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포스트모더니즘과 홀로코스트
(1) 포스트모더니즘
(2) 홀로코스트
2. ‘쉰들러 리스트’ vs ‘인생은 아름다워’
3. ‘인생은 아름다워’의 제작 배경 및 시대적 배경
(1) 제작 배경
(2) 시대적 배경
4. 채플린코드
5. 영화에 사용된 소재
6. 인물간의 성질 조사
(1) 포스트모더니즘
(2) 홀로코스트
2. ‘쉰들러 리스트’ vs ‘인생은 아름다워’
3. ‘인생은 아름다워’의 제작 배경 및 시대적 배경
(1) 제작 배경
(2) 시대적 배경
4. 채플린코드
5. 영화에 사용된 소재
6. 인물간의 성질 조사
본문내용
나오는 것 : 반성의 의미
- 동료들의 시체를 확인하는 장면 : 현실의 의미
(6) 탱크
- 전쟁의 도구
- 조슈아의 생존의 매개체, 귀도의 마지막 선물
(7) 뱃노래 <아름다운 밤, 오! 사랑의 밤이여>
영화 전반부의 오페라 장면 영화 후반부의 오페라 장면
< 전반부에 등장 하는 오페라의 의미>
- 붉은 소재의 의상커튼, 카페
- 화려한 드레스
- 짙은 화장 및 화려한 장신구
- 사람들의 자유로움
- 그 상황에서의 귀도와 도라의 결정적 사랑의
매개체
< 후반부에 등장 하는 오페라의 의미>
- 대부분 무채색
- 획일화된 노동복과 모자
- 헝클어진 머리와 더러운 옷가지
- 무표정의 사람들
- 제한적이고 폐쇄적인 상황에서의 두 사람 사이의
매개체
< 영화 속의 '빨강' 의미>
- 전반부 : 귀도와 도라의 사랑을 의미
Ex) 오페라 속의 배우의 의상, 레드카펫, 방석
- 후반부 : 귀도와 조슈아를 향한 도라의 사랑
Ex) 기차를 타고 가는 도라의 모자와 원피스
6. 인물간의 성질 조사
(1) 귀도 오레피스(로베르토 베니니)
: 이 영화의 주인공, 유대인 서점주인, 도라에 대한 사랑을 느끼면서 가족에 대한 절대적인 사랑을 보여주며 극도의 가난과 불행 속에서도 포기할수 없는 희망과 낙천주의를 보여주는 장면을 통해 파토스 적 성격을 보여 주고, 도라와의 만남에서 마리아를 외치는 장면과 수용소에서 철 덩어리를 나르는 장면에서 자신의 힘듦을 “신이시여, 난 죽게 될거야”라는 대사를 통해 미토스적성격을 띄는 인물이라고 볼수도 있다.
(2) 도라 오레피스(니콜레타 브라쉬 )
: 귀도의 부인, 초등학교 교사, 자신은 유태인이 아니면서도 수용소로 끌려가면 죽을 수도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청해서 따라간 것으로 보아 자신의 이성적인 판단 보다는 파토스적인 성격을 띔
(3) 조슈에 오레피스(조르지오 칸타리티)
: 귀도와 도라사이에 태어난 아들, 귀도의 거짓말이기는 했으나 비극적인 상황에서 놀이를 즐기는 파토스적인 인물이라고 볼 수 있음
(4) 독일군
: 유태인들에 대한 동정심을 느끼지 못하고, 자기 맡은 일에만 충실해 유태인을 학대학살 하는 인물, 에토스(ethos)적인 인물
(5) 레싱
: 독일인 의사, 자신이 궁금한 것은 어떻게든지 풀어내고 싶어 하는 인물로서 에토스적(ethos)인 인물
(6) 엘리세오 오레피스 (쥐스티노 브란노)
: 호텔 지베인, 귀도가 처음 삼촌에게 웨이터 교육을 받을 때 귀도 삼촌의 대사에서 “하나님이야 말로 최고의 시중자이지. 신은 사람을 만들었지” 와 같은 대사를 통해 미토스(mythos)적 인물이라고 보여짐.
(7) 페루지오 (세르지오 비니 부스틱)
: 실내 장식가, 귀도의 친구
*목차
1. 포스트모더니즘과 홀로코스트
(1) 포스트모더니즘
(2) 홀로코스트
2. ‘쉰들러 리스트’ vs ‘인생은 아름다워’
3. ‘인생은 아름다워’의 제작 배경 및 시대적 배경
(1) 제작 배경
(2) 시대적 배경
4. 채플린코드
5. 영화에 사용된 소재
6. 인물간의 성질 조사
- 동료들의 시체를 확인하는 장면 : 현실의 의미
(6) 탱크
- 전쟁의 도구
- 조슈아의 생존의 매개체, 귀도의 마지막 선물
(7) 뱃노래 <아름다운 밤, 오! 사랑의 밤이여>
영화 전반부의 오페라 장면 영화 후반부의 오페라 장면
< 전반부에 등장 하는 오페라의 의미>
- 붉은 소재의 의상커튼, 카페
- 화려한 드레스
- 짙은 화장 및 화려한 장신구
- 사람들의 자유로움
- 그 상황에서의 귀도와 도라의 결정적 사랑의
매개체
< 후반부에 등장 하는 오페라의 의미>
- 대부분 무채색
- 획일화된 노동복과 모자
- 헝클어진 머리와 더러운 옷가지
- 무표정의 사람들
- 제한적이고 폐쇄적인 상황에서의 두 사람 사이의
매개체
< 영화 속의 '빨강' 의미>
- 전반부 : 귀도와 도라의 사랑을 의미
Ex) 오페라 속의 배우의 의상, 레드카펫, 방석
- 후반부 : 귀도와 조슈아를 향한 도라의 사랑
Ex) 기차를 타고 가는 도라의 모자와 원피스
6. 인물간의 성질 조사
(1) 귀도 오레피스(로베르토 베니니)
: 이 영화의 주인공, 유대인 서점주인, 도라에 대한 사랑을 느끼면서 가족에 대한 절대적인 사랑을 보여주며 극도의 가난과 불행 속에서도 포기할수 없는 희망과 낙천주의를 보여주는 장면을 통해 파토스
(2) 도라 오레피스(니콜레타 브라쉬 )
: 귀도의 부인, 초등학교 교사, 자신은 유태인이 아니면서도 수용소로 끌려가면 죽을 수도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청해서 따라간 것으로 보아 자신의 이성적인 판단 보다는 파토스
(3) 조슈에 오레피스(조르지오 칸타리티)
: 귀도와 도라사이에 태어난 아들, 귀도의 거짓말이기는 했으나 비극적인 상황에서 놀이를 즐기는 파토스
(4) 독일군
: 유태인들에 대한 동정심을 느끼지 못하고, 자기 맡은 일에만 충실해 유태인을 학대학살 하는 인물, 에토스(ethos)적인 인물
(5) 레싱
: 독일인 의사, 자신이 궁금한 것은 어떻게든지 풀어내고 싶어 하는 인물로서 에토스적(ethos)인 인물
(6) 엘리세오 오레피스 (쥐스티노 브란노)
: 호텔 지베인, 귀도가 처음 삼촌에게 웨이터 교육을 받을 때 귀도 삼촌의 대사에서 “하나님이야 말로 최고의 시중자이지. 신은 사람을 만들었지” 와 같은 대사를 통해 미토스(mythos)적 인물이라고 보여짐.
(7) 페루지오 (세르지오 비니 부스틱)
: 실내 장식가, 귀도의 친구
*목차
1. 포스트모더니즘과 홀로코스트
(1) 포스트모더니즘
(2) 홀로코스트
2. ‘쉰들러 리스트’ vs ‘인생은 아름다워’
3. ‘인생은 아름다워’의 제작 배경 및 시대적 배경
(1) 제작 배경
(2) 시대적 배경
4. 채플린코드
5. 영화에 사용된 소재
6. 인물간의 성질 조사
추천자료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과 근원, 포스트모던 디자인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하여...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표현주의. 신표현주의의 정의와 각시대의 무용작품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 모더니즘의 계승과 대안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차이점
[1990년대 한국 문학][1990년대][한국 문학][문학][포스트모더니즘][리얼리즘][민족문학]1990...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이루어지고 있는 모더니즘 교육을 비판한다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성격과 현상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 알아보고 문화예술에서의 특징서술
[예술][예술적 표현][예술과 경제][예술과 대량예술][예술과 미][포스트모더니즘]예술의 의미...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과 모더니즘과의 비교
모더니즘과포스트모더니즘의 차이점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경계에서 [달려라 아비, 근대화된 도시 속의 소통의 문제, 김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