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 사상과 건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본론
1) 노자의 미에 관한 주장
가. 자연(自然)의 미
나. 여백(餘白)의 미
다. 대대(待對)의 미
라. 초현실성(超現實性)의 미
2)현대 미니멀리즘과 노자사상
가. 공간의 근원으로서의 도
나. 건축공간에서의 無와 有
3) 미니멀리즘과 노자사상의 관계성
가. 현대 미니멀리즘 건축
나. 현대 미니멀리즘 건축 특성
다. 미니멀리즘과 노자사상의 관계성
4) 노자 사상의 관점에서 본 현대 건축의 사례

3. 결론

4. 토론해 볼 점

5. 참고문헌
*참고사진

본문내용

"
- Luis Kahn " 전자는 침묵, 후자는 빛의 세계이고 이 둘이 결합하는 곳에 건축의 실현화가 (realization) 있다" - 침묵함으로 드러내지 않음
소크연구소의 중정 by Luis Barragan - "나뭇잎 하나도, 식물 하나도, 꽃 하나라도, 심지어 먼지 하나라도 그안에 두지 마시오. 절대적 무위 마당(Absolute Nothing Plaza)은 그 두 건물들을 연결시킬수 있을 것이오" -> 사례6 Luis Khan 'Salk Institute' 참조
- 화엄사 구층암 승방의 기둥 - 구층암 승방의 모과나무는 자연이 곧 건축의 뼈대가 된다는 근원적인 생각을 나타낸다. 나무의 밑둥이 기둥이요 줄기는 보가 되며 잔가지는 서까래와 지붕이 된다. -> 사례4 화엄사 구층암 승방 참조
3. 결론
F. Capra는 '21세기의 물리학은 기계론적 자연관으로는 설명되어질 수 없으며 이제 유기체적 자연관으로 대체되어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관심은 건축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주위의 환경과 건축물이 함께 어우러지는 예전의 모습은 사라지고 기계적. 기술적인 발전은 단순히 건축의 기능적이고 첨단적인 모습을 부각시켰다. 다시 말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현대의 건축 경향은 이론적 이해에 있어 하나의 분석인자나 요소로서는 모호한 입장을 취하게 되었다. 따라서 건축에 있어서도 현대의 새로운 건축 양식이나 경향의 분석에 있어 총체적 개념을 가지는 동양사상에서의 새로운 접근방법에 대한 탐구가 요구되고 있다.
4. 토론해 볼 점
가. 건축물은 경제성을 무시하고 생각할 수 없다. 좁은 땅을 효율적으로 쓰기 위해서는 고층건물이 들어설 수밖에 없는데, 고층건물은 세우면서 동시에 노자사상에 부합하는 ‘비움’과 ‘여유’를 추구할 수는 없을까?
나. 현재 국가적인 차원에서 제도적인 방안으로 어떻게 노자사상을 접목함으로써 사람들의 삶을 조금이나마 윤택하게 만들 수 있을까?
5. 참고문헌
- ‘새로운 노자사상 ’ , 장기수 , 홍익대학교출판사
- ‘건축공간과 노자사상’ ,AMOS IH TIAO CHANG , 윤장섭 역 , 기문당
- ‘빈자의 미학’ , 승효상 , 미건사
< 참고사진 >
사례1 John Pawson - 'De Camaret House' 사례2 인사동 쌈지길
사례3 Alberto Giacometti-'A walking man' 사례4 화엄사 구층암 승방
사례5 승효상 ‘수졸당’ 사례6 Luis Khan 'Salk Institute'
*목차
1. 서론
2.본론
1) 노자의 미에 관한 주장
가. 자연(自然)의 미
나. 여백(餘白)의 미
다. 대대(待對)의 미
라. 초현실성(超現實性)의 미
2)현대 미니멀리즘과 노자사상
가. 공간의 근원으로서의 도
나. 건축공간에서의 無와 有
3) 미니멀리즘과 노자사상의 관계성
가. 현대 미니멀리즘 건축
나. 현대 미니멀리즘 건축 특성
다. 미니멀리즘과 노자사상의 관계성
4) 노자 사상의 관점에서 본 현대 건축의 사례
3. 결론
4. 토론해 볼 점
5. 참고문헌
*참고사진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11.08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60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