟수
성공확률(%)
500원
50
0
100%
100원
45
5
90%
50원
47
3
94%
10원
50
0
100%
5. 시스템 설계 문제점과 보완점
설계할 때 제품의 재질이 종이라서 표면이 고르지 못하여 동전이 턱에 걸리지 않고 종이의 굴곡면에 튀어서 다른 통로로 들어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문제점은 설계 재료를 종이가 아닌 표면이 매끄러운 재료를 이용하면 실험의 오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턱과 외부로 연결되는 통로의 길이를 줄이고 턱을 가로 길이를 더 길게 설계 한다면 오차는 더더욱 줄어들 것이다.(그림.6)
▲ 그림.6 동전 턱과 외부로 연결된 통로
6. 기대 효과
일반 자판기에는 동전이 분류가 되지 않고 동전을 인식만 하지만 현재 우리가 설계한 동전 분류기는 좀더 간단한 설계로 인식과 분류를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동전을 인식하고 분류하는 모든 시스템에 우리가 설계한 동전 분류기를 좀더 보완하여 사용한다면 간단한 방법으로 동전을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백동(Cu-Ni)
100원
24.00㎜
5.42g
백동(Cu-Ni)
50원
21.60㎜
4.16g
양백(Cu-Zn-Ni)
10원
22.86㎜
4.06g
구리황동
(Cu65%, Zn35%)
▲ 표.1 동전의 제원
동전의 입구 및 통로는 동전의 크기를 고려, 최적의 설계(40X3㎜)를 하며, 수직통로 는 동전의 속도를 일정하게 하기위하여 제작하며 동전이 투입 방향과 직각을 이루어 들어오는 속도를 제한한다. (그림.1)
▲ 그림.1 크기를 이용한 동전분류 시스템의 설계도면
분류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는 턱은 기차가 레일을 선택적
으로 변환 할 수 있는 원리에 착안, 동전의 크기를 계산하여 턱을 그 크기에 맞게 위쪽으로 설치하여 큰 동전부터 걸리도록 설계 한다. 턱에 걸리는 동전은 옆쪽의 통로로 빠져 나오게 되어 동전의 종류 별로 분류가 된다.(그림.2)
▲ 동전이 걸리는 턱
▲ 동전이 걸리는 턱(확대도)
그림.2 동전 분류턱의 완성
각각의 동전이 분류되면 그 동전을 인식하기 위해서 포토 센서를 설치하였다.
포토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져서 동전이 포토센서 사이로 지나갈 때 빛이 차단되어 동전의 통과 여부를 알 수 있다.
각각의 통로에 포토센서를 설치하여 각 포토센서에서 받아들인 신호를 LED의 점멸여부로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그림.3)
밑의 그림.4 는 포토센서의 회로도이다.
▲ 포 토 센 서
▲ LED 디스플레이
그림.3 포토센서와 LED
▲ 그림.4 포토센서의 회로도
이로 인해 동전이 투입구로 들어오게 되면 동전의 종류별로 분류되어 나와서 각 출구 부분에 있는 포토센서를 통과하면 그림과 같이 분류된 동전을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그림. 5)
▲500원 LED 점멸
▲100원 LED 점멸
▲50원 LED 점멸
▲그림.5 분류된 동전
4. 시스템 설계 결과
▲ 동전분류시스템의 완성된 모습
▲ 분류된 동전을 LED에 표시
다음과 같이 제작 되어서 동전 분류 실험을 하였다.
- 50회의 실험 결과 -
성공횟수
실패횟수
성공확률(%)
500원
50
0
100%
100원
45
5
90%
50원
47
3
94%
10원
50
0
100%
5. 시스템 설계 문제점과 보완점
설계할 때 제품의 재질이 종이라서 표면이 고르지 못하여 동전이 턱에 걸리지 않고 종이의 굴곡면에 튀어서 다른 통로로 들어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문제점은 설계 재료를 종이가 아닌 표면이 매끄러운 재료를 이용하면 실험의 오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턱과 외부로 연결되는 통로의 길이를 줄이고 턱을 가로 길이를 더 길게 설계 한다면 오차는 더더욱 줄어들 것이다.(그림.6)
▲ 그림.6 동전 턱과 외부로 연결된 통로
6. 기대 효과
일반 자판기에는 동전이 분류가 되지 않고 동전을 인식만 하지만 현재 우리가 설계한 동전 분류기는 좀더 간단한 설계로 인식과 분류를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동전을 인식하고 분류하는 모든 시스템에 우리가 설계한 동전 분류기를 좀더 보완하여 사용한다면 간단한 방법으로 동전을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확률분포의 개념정리
[독후감] 아메리칸 버팔로 (American Buffalo) 를 읽고
신탁법상의 신탁종료사유와 관련된 판례해설(신탁법 제55조, 제56조, 제57조, 제58조)
실습유치원 부분수업 무게 이야기나누기
초등 6학년 1학기 화학 실험 보고서
VHDL을 이용한 자판기 설계
모두투어 여행사의 마케팅 전략 방안
짝자극 기법프로그램
[영화감상문] (최신A+)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No Country For Old Men) [분석적영화감상...
아동기억발달,아동기억,아동기 사고의 특성,기억의 종류와 과정.ppt
자판기회로.ppt
[일반화학실험] (예비와 결과) 전기분해와 도금 - 전기 에너지를 이용해서 일어나는 화학 반...
[레포트]일본日本문화의 이해-일본의 색다른 매력, 자판기
상징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