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밭에서 공장으로(1760-1830)
2. 진보의 고통(1830-1918)
3. 불황이라는 지옥으로의 여행(1918-1945)
4. 모두를 위한 풍요(1945-1970)
5. 성장의 한계(1970-1990)
6. 돈의 승리(1990-2006)
2. 진보의 고통(1830-1918)
3. 불황이라는 지옥으로의 여행(1918-1945)
4. 모두를 위한 풍요(1945-1970)
5. 성장의 한계(1970-1990)
6. 돈의 승리(1990-2006)
본문내용
1929 미국 대공황(Great Panic): 투기적 주가, 연쇄적 주식 폭락으로 경제적, 정신적 충격
→소련을 제외한 유럽의 대공황(특히 독일)
고전학파의 ‘시장조화’가 전혀 맞지 않음
요제프 슘페터: 불균형, 극적인 경기의 파동이 자본주의 시장의 특징(경기순환)
존 메이너드 케인스: 충분한 자금이 경제를 촉진하여 수요와 일자리를 창출해야 하는 것
유효수요: 국내외 소비자들의 지출(이 기업의 투자 결정에 결정적)
국가의 개입 확대: 국가의 대처가 필요 ‘수정자본주의’ → 미국 뉴딜 정책
↔다른 경제학자들은 통화량을 줄여야 한다고 봄-공황기 독일의 디플레이션, 통화량 축소
→소련을 제외한 유럽의 대공황(특히 독일)
고전학파의 ‘시장조화’가 전혀 맞지 않음
요제프 슘페터: 불균형, 극적인 경기의 파동이 자본주의 시장의 특징(경기순환)
존 메이너드 케인스: 충분한 자금이 경제를 촉진하여 수요와 일자리를 창출해야 하는 것
유효수요: 국내외 소비자들의 지출(이 기업의 투자 결정에 결정적)
국가의 개입 확대: 국가의 대처가 필요 ‘수정자본주의’ → 미국 뉴딜 정책
↔다른 경제학자들은 통화량을 줄여야 한다고 봄-공황기 독일의 디플레이션, 통화량 축소
추천자료
막스 베버의 금욕적 합리주의가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세계화의 실체와 세계 자본주의의 전망
막스 베버(역자: 박성수)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종교 혁명 또는 청교도 윤리는 자본주의 발전의 원인인가, 아니면 결과인가?
저주의 몫과 사치와 자본주의의 입장비교
프로테스탄티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요약
모럴 헤저드의 극복 - 유교자본주의의 부활
괴테의 파우스트를 읽고(자본주의의 문화적 모순)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을 읽고
[경제]자본주의에대한_보고서
[독후감] 자본주의 4.0 _ 아나톨 칼레츠키(Anatole Kaletsky) 저
[독후감/서평/요약/줄거리] 나는 세계일주로 자본주의를 만났다 _ 코너 우드먼 (Conor Woodma...
[일본경제]일본경제와 기업시스템, 자본주의, 일본경제와 FTA(자유무역협정), 일본경제와 플...
근대가 그려진 문학작품-계급과 자본주의 (최서해,김기진,박영희,이기영,한설야,염상섭,강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