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산업의 역사와 현재에 대한 보고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문
ⅱ. 자동차산업의 역사
1. KD 조립생산
2. 부품국산화생산
3. 국산차개발생산
4. 양산체제 구축 및 수출기반 확립정책
5. 대중화전략
ⅲ. 자동차수출산업의 발달

Ⅲ 결론

본문내용

용차를 포함한 수출차종 다양화, KD(녹다운) 수출의 확대, 적극적인 해외마케팅 활동 등에 힘입어 62만 대를 기록, 역대 최고기록인 88년의 58만 대를 갱신했다.
지역별로는 북아메리카 시장이 미국산 차와의 품질 및 가격경쟁력에 뒤지고, 일본차의 현지생산 증대, 한국의 대미 주문자생산방식(OEM) 수출의중단과 현지 마케팅 능력 부족 등의 요인으로 감소하였으나 기타지역은 수출시장 다변화 노력으로 급속한 수출 신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대유럽지역 30 %, 아시아지역 73%, 중동 120 %, 중남아메리카 90 % 등의 현격한 수출증가율을 기록하는 등 기존의 주력시장이던 북아메리카시장의 수출 비중이 급속히 감소하고 있으며, 서양 선진국을 제외한 기타 수출시장의 비중이 92년도 40 %에서 93년에는 53 %로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수출대상 국가도 총 175개국에 이르며, 이중 1,000대 이상 수출하는 국가만도 56개국에 달한다. 그러나 자동차산업이 90년대에도 80년대와 같이 우리의 경제성장을 주도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소형중형차 중심의 저가격차 생산을 지양하고 국내 독자기술개발 능력을 대폭 증대시켜 독자모델의 자동차개발을 가속화시킴으로써 자동차의 가격,품질,기술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해야 될 시기에 있다. 생산기술면에서는 조립,도장 기술은 선진국과 비슷하나, 주단조,열처리,금형,정밀가공,표면처리는 중간수준에 있다.
Ⅲ 결론
2000년도의 자동차산업은 생산 및 수출의 증가 등으로 외형적으로는 그런대로 만족할만한 성과를 기록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유가상승, 세계경기 둔화 조짐 등 외적인 환경이 악화되고 있을뿐만 아니라 국내적으로도 내수침체, 금융불안 등으로 앞으로의 전망은 그리 밝지 않은 상황이다.
GM 등 선진업체는 이미 인력감축 등 구조조정 계획을 수립하여 비용절감 및 생산성 향상노력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므로 우리기업들도 이에 대응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환경·안전기준 강화에 대비한 기술개발노력 및 소비자 욕구를 신속히 충족시킬 수 있는 생산방식의 선진화가 요구된다. 그리고 르노삼성차와 도요타의 국내시장 진출로 인한 국내 시장에서의 경쟁은 더욱 심화되었으므로 세계시장을 향한 우리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확보 노력이 절실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정부도 이러한 점에서 우리 자동차산업이 세계시장 개척을 통한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고 21세기에도 우리경제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지속할 수 있도록 산업경쟁력 기반강화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 나가야 할 것이다.
우리가 비교우위의 경쟁력을 보유한 중·소형 자동차분야에서 세계 자동차시장을 석권해 갈 수 있도록 하이브리드 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 등 차세대자동차 핵심기술개발과 자동차산업의 정보기술화(IT)를 적극 지원해 나가야 한다.
자동차산업의 근간이 되는 부품산업도 전략적으로 육성하여 자동차부품산업을 수출주력산업으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수출지원센타" 설립 및 주요시장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시장개척단 파견을 적극 추진해야 할 것이다.

키워드

자동차,   현대,   쌍용,   기아,   수출,   산업,   역사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10.29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42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