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후, 인구 변화 문제 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기

2. 가상현실의 등장

3. 줄어드는 노동인구

4. 환경 문제와 인구
4.1. 인구 이동의 증가와 빈곤문제의 악화
4.2. 기술발전이 환경문제와 빈곤을 해결할 수 있는가?
4.3. 환경오염과 저출산

5. 통일의 영향
5.1. 국내 인구 이동에 따른 고용 변화와 산업구조의 개편
5.2. 청년 실업 문제
5.3. 코리안 디아스포라
5.4. 새롭고 다양한 직종의 개발

6. 저출산
6.1. 소황제
6.2. 다양한 가족 형태
6.3. ‘내가 최고’ - 이혼율 증가
6.4. 지속발전이 가능한 삶으로
6.5 넌 ‘자연태생’이냐 ‘시험관출신’이냐?

7. 노령화
7.1. 새로운 나이 개념의 등장
7.2. 세대별 정보화 격차 심화
7.3. 노인대학의 증가
7.4. 노후 참살이 문화의 도래

8. 참고문헌

본문내용

55세 이상 연령 가구주의 소득은 30~34세 연령 가구주에 이어 가장 낮게 나타나지만, 대부분 자녀 교육 및 결혼비용에 대한 부담을 해소한 뒤라 재량껏 쓸 수 있는 돈이 상당히 많다. 따라서 노년인구의 경제력으로 실버산업·시니어 마켓이 주요 산업으로 급속히 떠오르고 노년 인구 중심의 문화가 확산·정착될 것이다. 몇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노령화를 분석해봤다.
7.1. 새로운 나이 개념의 등장
의학 기술이 발달해 ‘몇 년을 살았나’는 은퇴에 중요한 기준이 되지 않을 것이다. 오히려 세포 노화정도, 체력, 시력 등을 측정해 얼마만큼 건강한가를 따지는 ‘생체나이’라는 것이 등장하고, 정부차원에서 이를 보증해주는 시스템을 구축할 지도. 또 ‘직업연령’ 같은 개념이 등장해 단순히 나이 많은 사람이 은퇴하는 것이 아니라 직업연령검사에서 은퇴 판정을 받은 사람이 은퇴하게 될 것 같다.
조금이라도 더 일하려면 ‘생체나이’가 젊어야 한다. 그래서 각종 영양제, 노화방지 수술 등이 유행할 것이다. 정교하게 설계된 의약품인 ‘스마트 필’과 동물복제 장기 치료 등도 의학 기술 발달로 조만간 등장할 예정이라고 한다. 또 노년인구 중심의 헬스산업이 발달할 것이다. 이런 의료 혜택을 구매할 수 있는 사람은 좀 더 젊게 오래 일할 수 있고, 구매할 수 없는 사람은 빨리 은퇴할 수밖에 없어 노년인구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더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7.2. 세대별 정보화 격차(Digital Divide) 심화
점점 빠른 속도로 변해가는 IT기술 변화를 따라잡기 위한 노년 인구의 노력이 중요해질 것이다. 특히 새로운 생활 공간으로 떠오르는 가상현실은 ▲활동량이 많이 필요하지 않고 ▲신체 손상·사고의 위험이 적으며 ▲겉모습을 원하는 대로 창조할 수 있는 등 노년 인구에게 적합한 여러 장점을 가졌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기 위한 노인교육이 활발해질 것이다. 또 로봇 등의 첨단 기기를 이용하기 위해서도 노인들은 IT기술 분야를 계속 ‘공부’해야 한다.
이 때 IT낙오자가 생길 수 있다. 고학력 고소득 노년층은 쉽게 변화를 학습하는 반면, 기초 교육이 부족한 저학력 노년층과 교육을 받을만한 경제적 능력이 부족한 저소득 노년층은 변화에 적응하지 못해 사회에서 낙오될 수 있다. 이들을 돕는 것이 중요한 사회적 문제가 될 것이다.
7.3. 노인대학의 증가
최근 지속되고 있는 저출산 현상으로 2027년에는 청소년 교육 수요가 크게 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초중등 교육기관은 물론, 대학교육 기관이 큰 위기에 처할 것이다. 위기 상황은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수면 위로 올라 2020년이면 교육기관에 전반적인 구조조정이 단행돼야 할 단계에 이를 것 같다. 이 때 경쟁력이 없는 많은 대학들이 노년 교육 수요를 노리고 ‘노인대학’으로 전환할 것으로 보인다.
노인대학은 크게 두 가지 기능을 할 것이다. 하나는 새로운 직업을 준비하거나 IT기술을 가르치는 ‘실용 중심’의 교육이고, 다른 하나는 여생을 보다 의미있고 풍부하게 보내고자하는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교양 중심’의 교육이다. 특히 흥미롭게 주목되는 것은 ‘동양사학과’, ‘철학과’ 등 인문학이 새롭게 떠오를 것 같다는 것이다. 삶과 인간을 보다 깊이 통찰하려는 노(老)학생이 많을 것이다. 이들은 자연스레 새로운 인문학 수요이자 후속세대로 등장할 것. 풍부한 사회 경험과 인생의 통찰력을 바탕으로 공부해 새로운 노인 대가들이 대거 등장할 수 있다.
7.4. 노후 참살이(Silver Well-being) 문화의 도래
시달렸던 젊은 시절의 상처를 치유하고 인생의 끝자락을 아름답게 보내기 위한 노인들이 노후 참살이(Silver Well-being)문화를 만들어 갈 것이다. 이는 지금 상업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슬로푸드’, ‘다운쉬프트’, ‘웰빙’ 등의 코드를 변형·종합·발전시킨 것이다. 복잡한 도시를 떠나 노인형 교외지역에 거주할 수도 있고, 친환경 도시에서 노인타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노인 인구의 거주 지역은 환경이 오염되지 않고, 깨끗·단순하며, 고급 병원 시설이 가까운 거리에 갖춰져 있는 등의 특성을 가질 것이다. 또 ‘회춘죽’, ‘옛날에 그 맛’ 등 노인들 입맛에 맞는 여러 기호 식품·영양식들이 인기를 끌 것이다.
8. 참고문헌
군둘라 엥이슈. 『잡노마드 사회』, 문예출판사, 2002
김동규, 「인류멸종의 위험물질 환경호르몬」, 『환경교육』 제11권 1호, 1998,
마틴 레이먼드,『미래의 소비자들』, 에코비즈, 2006
미우라 아츠시, 『하류사회』, 씨앗을뿌리는사람, 2006
박영숙 외, 『UN미래보고서』, 교보문고, 2006.
알버트 라즐로 바라바시, 『링크 : 21세기를 지배하는 네트워크 과학』, 동아시아, 2002.
엘지경제연구원, 『2010 대한민국 트렌드』, 한국경제신문, 2005
워렌 와거, 『인류의 미래사 : 21세기 파국과 인간의 전진』, 교양인, 2006.
이몬 켈리 외,『What's nest 2015?』, 청년정신, 2005.
조엘A. 바커·스콧 W. 에릭슨, 『우리가 꼭 알아야 할 미래 시나리오』, 위즈덤하우스, 2006
페이스 팝콘·애덤 한프트 공저, 『미래생활사전』, 을유문화사, 2003.
피터 슈워츠, 『미래를 읽는 기술』, 비즈니스북스, 2004
피터 슈워츠, 『이미 시작된 20년 후』, 필맥, 2005
*목차
1. 들어가기
2. 가상현실의 등장
3. 줄어드는 노동인구
4. 환경 문제와 인구
4.1. 인구 이동의 증가와 빈곤문제의 악화
4.2. 기술발전이 환경문제와 빈곤을 해결할 수 있는가?
4.3. 환경오염과 저출산
5. 통일의 영향
5.1. 국내 인구 이동에 따른 고용 변화와 산업구조의 개편
5.2. 청년 실업 문제
5.3. 코리안 디아스포라
5.4. 새롭고 다양한 직종의 개발
6. 저출산
6.1. 소황제
6.2. 다양한 가족 형태
6.3. ‘내가 최고’ - 이혼율 증가
6.4. 지속발전이 가능한 삶으로
6.5 넌 ‘자연태생’이냐 ‘시험관출신’이냐?
7. 노령화
7.1. 새로운 나이 개념의 등장
7.2. 세대별 정보화 격차 심화
7.3. 노인대학의 증가
7.4. 노후 참살이 문화의 도래
8. 참고문헌
  • 가격1,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10.30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43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