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교통 조사 보고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중국의 교통체계
1) 현대 중국의 교통 문화 : 혼란 속의 질서
2) 중국의 교통수단
3) 중국차량의 번호판
4) 중국의 교통문화 미비-교통사고

2. 중국의 교통수단(자전거)
1) 중국의 대표적인 대중교통 수단 - 자전거
2) 중국의 자전거 문화
3) 중국인의 자전거 사랑, 역사, 문제점
4) 관련뉴스

3. 중국의 교통수단(기차)
1) 중국의 기차(개관)
2) 열차의 종류에 따른 구분
3) 좌석의 종류에 따른 구분
4) 중국의 철도 - TCR과 칭짱철도

4. 중국의 기타 교통수단
1) 중국의 버스
2) 지하철
3) 택시
4) 인력 삼륜차
5) 비행기

*자료출처

본문내용

지를 말하고 돈을 지불한다. 중국의 버스는 번호가 아니라 목적지로 표시된다. 정류장마다 표지판에 현 위치와 노선별 목적지까지 상세히 쓰여 있어 이용하기 편리하다. 버스의 요금은 지역, 버스크기, 냉난방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다.
(2) 미니버스
대형버스보다 좀 작은 10~15인 정도를 수용하는 버스가 많이 다니는 jt도 중국 교통수단의 한 특징이다. 이 미니버스는 소파(小巴:샤오바)나 소공공기차(小公共汽車: 샤오궁궁치처)라고 하며, 요금은 대개 5~10元으로 버스요금에 비하면 꽤 비싸다.
그러나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명소를 중심으로 운행되기 때문에 관광을 위한 교통수단으로 편리하다.
(3) 장거리, 근교버스
장거리버스는 장도기차라고 하는데, 각 도시에는 대개 장거리 버스터미널이 있고 이곳을 기점으로 도시에서 도시로 운행되고 있다. 장거리버스는 열차노선이 발달되어있지 않은 산악지대나 실크로드 구간에 특히 많이 운행되고 있다. 장거리 버스가 도시간의 비교적 먼 거리를 운행한다면, 근교버스는 시내 중심에서 시외의 비교적 가까운 곳을 운행한다. 근교버스에는 일정도시를 중심으로 그 주변의 관광지를 오가는 여유버스 등이 포함된다.
(4) 여유버스(旅遊汽車)
중국의 주요도시 어디에나 주변의 관광지를 돌아보는 투어버스인 여유버스가 있다. 여유버스는 중국의 크고 작은 여행사에서 운영하는 것, 주요 호텔에서 운행하는 것과 성이나 시정부에서 운영하는 것이 있다.
각 도시마다 운영방식에는 조금 차이가 있지만 아침에 출발하여 관광지를 돌아보고 오후에 돌아오는 당일치기 코스가 많다. 이때 관광지의 입장요금은 별도인 곳이 많고 코스는 대개 버스마다 정해져 있다. 보통 각 도시의 열차역이나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광장 주변 등에서 호객을 하는 여유버스를 볼 수 있고 주요호텔에서는 직접 운행하므로 호텔 앞에서 바로 이용할 수도 있다. 여행자들은 각 버스의 코스를 보고 자신이 가고자 하는 곳과 많이 일치하는 코스로 운행하는 버스를 선택하여 이용하면 된다.
2) 지하철
지하철은 중국에서는 지철(地鐵:디톄)이라고 하며, 현재 운행되는 도시는 베이징, 상하이, 톈진 정도이다. 그 밖의 도시에서는 현재 지하철의 모습을 볼 수 없고 개방도시 중심으로 건설 예정이다. 베이징에는 현재 고궁 박물원(일명 자금성)을 중심으로 주변을 도는 환상선(環狀線)과 베이징철도역에서 첸먼(前門)을 지나 서쪽 교외로 이어지는 동서선(東西線) 2개의 노선이 있다. 베이징의 전구간은 2.0元으로 일률적인 요금으로 운행되고 있다. 톈진에서는 단순한 1개 노선이 있을 따름으로 이마저 이용률이 낮다. 상하이는 상하이열차역에서 이어지는 1개 노선이 운행되고 있는데, 앞으로 7개 노선 건설을 예정하고 있다. 광저우에서는 1개 노선이 광저우 동역(東驛)과 광저우 철강공장을 연결한이다. 그밖에 칭다오(靑島)와 난징 등의 주요 도시에서는 공사가 진행 중이다.
3) 택시
관광객들이 이용하기에 가장 편리한 교통수단. 베이징 등의 북쪽 지방에는 지붕에 출조(出租:추쭈)라고 쓰여 있고 광저우나 홍콩 등지의 남쪽 지방에서는 적사(的士:더시)라고 쓰여 있다. 택시의 종류는 피아트나 볼보 등의 외제 차 등 비교적 쾌적한 차량을 비롯하여 삼륜자동차까지 각양각색이다. 그중에서 가장 대중적인 것으로는 식빵 같은 모양의 봉고형 택시로, 대개 차량은 낡고 에어컨 시설도 안 된 것들이 많지만 요금은 다른 택시에 비해 싸다. 주로 호텔이나 역전에 있는 택시들은 에어컨 시설이나 부대시설이 괜찮은 외제차를 이용하여 요금이 비싸다. 그리고 강도를 막기 위해서 운전석의 옆과 뒤에 철망을 쳐 두었다.
4) 인력 삼륜차
대형 세발자전거에 뒷좌석을 붙인 형태의 탈것으로, 시내의 가까운 명소를 돌아보는 데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요금은 정해진 시세가 있는 것이 아니라 운전자와 직접 흥정을 해야 한다. 대개는 일반 택시와 비슷한 가격인데, 사람에 따라서는 그것보다 비싸게 청구하기도 한다. 이외의 교통수단으로는 말이나 노새 당나귀 등이 끄는 마차도 보인다. 지방의 소도시에서는 물론이고 베이징 같은 대도시에서도 최신형의 승용차와 더불어 우마차가 보이는 것이 중국의 교통 현상이다.
5) 비행기
비행기를 통해 가장 빨리 도시 간을 움직일 수 있는데 , 서민들에게는 좀 부담이 되어서 이용률이 낮고 일부 특권층 위주로 이용되고 있다. 중국은 그 영토가 광대한 까닭에 국내선 노선 망이 100여개 이상이 될 정도로 상당히 발달되어 있다. 그러나 주요도시를 제외하고는 전산화가 잘 이루어져 있지 않아 비행기표 예약이 곤란한 경우가 많다. 중국의 국내선에서는 차나 주스, 빵 등 간단한 기내 서비스만 제공되며 화장실은 사용 유무에 따라 유인(有 人) 혹은 무인(無人)의 표시가 나타난다.
▷ 자료출처
중국 문화의 이해, 변성규, 학문사
http://club.cyworld.nate.com/5215946912/59648617 http://blog.naver.com/yinmei10?Redirect=Log&logNo=10008910411
http://blog.naver.com/mjk319/60026848385
http://cafe.naver.com/bikecity/122574
주한중국 문화원: http://www.cccseoul.org/
넥스투어: http://www.nextour.co.kr/Guide/WD/Data/A09022.htm
http://kailash96.com/china/basic/cn_hotel&food.htm
*목차
1. 중국의 교통체계
1) 현대 중국의 교통 문화 : 혼란 속의 질서
2) 중국의 교통수단
3) 중국차량의 번호판
4) 중국의 교통문화 미비-교통사고
2. 중국의 교통수단(자전거)
1) 중국의 대표적인 대중교통 수단 - 자전거
2) 중국의 자전거 문화
3) 중국인의 자전거 사랑, 역사, 문제점
4) 관련뉴스
3. 중국의 교통수단(기차)
1) 중국의 기차(개관)
2) 열차의 종류에 따른 구분
3) 좌석의 종류에 따른 구분
4) 중국의 철도 - TCR과 칭짱철도
4. 중국의 기타 교통수단
1) 중국의 버스
2) 지하철
3) 택시
4) 인력 삼륜차
5) 비행기
*자료출처
  • 가격1,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11.01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46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