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의 뼈의 구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뼈의 기능

뼈의 구조

뼈의 특성

본문내용

deviation
손목의 외전으로 해부학적 자세의 좌우면 상에서 몸으로부터 멀어지는 움직임
* 척골편위 -ulnar deviation
손목의 내전으로 해부학적 자세의 좌우면상에서 몸을 향해가는 움직임
손가락 - phalangse or digits --
* 지절,지골 - phalanx : 손가락뼈들이 각자 가지고 있는 뼈로 근위, 가운데, 원위로 명명
* 중수골 - metacarpals : 손바닥뼈로 원위 수근골뿐아니라 손가락을 연결
* 근위수근골 - proximal carpal row : 주상골, 월상골, 삼각골, 두상골
* 원위수근골 - distal carpal row : 손바닥뼈와 연결. 대능형골, 소능형골, 유두골, 유구골
* 두상골 - pisiform : 손의 연한 근육조직 중앙부의 소지구 돌기의 기본 점에서 발견
* 유구골 - hamate : 갈고리골이라고도 하고 돌출되어 있어 두상골의 원위와 후방에 위치
* 주상골 - scaphoid : 수근 근위 층 후방에 위치,
엄지손가락을 들어올릴때 두개의 건에 의해 움푹 들어간 곳에 위치. 손목관절은 주상골, 월상골, 삼각골의 연결에 의해 형성된 이축성 관절. 움직임은 좌우면과 전후면 안에서 허락. 손목은 손으로부터 요골로 힘을 전달, 골간막을 통해 척골로 힘을 전해준다.
* 수근간관절 - intercarpal joint : 무축성이며 미끄러짐이 일어난다.
* 수근중수 관절 - carpometacarpal joint : 원위 수근골은 다섯개의 중수골과 연결, 수근중수관절을 형성, 손등의 원위에서 쉽게 발견.
* 중수지골 관절 - metacarpophalangeal joint
중수골이 손가락과 만나는 지점으로 단축성의 엄지손가락을 제외하고는 이축성관절로 나타난다. 손등에서 쉽게 보여지며 넉클부위에 연결되어 있다.
* 지절간 관절 - interphalangeal joint
두개의 손가락관절에 의해 형성. 엄지를 제외하고 모두 두개의 손가락 관절을 가진다. 위치에 따라 근위나 원위로 불리며, 단축성이다.
특징
여성
남성
구조 및
기능적 변형
골반이 앞으로 기울어져 있어 출산에 알맞다.
진골반은 산도가 되며, 진골반강은 폭이 넓고 얕으며, 남성보다 더 큰 용량을 갖는다.
여성에 비해 앞으로 덜 기울어져 있으며,
남성의 무거운 체격과 강한 근육을 지탱하기에 접합.
진골반강은 폭이 더 좁고 깊다.
뼈두께
작고 사이가 넓다.
여성보다 크며 사이가 좁다.
관골구(acetabula)
상동
상동
치골궁
(치골각)
넓고 둥글다(80~90도)
각이 여성보다 날카롭다(50~60도)
전면그림
천골
넓고 짧으며 천골의 굴곡이 두드러진다.
좁고 길며 천곡감각이 앞으로 나와있다.
미골
운동성이 있고 곧다.
여성보다 운동성이 적고 전방으로 구부러져있다.
좌외측면
골반입구
남성보다 넓으며 타원형
여성보다 좁으며 심장모양
골반출구
남성보다 넓으며, 좌골결절 사이 길이가 짧고 더 떨어져 있으며 뒤집혀 있다.
여성보다 좁으며, 좌골결절 사이의 길이가 더 길고 날카로우며 중앙으로 향한다.
후하방면
♣ 위의 표는 둔부에대한 표
♣다리
*고관절의 움직임은 장골인 대퇴로 전이. 대퇴는 원위에서 경골과 결합해 무릎관절을 이룬다.
* 대전자 - greater trochanter
대전자는 대퇴골의 근위 끝에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큰 융기. 파트너의 다리를 안과 밖으로 회전시켜 피부아래에서 전자가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다.
* 대퇴상과 - femoral epicondyles
무릎을 굽히면 쉽게 볼 수 있으며, 대퇴골 원위에서 가장 넓은 부분으로 내측과 외측이 있다. 내측상과가 외측보다 뚜렷하게 돌출
* 내전근 결절 - adductor tubercle
내측상과의 위쪽에 위치하는 특별한 구조로 고관절에서 내전을 수행하는 큰 근육의 부착점. 상과에서 위쪽으로 올라가다 보면 작게 돌출된 부분을 느낄 수 있다.
* 대퇴의 과 - femoral condyles
대퇴의 과는 둥근모양으로 경골의 과와 연결되어 무릎관절을 이룬다.
* 경골조면 - tibial tuberosity
경골전방의 무릎아래 부분으로 고관절과 무릎에서 기능을 하는 대퇴사두근의 원위부착점.
* 비골두 - fibular head
경골조면의 외측에서 볼 수 있다.
* 슬개골 - patella
무릎보호 뼈
♣ 발목과 발의 뼈 - bones of the ankle and foot
* 발목관절은 발의 거골, 경골과 비골의 관절결합으로 형성. 경골이 근본적으로 무게를 지탱, 비골은 실제적인 지지기반이 되지 못한다. 거골은 종골과 결합하여 거골하관절을 이루고, 주상골과 연결되어 종측족궁을 형성. 발에는 족근골이라는 불규칙한 모양의 7개 뼈와 5 개의 중족골, 5개의 지골. 각각의 지골은 3개의 마디뼈를 가지며, 엄지발가락은 2개의 마디뼈.
* 내외측 복사뼈 - medial and lateral malleoli
일명 발목뼈, 발목 양쪽에서 가장 넓게 돌출된 뼈.
* 족근골 - tarsal bones
거골, 종골, 주상골, 입방골, 3개의 설상골로 이루어진
불규칙한 모양의 7개 뼈.
* 거골 - talus
경골과 종골 사이에 위치. 경골과 결합하는 위쪽관절은 거퇴골 또는 발목관절을 이루고,
종골과 결합하는 아래쪽은 거골하관절을 형성. 손가락으로 발목을 눌러보면 발목 전방 경골이 원위부에서 거골을 만질 수 있다.
* 종골 - calcaneus
발의 족근골 중 가장 큰 뼈로 발의 뒤꿈치를 형성, 거골과 결합하여 거골하관절을 이룬다.
* 주상골, 설상골, 입방골 - navicular, cuneiforms, cuboid
주상골은 발의 내측에서 거골과 결합, 입방골은 종골과 관절을 이룬다. 3 개의 설상골(내측,외측, 중간)은 근위에서는 주상골, 입방골과 연결되고, 원위에는 가운데 4개의 발가락과 이어진다.
* 횡측족궁은
설상골이 발을 가로질러 내측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궁을 형성
* 종측족궁은
주상골과 거골의 결합에 의한것으로 내측에서 찾을 수 있다. 입방골은 지면에 닿는 종골과 관절을 형성하기 때문에 발의 외측에는 궁이 생기지 않는다. 발의 내측에 큰 근위점이 주상골,3개의 설상골은 발을 가로질러 대각선으로 위치.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11.05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53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