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작가소개

2. 줄거리

3. 인물소개

4.. 일본의 정신 문화와 인간관계

5. 공간배경

6.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과 문화적 기호

본문내용

린"을 만나게 된다. 그녀는 "치히로"에게 단번에 촌스럽다고 말한다. 이것은 자본주의의 성격을 단적으로 말해주는 것이다. 언제나 새롭게 진입하는 이들에게 자본주의는 촌스럽다고 말한다. 자본주의는 언제나 새로운 유행과 상품을 만들어내고 이를 상대적으로 가지지 못한 이들에게 촌스럽다는 딱지를 붙이면서 자신들의 세계로 재빨리 뛰어들어 일원이 되라는 위세를 부린다. 질서인이 되기 위해서는 열심히 일해야 한다.
그렇다면 이 자본주의를 실질적으로 통치하는 자는 누구인가? 여기에서 목욕여관은 그 성격상 일본체제를 상징한다. 따라서 일본 자본주의를 의미한다. "유바바"는 이 목욕여관을 지배하는 마녀이다. 그런데 왜 마녀인가?
유바바의 등장 이전까지 문화기호는 온통 일본 일색이었다. 그런데 "유바바"는 서구문화 기호의 상징이다. 방안 장식, 크고 파란 창백한 피부, 메부리코, 금발의 머리는 분명 일본의 상징이 아니라 서구를 상징하는 문화 기호이다. 그것은 현재 일본 자본주의 사회가 자신들의 정체성이 아니라고 보는 것이다. 일본이 지배하고 있는 것은 서구에서 건너온 마녀 같은 자본주의 이데올로기인 것이다.
"치히로"는 자본주의의 포로가 된 부모를 구출하기 위해 계약서를 쓰고 그곳에서 일하게 된다. 계약서는 새로운 현대판 노예증명서가 된다. 그러한 마녀 이데올로기는 어떻게 사람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그것은 "카오나시" 라는 얼굴 없는 귀신을 통해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카오나시"는 목욕여관에 들어오지 못하고 방황을 한다. 그런데 "치히로"가 들여보내 준다. 이러한 관심과 대접은 "카오나시"에게 매우 큰 감명을 준다. 그는 매우 외롭고 고독한 존재이다. 강의 신이 남긴 사금을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을 보고 사금을 통해 외로움과 고독을 해소하려 하고 사랑도 사려고 한다. 소비를 통해 고독의 해결하고 비고독 수단을 소유하려 한다. 사람들은 이 사금을 얻기 위해 엄청난 경쟁을 하게 되고 "카오나시"는 이를 즐긴다. 그 사금은 실제 가치, 노동과는 상관없는 마법과 같은 현대 금융자본의 투기 이익과 비슷하다. 이 사금을 뿌리면서 "카오나시"는 고독과 외로움이 해소된 것으로 여긴다. 사람들에게 사금을 주는 한 그들은 자신에게 관심을 가져주고 대접이 융숭하기 때문이다. 이는 우리의 자화상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러한 허상은 치히로의 말에서 깨어진다.
여기에서 주목할 것은 사람들이다. 그들의 생활은 매우 전통적이고 인간적이다. 같이 일하고 같이 먹고 같이 잠자는 공동체의 모습. 현재와 다른 과거 일본 사회의 모습이다. 이는 매우 일본적인 필치로 그려진다. 마녀 "유바바"의 생활은 홀로 애완견 같이 아이를 키우는 서구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에서 극단적으로 대비된다. 그렇게 인간적이고 일본 공동체의 성격으로 잘 드러내는 사람들이 사금 앞에서는 탐욕스럽게 변하는 것이다. "치히로"는 "카오나시"에게 내가 바라는 것을 사금으로 살 수 없다고 말함으로서 "카오나시"의 허구적인 환상을 깬다. 고독과 외로움은 돈으로 해결될 수 없다. 그럼 무엇으로 해결 될 수 있을까?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10.19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27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