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법정전염병의 개념및 종류
◆예방접종이 가능한 전염병의 종류 증상
◆예방접종의 이유와 능동면역,수동면역,군중 면역의 조사
◆예방접종이 가능한 전염병의 종류 증상
◆예방접종의 이유와 능동면역,수동면역,군중 면역의 조사
본문내용
으키게 된다.
이 발작은 하찮은 접촉이나 소리 ·빛 그 밖의 자극으로 유발되어 몸을 뒤틀면서 손발을 뻗는 전신의 경련이 가끔 일어나게 된다. 의식은 침해되지 않지만 긴장성의 경련에 의하여 호흡근이나 후두의 과긴장이 일어나면 호흡을 할 수 없게 되고, 또는 빈발하는 경련에 의하여 심장쇠약을 일으켜 사망한다.
◆예방접종의 이유와 능동면역,수동면역,군중 면역의 조사
♠예방접종의 이유
예방접종은 해당 질환을 앓지 않게 하고 감염에 대하여 유리한 쪽으로 반응을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함으로써 질병에 걸리지 않도록 해 준다. 면역원으로 사용되는 접종액을 넓은 의미로 백신이라고 한다. 예방접종에 쓰이는 항원(抗原)에는 크게 나누어 세균성 항원과 바이러스성 항원이 있는데, 세균성 항원에는 사멸된 전체 세균(백일해 백신 등), 병원체가 체외로 배출하는 독소를 멸독한 톡소이드(디프테리아 ·파상풍 등), 독력을 약화시킨 생세균체(BCG 등) 등이 있고, 바이러스성 항원에는 생약독화한 것(소아마비)과 사멸된 백신(인플루엔자) 등이 포함된다.
1.능동면역
외부에서 체내로 들어간 항원(抗原)에 의해 개체 자신이 항체를 생산하여 얻는 면역. 수동면역(受動免疫)의 반대말이다. 한번 병에 걸려 앓고 난 후에 생긴 면역을 자연면역(自然免疫), 인공적으로 항원을 주어 면역이 생긴 것을 인공면역(人工免疫)이라 하여 전염병 예방에 이용된다.
2.수동면역
능동면역의 대응되는 말이다. 태아가 태반을 통하여 모체로부터 면역체를 받는 것은 자연적 수동면역의 예이며, 홍역이나 백일해에 걸려서 회복된 사람의 혈청을 주사하거나, 디프테리아 독소나 파상풍 독소 등으로 말을 면역하여 얻은 혈청을 주사하거나 하는 것은 인공적 수동면역의 예이다. 수동면역은 주사와 동시에 면역을 얻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지속기간이 짧고 면역의 정도도 약하다.
3.군중면역
인구가 천만명인 경우 7백만명이 예방주사를 맞아서 항체가 다 생겼다면, 나머지 3백만명은 예방주사를 안맞았어도 병에 잘 걸리지 않게된다. 전염병이 확산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독감예방주사의 경우는 여러 독감바이러스 중에 그 해에, 그 지역에 유행할 바이러스를 예상해서 예방주사를 만들기 때문에 그 예상이 빗나가면 독감이 전국적으로 확산될 수도 있다. 이런 현상은 독감 바이러스가 워낙 종류가 많기 때문인데, 그 많은 바이러스를 모두 예방할 수 도 없거니와, 독감바이러스의 변형이 생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발작은 하찮은 접촉이나 소리 ·빛 그 밖의 자극으로 유발되어 몸을 뒤틀면서 손발을 뻗는 전신의 경련이 가끔 일어나게 된다. 의식은 침해되지 않지만 긴장성의 경련에 의하여 호흡근이나 후두의 과긴장이 일어나면 호흡을 할 수 없게 되고, 또는 빈발하는 경련에 의하여 심장쇠약을 일으켜 사망한다.
◆예방접종의 이유와 능동면역,수동면역,군중 면역의 조사
♠예방접종의 이유
예방접종은 해당 질환을 앓지 않게 하고 감염에 대하여 유리한 쪽으로 반응을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함으로써 질병에 걸리지 않도록 해 준다. 면역원으로 사용되는 접종액을 넓은 의미로 백신이라고 한다. 예방접종에 쓰이는 항원(抗原)에는 크게 나누어 세균성 항원과 바이러스성 항원이 있는데, 세균성 항원에는 사멸된 전체 세균(백일해 백신 등), 병원체가 체외로 배출하는 독소를 멸독한 톡소이드(디프테리아 ·파상풍 등), 독력을 약화시킨 생세균체(BCG 등) 등이 있고, 바이러스성 항원에는 생약독화한 것(소아마비)과 사멸된 백신(인플루엔자) 등이 포함된다.
1.능동면역
외부에서 체내로 들어간 항원(抗原)에 의해 개체 자신이 항체를 생산하여 얻는 면역. 수동면역(受動免疫)의 반대말이다. 한번 병에 걸려 앓고 난 후에 생긴 면역을 자연면역(自然免疫), 인공적으로 항원을 주어 면역이 생긴 것을 인공면역(人工免疫)이라 하여 전염병 예방에 이용된다.
2.수동면역
능동면역의 대응되는 말이다. 태아가 태반을 통하여 모체로부터 면역체를 받는 것은 자연적 수동면역의 예이며, 홍역이나 백일해에 걸려서 회복된 사람의 혈청을 주사하거나, 디프테리아 독소나 파상풍 독소 등으로 말을 면역하여 얻은 혈청을 주사하거나 하는 것은 인공적 수동면역의 예이다. 수동면역은 주사와 동시에 면역을 얻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지속기간이 짧고 면역의 정도도 약하다.
3.군중면역
인구가 천만명인 경우 7백만명이 예방주사를 맞아서 항체가 다 생겼다면, 나머지 3백만명은 예방주사를 안맞았어도 병에 잘 걸리지 않게된다. 전염병이 확산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독감예방주사의 경우는 여러 독감바이러스 중에 그 해에, 그 지역에 유행할 바이러스를 예상해서 예방주사를 만들기 때문에 그 예상이 빗나가면 독감이 전국적으로 확산될 수도 있다. 이런 현상은 독감 바이러스가 워낙 종류가 많기 때문인데, 그 많은 바이러스를 모두 예방할 수 도 없거니와, 독감바이러스의 변형이 생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보건소역할
물리치료실 실습
보건진료소의 조직, 역할과 기능, 간호사의 업무영역에 대하여 설명하고, 간호업무와 관련하...
한국 공공보건의료체계의 현황과 문제점 및 정책적 과제
지역간호
보건지소의 조직, 역할과 기능, 간호사의 업무영역에 대하여 실례를 중심으로 조사하고, 간호...
결핵관리
지역사회간호사업
이질과 살모넬라
[보건의료정책]보건의료정책의 원칙, 보건의료정책의 단계, 보건의료정책의 필요성, 보건의료...
보건교육의 이해 및 국내 보건교육의 발전 전략 고찰
[질병, 질환, 질병(질환) 원인, 질병(질환) 분류, 질병(질환) 생물학적 접근, 질병(질환)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