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몽은 누구인가?
2. 주몽신화 요약
3. 김호성 역사소설 「주몽」 내용요약
4. 김호성 역사소설 「주몽」과 주몽신화와의 비교
1) 주몽의 아버지 : 해모수
2) 주몽의 탄생
3) 주몽의 탈출
4) 어머니 유화의 도움
5) 고구려의 건국과 다물(多勿)
5. 늘봄 소설「주몽」과 주몽신화와의 비교
1) 주몽의 아버지 : 해모수
2) 해모수와 유화의 만남
3) 유화와 금와왕의 만남
4) 주몽의 탄생
5) 주몽의 탈출
6) 고구려의 건국과 다물(多勿)
6. 결 론
2. 주몽신화 요약
3. 김호성 역사소설 「주몽」 내용요약
4. 김호성 역사소설 「주몽」과 주몽신화와의 비교
1) 주몽의 아버지 : 해모수
2) 주몽의 탄생
3) 주몽의 탈출
4) 어머니 유화의 도움
5) 고구려의 건국과 다물(多勿)
5. 늘봄 소설「주몽」과 주몽신화와의 비교
1) 주몽의 아버지 : 해모수
2) 해모수와 유화의 만남
3) 유화와 금와왕의 만남
4) 주몽의 탄생
5) 주몽의 탈출
6) 고구려의 건국과 다물(多勿)
6. 결 론
본문내용
. 소설에서는 현실적으로 설명하기 힘든 이 과정을 '하늘의 뜻'으로 간주해 풀이했다.
3) 유화와 금와왕의 만남
신화에서는 금와왕과 유화 부인의 만남이 우연으로 연결되어 있다. 우연히 그물에 걸려서 유화부인을 맞은 것으로 되어있다. 이 역시 비현실적이다. 소설에서는 금와와 유화의 만남이 필연적이다. 금와는 유화를 우연히 만난 것이 아니라, 하백의 나라인 개마국에 가서 볼모로 데려온 것이다. 이러한 과정 역시 주몽이 예맥을 통일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으로 전부추측할 수 있다. 이 역시 예정된 '하늘의 뜻'으로 풀이된다고 보여진다.
4) 주몽의 탄생
가장 비 현실적인 부분으로 저자가 지적한, 대표적인 부분이다. 신화에서 주몽은 알에서 태어나 버려지지만 신비롭게 태어난다. 그리고 알아서 말도 하고 활도 쏜다. 하지만 소설에서는 이 부분 역시 알=아리, 아리씨의 혈통으로 태어났음을 말할 뿐 알에서 태어나서 바로 말하는 비현실적인 부분은 배재되어 있다. 오히려 태어나자마자 사라져, 머슴살이와 묵거와의 만남을 통해 신화에서 배재된 부분을 문학적으로 추가하여 극적인 요소를 살리고 개연성을 높이고 있다.
5) 주몽의 탈출
신화속의 주몽은 준마를 얻음과 동시에 부여를 떠나서 엄수를 거북이를 밟고 건넌다. 그러나 소설에서는 준마를 얻고 사냥대회에 출전하여 후계자가 되나, 대소의 반란으로 인한도망 끝에 졸본지역으로 가기 위해 강가에서 우연히 하백의 외손자인 자신의 이종사촌을 만나게 된다. 그 덕에 강을 건너게 된다. 차이가 나는 이유는 먼저 신화와는 다르게 후계자까지 될 수 있었던 것은 역시 "예맥 통일"이라는 대의에 의해 가능하였고, 예씨 부인과의 혼인을 추가하여 주몽이 가정에 빠져 반란군에 대해 신경을 못 쓸 이유를 만들어서 도망가게 한 것이다. 엄수를 건너는 과정에서도 거북이를 밟고 지나가는 것이 비현실적이기 때문에 물의 신인 하백의 외손자인 주몽의 혈통을 살려서 이종사촌을 만나게 하여 배를 구하는, 현실적인 방법으로 서술되었다.
6) 고구려의 건국과 다물(多勿)
신화에서는 이 부분 역시 신비롭게 다뤄진다. 그러나 소설에서는 이 부분 역시 현실적으로 다뤄진다. 전투 끝에 비류국을 정벌하는데, 홍수가 나는 부분이 특히 다르다. 신화에서는 주몽의 주술로 홍수가 나서 결정적으로 비류국을 정벌하는 계기가 된다. 허나 소설에서는 홍수가 우연히 난 것이고, 이를 이용하여 비류국에 소문(하느님의 아들 추모에게 맞서면 안된다)는 식으로 서술되어 있다.
6. 결 론
소설에서는 신화보다 많은 내용이 추가되어 있다. 소서노, 후계자 다툼, 개국과정 등이다.
소서노의 등장으로 인해서 내용이 좀 더 극적일 수 있었고, 후계자 다툼이 있으므로 인해서 주몽의 무술 실력이라든지 주몽 근처 인물들이 큰 역할을 하며, 그들에 대해 자세히 서술하고 있다. 개국과정에서도 적은 인원으로 개국하는 신화의 내용보다는 '하늘의 뜻'에 의거해재사, 마리 같은 역사관을 지닌 '선비'를 백성으로 준비해 놓음으로써 고구려에 대한 정통성이 확보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왜 소설과 신화는 차이가 나는 것일까? 먼저 저자가 주몽을 소설로 쓰면서 신화적 비현실적인 내용을 현실적으로 풀이하려고 하였다. 그러한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신화적 사실과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 그 과정에서 소설은 비현실적인 많은 내용을 '단군 후예의 정통성', '하늘의 뜻' 등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주몽이 새로운 나라 고구려를 세움에있어 정당성을 부여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이러한 비현실적인 신화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는, 신화는 우리의 삶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교훈을 주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주몽은 천제의 손자이며 하백의 외손자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신의 자손이라는 관념을 가지게 되며, 자신을 더욱 소중히 여길 수 있다. 또한 주몽이 어려서의 고난과 시련을 이기고 고구려를 건국한 것을 통해, 우리 또한
삶에 있어서 어떠한 고난과 시련이 닥쳐도 이를 이겨낸다면, 꿈을 이룰 수 있다는 교훈을준다.
*목 차
1. 주몽은 누구인가?
2. 주몽신화 요약
3. 김호성 역사소설 주몽 내용요약
4. 김호성 역사소설 주몽과 주몽신화와의 비교
1) 주몽의 아버지 : 해모수
2) 주몽의 탄생
3) 주몽의 탈출
4) 어머니 유화의 도움
5) 고구려의 건국과 다물(多勿)
5. 늘봄 소설주몽과 주몽신화와의 비교
1) 주몽의 아버지 : 해모수
2) 해모수와 유화의 만남
3) 유화와 금와왕의 만남
4) 주몽의 탄생
5) 주몽의 탈출
6) 고구려의 건국과 다물(多勿)
6. 결 론
3) 유화와 금와왕의 만남
신화에서는 금와왕과 유화 부인의 만남이 우연으로 연결되어 있다. 우연히 그물에 걸려서 유화부인을 맞은 것으로 되어있다. 이 역시 비현실적이다. 소설에서는 금와와 유화의 만남이 필연적이다. 금와는 유화를 우연히 만난 것이 아니라, 하백의 나라인 개마국에 가서 볼모로 데려온 것이다. 이러한 과정 역시 주몽이 예맥을 통일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으로 전부추측할 수 있다. 이 역시 예정된 '하늘의 뜻'으로 풀이된다고 보여진다.
4) 주몽의 탄생
가장 비 현실적인 부분으로 저자가 지적한, 대표적인 부분이다. 신화에서 주몽은 알에서 태어나 버려지지만 신비롭게 태어난다. 그리고 알아서 말도 하고 활도 쏜다. 하지만 소설에서는 이 부분 역시 알=아리, 아리씨의 혈통으로 태어났음을 말할 뿐 알에서 태어나서 바로 말하는 비현실적인 부분은 배재되어 있다. 오히려 태어나자마자 사라져, 머슴살이와 묵거와의 만남을 통해 신화에서 배재된 부분을 문학적으로 추가하여 극적인 요소를 살리고 개연성을 높이고 있다.
5) 주몽의 탈출
신화속의 주몽은 준마를 얻음과 동시에 부여를 떠나서 엄수를 거북이를 밟고 건넌다. 그러나 소설에서는 준마를 얻고 사냥대회에 출전하여 후계자가 되나, 대소의 반란으로 인한도망 끝에 졸본지역으로 가기 위해 강가에서 우연히 하백의 외손자인 자신의 이종사촌을 만나게 된다. 그 덕에 강을 건너게 된다. 차이가 나는 이유는 먼저 신화와는 다르게 후계자까지 될 수 있었던 것은 역시 "예맥 통일"이라는 대의에 의해 가능하였고, 예씨 부인과의 혼인을 추가하여 주몽이 가정에 빠져 반란군에 대해 신경을 못 쓸 이유를 만들어서 도망가게 한 것이다. 엄수를 건너는 과정에서도 거북이를 밟고 지나가는 것이 비현실적이기 때문에 물의 신인 하백의 외손자인 주몽의 혈통을 살려서 이종사촌을 만나게 하여 배를 구하는, 현실적인 방법으로 서술되었다.
6) 고구려의 건국과 다물(多勿)
신화에서는 이 부분 역시 신비롭게 다뤄진다. 그러나 소설에서는 이 부분 역시 현실적으로 다뤄진다. 전투 끝에 비류국을 정벌하는데, 홍수가 나는 부분이 특히 다르다. 신화에서는 주몽의 주술로 홍수가 나서 결정적으로 비류국을 정벌하는 계기가 된다. 허나 소설에서는 홍수가 우연히 난 것이고, 이를 이용하여 비류국에 소문(하느님의 아들 추모에게 맞서면 안된다)는 식으로 서술되어 있다.
6. 결 론
소설에서는 신화보다 많은 내용이 추가되어 있다. 소서노, 후계자 다툼, 개국과정 등이다.
소서노의 등장으로 인해서 내용이 좀 더 극적일 수 있었고, 후계자 다툼이 있으므로 인해서 주몽의 무술 실력이라든지 주몽 근처 인물들이 큰 역할을 하며, 그들에 대해 자세히 서술하고 있다. 개국과정에서도 적은 인원으로 개국하는 신화의 내용보다는 '하늘의 뜻'에 의거해재사, 마리 같은 역사관을 지닌 '선비'를 백성으로 준비해 놓음으로써 고구려에 대한 정통성이 확보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왜 소설과 신화는 차이가 나는 것일까? 먼저 저자가 주몽을 소설로 쓰면서 신화적 비현실적인 내용을 현실적으로 풀이하려고 하였다. 그러한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신화적 사실과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 그 과정에서 소설은 비현실적인 많은 내용을 '단군 후예의 정통성', '하늘의 뜻' 등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주몽이 새로운 나라 고구려를 세움에있어 정당성을 부여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이러한 비현실적인 신화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는, 신화는 우리의 삶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교훈을 주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주몽은 천제의 손자이며 하백의 외손자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신의 자손이라는 관념을 가지게 되며, 자신을 더욱 소중히 여길 수 있다. 또한 주몽이 어려서의 고난과 시련을 이기고 고구려를 건국한 것을 통해, 우리 또한
삶에 있어서 어떠한 고난과 시련이 닥쳐도 이를 이겨낸다면, 꿈을 이룰 수 있다는 교훈을준다.
*목 차
1. 주몽은 누구인가?
2. 주몽신화 요약
3. 김호성 역사소설 주몽 내용요약
4. 김호성 역사소설 주몽과 주몽신화와의 비교
1) 주몽의 아버지 : 해모수
2) 주몽의 탄생
3) 주몽의 탈출
4) 어머니 유화의 도움
5) 고구려의 건국과 다물(多勿)
5. 늘봄 소설주몽과 주몽신화와의 비교
1) 주몽의 아버지 : 해모수
2) 해모수와 유화의 만남
3) 유화와 금와왕의 만남
4) 주몽의 탄생
5) 주몽의 탈출
6) 고구려의 건국과 다물(多勿)
6. 결 론
추천자료
기독교 선교사 - 스티븐 닐, 성광문화사, Page117-218. 요약
기독교 문화관
정보재(디지털 상품)의 가격전략
[서평]옛이야기에 나타난 한국인의 삶과 죽음
단군신화에대해
한국고대신화
우리 조상들의 빗물 활용
[CEO 워런 버핏] 워런 버핏을 철저히 분석 요약 정리한 자료
무너진 성벽을 막아서라
[기독교 문화관]을 읽고
[건국신화][가야][고구려][백제][고려][대하][만주족][만주][단군][단군신화][건국][신화]가...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 『동명성왕, 유리왕』신화 속 에서 살아가던 그들의 인간적인 이면과 삶
하백의 딸들
사회문제) 우리나라 주택문제에 대하여 논하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