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잉글랜드의 문화 (The Cultures of NewEngland)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The Cultures of NewEngland
- Ralph Waldo Emerson 1803-1882
- Self Reliance
- Henry David Thoreau 1817-1862
- From Walden

# Where I Lived, and What I Lived For
: 나는 어디서, 무엇을 위하여 살았는가
# Higher Laws : 보다 높은 법칙들
# Spring : 봄
# Conclusion : 맺는 말

초절주의 (Transcendentalism)

본문내용

가먹는음식은, 동물적 생명을 유지하는 양식이 되어야 하는 것이지불필요하게취하는자세는단지탐욕일뿐이다.
자연과 멀어지면서 인간은 모든 사물과 현상에 취하며 살아가고 있다. 눈을 휘둥그래 만드는 물질들에 눈멀어 취하고, 인위적인 관계와 사회에 취하고 있으며 심지어 음악조차도 유혹하는 수단이 되어 인간을 취하게 만든다. 우리에게필요한것은취하지않음이다. 우리를취하게만드는것들에서벗어나바람소리와자연속에서깨어있는것이인간이추구해야하는진실이다. 우리를 취하게 만드는 물질들은 단지 허구일 뿐이다.
우리의몸안에동물이있음을의식하고있지만우리의인생은놀라울만큼도덕적이다. 덕과 악덕 사이에는 한 순간의 휴전도 없이 싸움이 계속되고 있다. 선이야 말로 절대적으로 실패하지 않는 유일한 투자이고 우리가 내야 하는 것은 단지 선행이다. 인간의 나태와 무지, 관능의 천성을 극복하기 힘들지만, 절제하며 지혜롭고 순결하게 게으름을 벗어나 극복되어야만 한다. 비록욕망으로인해진실이잘전달되지않지만, 우리 본래의 자연으로 돌아가 자연을 느끼게 된다면 그곳이 행복한 장소임을 알게 되며 천국이라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다.
우리의 야성적인 본능을 인정하되 자연 속에서 절제하는 금욕 생활을 실천하게 된다면 그것은 우리의 육체를 구하게 되는 것이며 보다 높은 성숙된 인간이 될 수 있다.
# Spring : 봄
월든의 호수는 계절의 절대적 진행을 잘 나타낸다. 하루는 일년의 축소판으로 밤은 겨울을 아침, 저녁은 봄, 가을을 낮은 여름이라 할 수 있다. 겨울이 봄으로 바뀌는 등 자연의 변화는 대지가 자신의 외부에 표현하는 것을 예술가의 작업으로 빗대어 표현할 수 있겠다. 이러한 대지의 표현은 진통을 겪으며 변화하며 형성한다. 지구 내부의 위대한 생명에 비하면 온갖 동식물은 단지 기생적인 것 일 뿐이며 금, 은 틀로 만든 아름다운 것보다 대지 자체가 훨씬 큰 아름다움을 지닌다.
대지의 진통으로 얼음이 변화되어 봄의 새로운 해가 오면 풀들이 봄비의 부름을 받고 싹을 트는데 이는 인간을 상징하고 있다. 인간의 생명은 목숨 자체는 시들어 버리지만 뿌리는 살아남아 다시 그 푸른 잎을 영원을 향해 내뻗기를 반복 함을 의미한다.
봄과 겨울의 차이는 소생이라고 할 수 있다. 겨울의 기간은 죽음을 봄은 소생을 의미하는데 겨울의 기간이 지나고 나면 빗물, 새들의 소리 등 자연이 충만함이 넘치며 혼돈에서 우주가 창조되고 황금시대가 실현될 것 같은 것이 바로 봄이다.
흔쾌한봄날아침인간의모든죄는용서를받을수있으며우리가항상현재에서살면서자신의몸위에떨어진한방울의작은이슬도놓치지않고받아들여커가는풀잎처럼우리에게생기는모든일을최대한으로이용할수있다면, 그리하여 과거에 잃어버린 기회에 대해 애통해 하는 것으로 시간을 보내지 않는다면 우리는 정말 복 받은 존재가 될 것이다. 과거에 잃어버린 기회, 죄는 겨울의 시대라고 말할 수 있으며 그 기간이 지난 후에 자신의 잘못을 바로 잡고 용서받을 수 있는 기회, 인간이 다시 소생할 수 있는 봄이 오기 때문이다.
모든 자연의 동식물들이 그러하듯이 인간도 공기의 흐름에 몸을 맡기는 것이 필요하다. 자연이 바로 인간의 형제이기에 인간의 외로움과 두려움은 사라질 것이다. 자연 속에 인간이 속하기 때문에 인간의 삶에 꼭 필요한 존재이며, 인간에게 봄은 처음을 시작할 수 있는 계절이 되어준다.
# Conclusion : 맺는 말
지금내가있는곳이전부가아니다. 우주와 자연은 광대하다. 그 속에 자연은 속해 있으므로 인간이 자연으로서 살아간다면 우리는 지금 무한한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지금의인생에한계를그어운명이결정된것으로생각하지마라.
결심과 용기를 가지며
자신의 내부에 호기심을 갖고, 탐색하라.
멈추지 마라. 탐험하라.
도망치지 마라.
포기하지 마라.
진실을 추구하라.
본연의 자세를 추구하라.
우리는하루의거의반절에가까운시간을깊은잠을자며보내는겨울의기간을오래지나고있기때문에지금의인류의역사에서봄의계절에불과한지모른다. 지금의 겨울의 기간에 봄을 희망하며 우리 자신을 자연에 속한 본연의 자세로 살아가는 모습이 우리의 진정한 모습일 것이다.
초절주의 (Transcendentalism)
19세기에 미국의 사상가들이 주장한 이상주의적 관념론에 의한 사상개혁운동의 입장.
초절주의(超絶主義)라고도 한다. 1830년대부터 본격화된 산업혁명과 서진운동(西進運動)을 배경으로 근대국가로 발돋움하는 미국의 전환기를 토양으로 해서 무한한 세계에의 동경을 웅변으로 훌륭히 정착시켰다. 1836년 에머슨이 초월주의의 선언문으로 일컬어지는 《자연(Nature)》을 출간하여 새로운 시대의 신념으로 고전적인 표현을 부여하였다. 같은 해 보스턴에서 ‘초월주의자 클럽’이 결성된 것을 계기로 속칭 ‘콩코드 그룹’이 이 입장에 찬동하는 사람들과 F.W.J.셸링의 철학에서 영향을 받은 F.헤지를 중심으로 모였다.
이 청년들은 기관지 《다이얼》을 발간하고, 브루크 농장을 경영하는 등 새시대의 선구로서 눈부신 활동을 전개하였다. T.파커, 헤지, 풀러, H.D.소로, A.B.올코트 등을 주축으로 그들은 제각기 뛰어난 개성을 갖추면서 한 결처럼 현실세계의 유한성을 부정하고 그 배후에 감각으로는 파악할 수 없는 초월세계가 실재함을 믿음으로써 반대로 현실세계의 무한성을 찬미하였다.
사상사(思想史)의 계보로 따지면 신 플라톤 파나 칸트 철학의 영향을 받아 개인에 내재하는 신(神)에의 귀일, 물질에 대한 정신의 우위 등을 기본적인 교의(敎義)로 삼았으나 이윽고 남북전쟁(南北戰爭:1861∼65) 전야, 산업자본주의 체제를 지향한 사회의 진로가 명확해짐에 따라 점차 쇠퇴하였다. 프래그머티즘(실용주의)이 대두될 때까지 미국사상의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일정한 체계를 갖춘 철학사상이라기보다는 차라리 문명비평이나 문학운동에 가까웠다.
문학으로서는 에머슨의 《에세이집》과 시, 소로의 《숲속의 생활》 등으로 열매를 맺고 N.호손, H.멜빌, W.휘트먼 등에서도 그 영향이 인정된다. transcendentalism은 칸트나 독일 관념론의 경우에는 ‘선험주의(先驗主義)’로 번역되므로 이와 구별하여 영어에서는 New England Transcendentalism이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7.11.05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55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