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북한의 정보통신 현황
Ⅱ. 북한의 정보통신 분야
1. 북한의 과학기술
2. 북한의 인터넷 이용
3. 북한의 정보통신 인프라
⑴ 기간통신
① 시내 ․ 공중전화
② 시외전화
③ 국제전화
④ 위성통신
⑤ 이동통신
⑵ 광통신망
4. 북한의 하드웨어 산업
5. 북한의 소프트웨어 산업
Ⅲ. 북한의 정보통신과 한국
Ⅱ. 북한의 정보통신 분야
1. 북한의 과학기술
2. 북한의 인터넷 이용
3. 북한의 정보통신 인프라
⑴ 기간통신
① 시내 ․ 공중전화
② 시외전화
③ 국제전화
④ 위성통신
⑤ 이동통신
⑵ 광통신망
4. 북한의 하드웨어 산업
5. 북한의 소프트웨어 산업
Ⅲ. 북한의 정보통신과 한국
본문내용
대상일 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서의 교류, 협력이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남북한 IT 합작 사업에 대해서는 낙관론자들과 비관론자들의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
낙관론자들의 경우 북한 IT인력이 우수하고 인건비가 저렴하며 북한 IT인력의 경우 이직이 없기 때문에 남북 IT 합작 사업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지만 비관론자의 경우 북한은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이 전무하며 신기술 동향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마케팅, 효율, 지적 재산에 대한 개념이 부족하며 개발 관련 장비 및 툴이 취약하다는 점을 이유로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고수석 외(2002), 「김정일과 IT 혁명」, p203~204
현재까지 남한 기업들의 대부분은 비관론에 무게를 많이 싣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바로 가장 중요한 것이 북한의 태도 변화라고 생각한다. 남한의 기업들이 투자를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고 정치적인 이유로 인터넷 개방은 힘들다고 할지라도 남한 기술자들의 장기 체류 보장이나 남한 기업인들이 자유롭게 왕래 할 수 있도록 말이다.
이러한 것들만 보장된다고 하더라도 아마 많은 남한의 기업들이 북한을 믿고 돈을 투자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남북한 모두 정보산업 분야가 얼마나 중요한 지를 잘 알고 있고 또한 국가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다. 북한은 하드웨어 분야가 취약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분야에 집중하고 있고 우리나라는 하드웨어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프트웨어 분야가 취약하다. 따라서 남과 북이 서로 잘 협력하여 정보산업 기술 분야를 잘 발전시켜 나간다면 아마 정보산업 분야의 강대국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가장 먼저 남과 북이 교육 분야에 대해 서로 협력을 해야 한다. 그리고 남북 공동 표준을 만들어야 한다. 지금 현재 남북간 정보통신 용어 및 시스템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부분이 매우 많다. 이는 남북간 격차 해소에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고 기술교류에도 어려움을 준다. 따라서 남북간 기술 표준 및 용어에 있어 표준화를 시킨다면 남북 제품간 호환성 추진의 용이, 체계적인 통신망 구축, 초고속정보통신망의 이용 극대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남한의 북한 소프트웨어 제품의 수출 사업화 지원이다. 북한을 남한 기업의 제3국 수출 제품 생산 거점으로 활용하여 북한의 대회 진출을 지원하는 한편 공동 투자 등을 통해 대외 경쟁력은 갖고 있으나 아직 상품화되어 있지 않은 소프트웨어의 수출 사업화를 지원하는 것이다.
지금 남과 북이 서로 협력하여 IT 합작 사업을 한다면 분명 두 국가가 가까워질 뿐만 아니라 서로의 정보통신 기술 발전에도 상당한 도움을 줄 것이다. 그중에서도 내가 생각했을 때 우리가 가장 크게 얻을 수 있는 이익은 바로 과학기술 분야라고 생각한다. 아까도 언급했듯이 북한은 이미 ‘광명성 1호’를 발사하여 우주 산업 분야의 기술력이 상당한 수준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분명 북한의 로켓 개발 기술은 우리보다 한 발 앞서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북한의 기술을 우리가 흡수하여 우리 것으로 만든다면 우리나라가 정보통신 기술 분야 뿐만 아니라 이제는 군사기술 쪽으로도 강대국이 될 수 있는 두 마리의 토끼를 한 번에 다 잡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참 고 문 헌 ◁
이종희 외(2003), 「북한의 정보통신기술」
고수석 외(2002), 「김정일과 IT 혁명」
고경민(2004), 「북한의 IT전략」
http://blog.naver.com/jki0627?Redirect=Log&logNo=100012416500
http://blog.daum.net/tongiledu/7879491
하지만 남북한 IT 합작 사업에 대해서는 낙관론자들과 비관론자들의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
낙관론자들의 경우 북한 IT인력이 우수하고 인건비가 저렴하며 북한 IT인력의 경우 이직이 없기 때문에 남북 IT 합작 사업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지만 비관론자의 경우 북한은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이 전무하며 신기술 동향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마케팅, 효율, 지적 재산에 대한 개념이 부족하며 개발 관련 장비 및 툴이 취약하다는 점을 이유로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고수석 외(2002), 「김정일과 IT 혁명」, p203~204
현재까지 남한 기업들의 대부분은 비관론에 무게를 많이 싣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바로 가장 중요한 것이 북한의 태도 변화라고 생각한다. 남한의 기업들이 투자를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고 정치적인 이유로 인터넷 개방은 힘들다고 할지라도 남한 기술자들의 장기 체류 보장이나 남한 기업인들이 자유롭게 왕래 할 수 있도록 말이다.
이러한 것들만 보장된다고 하더라도 아마 많은 남한의 기업들이 북한을 믿고 돈을 투자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남북한 모두 정보산업 분야가 얼마나 중요한 지를 잘 알고 있고 또한 국가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다. 북한은 하드웨어 분야가 취약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분야에 집중하고 있고 우리나라는 하드웨어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프트웨어 분야가 취약하다. 따라서 남과 북이 서로 잘 협력하여 정보산업 기술 분야를 잘 발전시켜 나간다면 아마 정보산업 분야의 강대국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가장 먼저 남과 북이 교육 분야에 대해 서로 협력을 해야 한다. 그리고 남북 공동 표준을 만들어야 한다. 지금 현재 남북간 정보통신 용어 및 시스템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부분이 매우 많다. 이는 남북간 격차 해소에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고 기술교류에도 어려움을 준다. 따라서 남북간 기술 표준 및 용어에 있어 표준화를 시킨다면 남북 제품간 호환성 추진의 용이, 체계적인 통신망 구축, 초고속정보통신망의 이용 극대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남한의 북한 소프트웨어 제품의 수출 사업화 지원이다. 북한을 남한 기업의 제3국 수출 제품 생산 거점으로 활용하여 북한의 대회 진출을 지원하는 한편 공동 투자 등을 통해 대외 경쟁력은 갖고 있으나 아직 상품화되어 있지 않은 소프트웨어의 수출 사업화를 지원하는 것이다.
지금 남과 북이 서로 협력하여 IT 합작 사업을 한다면 분명 두 국가가 가까워질 뿐만 아니라 서로의 정보통신 기술 발전에도 상당한 도움을 줄 것이다. 그중에서도 내가 생각했을 때 우리가 가장 크게 얻을 수 있는 이익은 바로 과학기술 분야라고 생각한다. 아까도 언급했듯이 북한은 이미 ‘광명성 1호’를 발사하여 우주 산업 분야의 기술력이 상당한 수준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분명 북한의 로켓 개발 기술은 우리보다 한 발 앞서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북한의 기술을 우리가 흡수하여 우리 것으로 만든다면 우리나라가 정보통신 기술 분야 뿐만 아니라 이제는 군사기술 쪽으로도 강대국이 될 수 있는 두 마리의 토끼를 한 번에 다 잡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참 고 문 헌 ◁
이종희 외(2003), 「북한의 정보통신기술」
고수석 외(2002), 「김정일과 IT 혁명」
고경민(2004), 「북한의 IT전략」
http://blog.naver.com/jki0627?Redirect=Log&logNo=100012416500
http://blog.daum.net/tongiledu/7879491
추천자료
[공과대]-마이크로 프로세스의 구성요소,레지스터,외부 핀기능
일본의 게임 콘텐츠 산업
컴퓨터 운영체제의 이해
일본게임산업의 현황과 한국게임의 일본 진출 전망
x.25와 패킷통신
IT산업에 관한 보고서
전세계 임베디드 S/W 시장 동향
인도의 IT산업 정책
[e비즈니스]인터넷 비즈니스 수익모델 분석-다음(DAUM)사이트의 UCC (A+리포트)
정부의 디지털컨텐츠교육지원 사례, 정부의 지방교육지원 사례, 지방자치단체의 교육지원 사...
중국 IT산업
경영정보시스템 6장 토의&사례
<<인간과과학>>인공지능의 발달이 인류사회를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을지 생각해 보시오.
(인간과 과학1)인공지능의 발달이 인류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사회를 어떻게 바꿀 것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