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목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절이 평균보다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리고 유지단계에서는 극적 해소 돕는 관곌르 제외한 모든 변화과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의사결정균형에서는 장점 점수는 행동단계에서 단점 점수는 계획 전 단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기 효능감은 유지단계와 행동 단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도서목록
주제 :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질병관련 지식
필자 : 김희승
쪽수 : 7쪽
출처 : 기본간호학회지 제 11권 제 1호 2004년 4월
논문내용
연구목표 :
1>당뇨병에 관련된 일반적 지식과 인슐린 관련 지식의 문항별 정답 율을 조사한다.
2>당뇨병 환자 특성별 당뇨병 및 인슐린 지식차이를 알아본다.
3>당뇨병 환자 특성, 당뇨병 및 인슐린 지식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
2002년 8월부터 2003년 7월 사이에 서울 시내에 소재한 c대학교 k병원의 내분비 내과 외래를 방문한 제 2형 당뇨병환자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139명이었다.
자료분석방법 :
자료는 sa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 질병 특성별 지식차이는 unpaired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고, 당뇨병 환자 특성과 지식과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당뇨의 일반적 지식으로는 당화혈색소 와 저혈당 치료에 대한 지식이 낮았고 인슐린 관련 지식으로는 케톤산증과 인슐린 작용시간에 대한 지식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환자의 나이가 많고 교육 수준이 낮으며 배우자와 직업이 없고 인슐린 치료를 받지 않으며 혈당측정회수가 하루 3회 이하인 환자가 지식이 낮았다.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11.02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47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