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글 속에서 우리는 ‘헤세적인’ 답을 찾았다. 그것은 도저히 종잡을 수가 없는 미로 같은 것이 아니다. “용기”, 그것은 가장 본연적인 모습으로 자신을 세상에 과감히 던지라는 말과도 같다. 우리는 많은 순간에 진리를 알면서도 외면한다. 그 진리가 나를 덮치지 않을 작은 것이라고 여겨질 때 말이다. 하지만 어떤 진리도 초라한 것은 없다. 외면했을 때 나를 덮치지 않을 작은 진리라도, 내가 정면으로 맞섰을 때는 그 작은 진리가 인생의 전반에 걸쳐 나를 만들어간다. 나와 내가 아닌 것 사이의 경계를 분명히 해준다. 우리가 퇴색된 영혼으로 살아갈 것인가, 아니면 분명한 나 자신이라는 주체로서 살아갈 것인가 하는 것은 우리의 선택을 기다리는 수동적인 명제이다. 우리는 그 명제 앞에서 얼마나 능동적인가? 얼마나 진솔하게 이해하고 용감하게 대응하는가? 우리는 삶에게 살아질 것인가, 삶을 살아낼 것인가? 또한 ‘어떻게’ 살아낼 것인가? 현대에까지도 유효한 이 질문들 때문에, 나는 감히 헤세는 아직도 죽지 않았다고 말하고 싶다.
“너는 어머니의 품 속에 잠자지만, 나는 황야에서 눈을 뜨고 있다. 너의 꿈은 소녀의 꿈을 꾸지만, 나는 소년을 꿈꾼다.”
-나르치스
-END
“너는 어머니의 품 속에 잠자지만, 나는 황야에서 눈을 뜨고 있다. 너의 꿈은 소녀의 꿈을 꾸지만, 나는 소년을 꿈꾼다.”
-나르치스
-END
추천자료
[독서 감상문] 내가 사랑하는 클래식
문학과인생/신상성의 구원의땅과 윤후명의 누란의 사랑 비교분석
[독후감 및 서평]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향연을 읽고 - 플라톤과 나의 사랑에 대한 관념 차이(A+)
동사서독 을 본 후의 이미지 영화에 대한 생각과 시간 또는 사랑에 관한 생각[영화 동사서독 ...
[ 영화감상문 ]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
[장애극복][감동적영화][일본영화]뷰티풀마인드+1리터의눈물+박사가사랑한수식 영화감상문
[교양]사랑의 기술
[독후감] 맥스 슐먼의 ‘Love is a fallacy’를 읽고...... 『사랑은 논리가 아닌 감정으로 풀...
영화 ‘My Best Friend's Wedding' 에 나타난 사랑의 종류
[독후감] 선과 악, 그리고 사랑 <4월의 물고기>를 읽고.. _ 권지예 저
변증학발표-이슬람,이슬람의 신관,알라의 거룩성과 도덕성,알라의 사랑과 용서,꾸란의 특징 ...
눈물 없이 볼 수 없는 노부부의 사랑을 그린 영화 ‘님아, 그 강을 건너지마오’ 영화감상문
(혜민스님) 완벽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사랑 감상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