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직업의 특징과 세부 현황 - 정권 분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분야별 특징
1. 당
2. 내각
3. 최고인민회의
4. 최고재판소
5. 군
6. 보안기관
7. 사회단체

Ⅱ. 세부 직업현황
1. 중앙당 간부
2. 지방당 간부
3. 내각원
4. 외교관
5. 대의원
6. 판사
7. 검사
8. 변호사

본문내용

의 직업하사관과 유사하며 각급 부대 참모부 대열과에서 만기복무한 하전사를 대상으로 선발하고 있다. 선발된 하사관들은 일반 및 기술 하사관으로 구분하여 각 하사관 교육기관에서 6개월~1년의 교육을 받고 각급 군부대에 배치된다.
또한 고등중학 졸업생 중에서 성적을 고려하여 선발, 김형직군의대학김철주포병대학 등에 입학시켜 전문 군사일꾼으로 양성하기도 한다.
군관들은 북한 사회에서 어려운 경제여건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나은 대우를 받는 집단으로서 각종 특혜 및 물질적 혜택을 누리고 있다. 상장급 이상은 특별한 과오가 없는 한 종신복무가 가능하나 위관급과 영관급 군관은 계급정년이 적용되어 50세 이전에 제대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여성군인들의 경우 전투단 소속의 경우는 결혼 적령기를 고려하여 25세~27세가 되면 무조건 제대 조치하고 있다. 다만 비전투단인 인민무력부 소속 수예중대, 조선인민군협주단, 비행사, 의무병(간호병) 등은 예외로서 결혼여부에 상관없이 장기 복무가 가능하다.
10. 국가안전보위부원
보위부원은 주로 현직 국가안전보위부 일꾼의 가족 및 친척들을 대상으로 중앙보위부원은 보위부 당위원회 간부부가, 지방보위부원은 지방 보위부 당위원회 간부부가 적격자를 선발하여 국가안전보위부 보위대학에 입학시켜 양성하고 있다.
또한 사회 각 기관단위에서 주민동향 파악을 위해 정보원으로 활동중인 자나 제대군인 출신, 보위부 군부대 종사자 중에서도 일부 선발하여 보위대학에 입학시켜 정식 보위부원으로 양성되기도 한다.
양성된 보위부원들은 중앙의 국가안전보위부 중앙조직을 비롯하여 각 도시군 단위의 보위부 지부 및 동리 단위 행정기관에 배치 또는 파견되고 있다. 특히 출세를 지향하는 40세 이하의 젊은층은 보통 각 도시군 보위부에 배치되기를 선호하는 반면 나이가 많은 보위부원들은 농장, 공장, 기업소 등을 관할함으로써 물질적 이득추구가 쉬운 리동 단위에 파견되는 것을 선호한다.
보위부원들은 군인과 같은 수준의 물질적 대우를 받고 있으며 정보활동에 필요한 정보비와 장비를 지원받는 등 북한에서 상당히 대우가 높은 직업으로서 선호의 대상이다.
이들은 가족, 친척 등의 학교 입학 및 직장 배치에 있어서도 우선권을 가지고 있으며 통행증 없이도 보위부 신분증만 있으면 이동의 자유가 보장되고 있다. 현재 전체 보위부원들의 약 80%가 가족 및 친인척들로 이루어져 있을 정도이다.
11. 인민보안원
북한에서는 우리의 경찰을 인민보안원(구 사회안전원)으로 부르고 있다. 보안원은 제대군인 출신이나 현직 군인 중에서 출신 성분을 고려하여 선발, 인민보안성에서 일정 기간 근무후 인민보안성 정치대학 또는 도 인민보안국 정치학교를 졸업 후 정식 인민보안성 군관(보안원)으로 배치된다.
간혹 배경을 이용 인민보안성 정치대학에 직통생으로 입학하는 경우도 있으며 컴퓨터 분야 등 특수인력이 필요할 경우에는 인민보안성 간부부에서 별도로 선발하여 양성하고 있다.
보안원 양성교육기관으로는 인민보안성 정치대학, 도 인민보안국 정치학교, 평양 공병국 공병군관학교 등이 있다. 특히 인민보안성 정치대학은 북한 최고의 인민보안성 간부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이다.
배치는 인민보안성 당위원회 간부부 주관하에 이루어지며 인민보안성 정치대학 등의 졸업생중 성적우수자는 대체로 인민보안성 본부에 배치되고 있다.
인민보안성 정치대학 산하 간부학교는 주로 전직 군관이나 하사관 출신 등이 입학하며 졸업후 대체로 재정경리분야에 배치되고 있다. 산하 교통반은 주로 전직 하사관, 운전수, 교통지휘대원들이 입학하며 이수후 대부분 교통과, 호안과(화재, 수재 등의 사고예방 담당) 등에 배치된다.
인민보안원 역시 북한의 권력기관으로서 군과 같은 대우를 받으며 다른 분야에 비해 물질적 혜택 또한 크게 누리고 있다. 인민보안원은 권력을 지닐 수 있다는 점에서 국가보위부원과 마찬가지로 주민들에게 선망의 대상이면서도 일반 주민생활에 대한 직접적인 통제 및 관여로 인해 불만과 원망의 대상이기도 하다.
12. 전문 사회단체 일꾼
전문 사회단체인 여맹, 농근맹, 직총, 청년동맹의 간부 및 일꾼들은 혁명열사 유자녀 및 간부자녀, 제대군인, 공장 및 기업소 세포비서, 대학 및 고등중학교 졸업자들을 대상으로 능력 있고 성분이 좋은 자 중에서 선발된다.
전문 사회단체일꾼들을 양성하는 중앙교육기관으로는 당중앙위 비서국 근로단체부 소속 강반석유자녀대학, 청년사업부 소속 금성정치대학 등이 있으며 지방교육기관으로는 도 공산대학, 철도공산대학, 사범대학의 청년동맹지도원학부 등이 있다.
강반석유자녀대학은 직총, 농근맹, 여맹의 간부 양성교육기관으로서 주로 혁명열사 유자녀 및 간부자녀들이 입학하고 있다. 금성정치대학은 청년동맹 간부 양성 교육기관으로서 22세 미만의 군 복무중인 자, 청년동맹 하급간부 경력자 중에서 성분이 양호한 자들이 주로 입학하고 있다.
도 공산대학, 철도공산대학은 근로단체 간부 양성기관으로 제대군인, 공장 및 기업소 세포비서 출신중 성분이 좋고 능력이 있는 자들이 주로 입학하고 있다. 사범대학 청년동맹지도원학부는 각급 학교의 하급 청년동맹 간부를 양성하는 곳으로서 입학대상은 고등중학교 졸업생이나 각급학교 교원들이다.
사회단체의 중앙위원회 간부 및 일꾼들은 당중앙위 비서국 간부부가 해당 사회단체 당위원회 간부부와 협의하에 관련 교육기관 졸업생들 중에서 선발배치하고 있다.
각 도시군(구역)위원회 및 공장과 기업소, 리동 초급단체위원회 간부 및 일꾼들은 당중앙위 간부부가 배치하나 일부는 지방 사회단체의 당위원회 간부부 주관으로 관련 교육기관 졸업생 또는 지방 국가기관 근무자 중에서 선발하여 배치하기도 한다.
북한의 사회단체 전문일꾼들은 신분이나 경제적인 면에서는 중간 정도 수준으로 특별히 국가적 대우나 혜택은 높지 않으나 당 정책 선전의 전위대로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집단으로서 일정한 사회적 지위와 권력을 이용하여 물질적 이득을 취할 수도 있어 비교적 안정된 생활을 누리고 있는 편이다.
각 동맹 간부들은 남 60세, 여성 55세 기준에 따른 정년퇴직이 일반적이나 청년동맹 간부의 경우에는 책임간부는 50세, 기타 간부는 통상적으로 40세 이전에 퇴직하고 있다.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10.22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30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