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지역감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중국에도 지방색이나 지역주의가 있을까?

▶ 중국 내 지역적 특색

▶ 베이징과 상하이 간의 지역감정

▶ 비즈니스 상에서의 베이징런(人)과 상하이런(人)의 지역감정 예

▶ 베이징런(人)을 바라보는 상하이런(人)들의 시각에 대한 베이징런(人의) 반론

▶ 상하이런(人)의 와이띠런(外地人)에 대한 차별의식

▶ 중국 내 지역감정 최대 피해지역- 황허(黃河)이남의 허난(河南)성

본문내용

람들에 대한 실제 차별도 적지 않게 벌어진다.
예를 들어 최근 베이징의 한 일간지는 “베이징 역을 배회하는 거지들의 대부분은 허난성의 란카오와 민취앤지역 출신으로 이들 가운데는 구걸을 전문 직업으로 해 실제로 고향에 큰 저택을 마려한 자들도 있다.”는 편견에 찬 보도를 한 적도 있다고 한다. 또 중국의 실리콘 밸리라고 불리는 베이징의 중관춘(中關村)의 몇몇 기업은 ‘사원을 모집하지만 허난성 출신은 사절!’이란 포스터를 내걸어 지역차별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그런가 하면 경제특구가 있는 광동성 롱깡(龍崗의) 한 파출소는 “허난성 출신의 갈취 범들을 발본 수색하자”는 현수막을 내걸기도 했다. 허난 사람들에 대한 지역차별은 알게 모르게 드라마에서도 찾아 볼 수 있는데, 극중에 소매치기나 깡패가 나오면 그들이 사용하는 방언은 허난말인 경우가 많다. 왜 유독 허난성 사람들에게만 그들의 지역감정이 집중되어 있는 것일까? 과연 그 합당한 근거는 있는 것일까? 마땅한 근거가 없다면 허난 사람들을 ‘악마화’할 것이 아니라 ‘그들을 끌어안고 사회의 정당한 일원으로 보호해주자’는 캠페인을 내세워 현대 중국의 가장 중요한 사회통합 작업의 하나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10.29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41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