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 연구의 제한점 및 방법
Ⅱ.프로이드 이론 -정신세계 세구역-
Ⅲ. 무용심리에 관한 전반적인 이야기
Ⅳ.발레작품에 나타나는 심리분석 -라일락정원을 중심으로-
Ⅴ.결론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 연구의 제한점 및 방법
Ⅱ.프로이드 이론 -정신세계 세구역-
Ⅲ. 무용심리에 관한 전반적인 이야기
Ⅳ.발레작품에 나타나는 심리분석 -라일락정원을 중심으로-
Ⅴ.결론
본문내용
수 있다.
첫째 발레작품에서 나타나는 심리를 보면서 자기를 보다 깊게 이해하게 된다. 이제까지 자신이 알지 못하던 자기 무의식에 있는 심리적 내용을 통찰함으로써 그리고 현재무대에서 보조자아들과의 관계를 맺는 방식 속에 자신의 대인관계 양식이 그대로 투사됨으로써 분명하게 인식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이를 통하여 자아영역이 확장될 뿐 만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 속에 한 개인으로서 자기와 타인에 대한 책임감이 증진 될 수 있다. 둘째, 극중여러가지의 역할을 봄으로써 현재 행동을 보완해줄 대안적 행동을 익히게 되고 자신을 표현하는 능력이 향상 될 수 있다. 즉 사회적 기술이 증진되는 것이다. 셋째, 이미 지나쳐온 자신의 과거 어떻게 벌어질지 모르는 미래 ,혹은 지금과는 다른 현재 등 여러 다양한 가상적 현실들을 발레심리극 무대에서 경험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가치관이나 인생 철학을 인식하게 되며 가치관을 재검토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상상을 통해 자기의 꿈과 그것이 상상하는 바 , 그리고 직관력의 향상 등 개인적인 성장에 필요한 기술을 배우게 된다. 즉 발레심리극을 통해 자기 성찰과 자기인식이 증진되며 새로운 행동반응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관객에게 메시지를 억지로 주려는 의도보다는 자연히 수반되어 가는 작품의 의도와 심리적표현의 일치가 더욱 중요하다고 본다. [라일락 정원1936]에서 던져주는 상징적인 메시지가 춤의 구도와 춤사위에 추구성에 몰두되어 지게 하는 듯하다.
심리적 요소구분이 시도될 때 그 예술성의 가치는 더욱 더 빛난다. 무용과 심리의 필연적 만만남을 분명히 중요한 점으로 갖게 하고 보다 밀접한 관계가 유지됨을 깨닫게 됨과 동시에 작품의 생명에 대한 심리와의 관계성에 충분한 연구 필요함을 다시 느끼게 된다.
무용과 심리 무용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영향은 필연적인 관계임이 분명하다. 무용에서 심리적인 연구가 사적인 연구보다 너무 많이 뒤져 있음을 실감하고 무용계에서 사회적 여건과 제도가 뒷받침 될 수 있는 상황이 되어지길 희망함은 물론 무용심리학적 연구가 강도 있게 연구되어지길 바란다.
무용심리극에서는 텍스트와 관객의 관계를 단순히 개인적 차원이 아닌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서 조망한다는 의미이다. 인간들이 모여 만들어 내는 문화라는 것, 그 문화 속에는 자연스런 것으로 보이는 것들이 늘상 우리 곁에서 일상화되어 있다. 하지만 일상화되고 당연하며 자연스러운 것 속에는 힘의 메커니즘을 바탕으로 한 지배 이데올로기가 숨겨진 채 우리의 의식을 점령, 문화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 문화론적 무용심리극은 무용에 투영된 지배 이데올로기와 그 이데올로기를 지탱시켜 주는 주체형성에 대한 의미작용의 연결고리를 탐구하는 것이다.
-참고 문헌-
*심리극 - 최윤미 (1996) - 중앙적성 출판사(1996)
*Waltersorell - 신길수(엮) - (주) 무용 사상사 1999 dance in its time.
*질드리즈(1998) - 이영신 옮김 - 니체와 철학 민음사
*에드워드 암스트롱 베넷(1998) - 김형섭 옮김 - 한권으로 읽는 융 - 푸른 숲
*남경태 지음(1998) - 현대 철학은 진리를 어떻게 정의하는가? - 두산 동아
*김상준 지음(1996) - 프로이트와 영화를 본다면 - 집현전
*이정일(199 )- 조지발란쉰의 작품활동이 미국 발레에 미치는 영향-대한 무용학회제22권
*웰터데리(1999) - 김주자,김경자 옮김 - 춤을 어떻게 본것일까? - 현대미학사
*서인숙(1998) - 영화 분석과 기호학 - 집문당
*박중길(1996) - 미학과 무용비평 - 대한 미디어
*서정자, 박중길 공저 (1997) - 무용안무법 - 대한 미디어
*존마틴(1994) - 장정윤 저 - 무용입문 - 교학 연구사
*문애령편저(1995) - 서양 무용사 - 눈빛
*수잔오(1990) - 김채현 옮김 - 서양춤 예술의 역사
*팀 비워턴, 토마스소빅(1991) -이용관,현대영화 연구회 옮김-영화 비평의 이해 - 예견사
*이준규(1992) - 발레 작품에 있어서 음악과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 한양대석사
*정호진(1992) - 신고전주의 사조가 무용형식에 상용된 형태에 관한 연구 - 한양대석사
*조승미 - 발레 그 사적인 작품해설 - 대광 서림
*송수남(1991) -창의적인 무용 움직임이 언어인지 기술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덕문화사
*김복희, 김화숙(1986) - 무용론 - 보진재 출판사
*Curt Sachs. (1937), 김매자(역)「세계무용사」, (서울 : 풀빛, 1983),
*크리스티아데어(1992)<춤,여성그리고남성>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김채현 옮김1996)
*제르멘느 프뤼도모 (1992) 양선희 무용의 역사 1,2 삼신각
*칸딘스키(1979) - 김애자 역, 예술에 있어서 형식적인 것에 대하여 - 대덕 문화
* 미쉘 페로(1994)<여성의 역사> 새물결-귄기돈.정나원옮김(1998)
*박선희 1996 현대사회에 있어서의 무용학과 심리학의 학제화 경향에 관한 연구조선대
* 文暎 1993 무용 심리학의 학문적 구조 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안근석(1990) 심리학개론 형설출판사
*정양은 (1986)심리학개론 범문사
* 홍대석 (1988)사회심리학 박영사
* Ibid
* R.G. Callingwood, The Principles of Art(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938),
*Sally Banes(1998)Routledge-New york. London
*George Balanchine & FRANCIS MA SON(1977) - Balachine's 08 Ballet vol 3. - *sally banes 1998 ( dancing women) Routledge
*Rodowick, David Norman, The Political Avant Garde: Modernism and Epistemology in Post'68 Film Theory,
* Robert Lapsley and Michael Westlake, Film Theory: An Introduction,
첫째 발레작품에서 나타나는 심리를 보면서 자기를 보다 깊게 이해하게 된다. 이제까지 자신이 알지 못하던 자기 무의식에 있는 심리적 내용을 통찰함으로써 그리고 현재무대에서 보조자아들과의 관계를 맺는 방식 속에 자신의 대인관계 양식이 그대로 투사됨으로써 분명하게 인식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이를 통하여 자아영역이 확장될 뿐 만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 속에 한 개인으로서 자기와 타인에 대한 책임감이 증진 될 수 있다. 둘째, 극중여러가지의 역할을 봄으로써 현재 행동을 보완해줄 대안적 행동을 익히게 되고 자신을 표현하는 능력이 향상 될 수 있다. 즉 사회적 기술이 증진되는 것이다. 셋째, 이미 지나쳐온 자신의 과거 어떻게 벌어질지 모르는 미래 ,혹은 지금과는 다른 현재 등 여러 다양한 가상적 현실들을 발레심리극 무대에서 경험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가치관이나 인생 철학을 인식하게 되며 가치관을 재검토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상상을 통해 자기의 꿈과 그것이 상상하는 바 , 그리고 직관력의 향상 등 개인적인 성장에 필요한 기술을 배우게 된다. 즉 발레심리극을 통해 자기 성찰과 자기인식이 증진되며 새로운 행동반응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관객에게 메시지를 억지로 주려는 의도보다는 자연히 수반되어 가는 작품의 의도와 심리적표현의 일치가 더욱 중요하다고 본다. [라일락 정원1936]에서 던져주는 상징적인 메시지가 춤의 구도와 춤사위에 추구성에 몰두되어 지게 하는 듯하다.
심리적 요소구분이 시도될 때 그 예술성의 가치는 더욱 더 빛난다. 무용과 심리의 필연적 만만남을 분명히 중요한 점으로 갖게 하고 보다 밀접한 관계가 유지됨을 깨닫게 됨과 동시에 작품의 생명에 대한 심리와의 관계성에 충분한 연구 필요함을 다시 느끼게 된다.
무용과 심리 무용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영향은 필연적인 관계임이 분명하다. 무용에서 심리적인 연구가 사적인 연구보다 너무 많이 뒤져 있음을 실감하고 무용계에서 사회적 여건과 제도가 뒷받침 될 수 있는 상황이 되어지길 희망함은 물론 무용심리학적 연구가 강도 있게 연구되어지길 바란다.
무용심리극에서는 텍스트와 관객의 관계를 단순히 개인적 차원이 아닌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서 조망한다는 의미이다. 인간들이 모여 만들어 내는 문화라는 것, 그 문화 속에는 자연스런 것으로 보이는 것들이 늘상 우리 곁에서 일상화되어 있다. 하지만 일상화되고 당연하며 자연스러운 것 속에는 힘의 메커니즘을 바탕으로 한 지배 이데올로기가 숨겨진 채 우리의 의식을 점령, 문화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 문화론적 무용심리극은 무용에 투영된 지배 이데올로기와 그 이데올로기를 지탱시켜 주는 주체형성에 대한 의미작용의 연결고리를 탐구하는 것이다.
-참고 문헌-
*심리극 - 최윤미 (1996) - 중앙적성 출판사(1996)
*Waltersorell - 신길수(엮) - (주) 무용 사상사 1999 dance in its time.
*질드리즈(1998) - 이영신 옮김 - 니체와 철학 민음사
*에드워드 암스트롱 베넷(1998) - 김형섭 옮김 - 한권으로 읽는 융 - 푸른 숲
*남경태 지음(1998) - 현대 철학은 진리를 어떻게 정의하는가? - 두산 동아
*김상준 지음(1996) - 프로이트와 영화를 본다면 - 집현전
*이정일(199 )- 조지발란쉰의 작품활동이 미국 발레에 미치는 영향-대한 무용학회제22권
*웰터데리(1999) - 김주자,김경자 옮김 - 춤을 어떻게 본것일까? - 현대미학사
*서인숙(1998) - 영화 분석과 기호학 - 집문당
*박중길(1996) - 미학과 무용비평 - 대한 미디어
*서정자, 박중길 공저 (1997) - 무용안무법 - 대한 미디어
*존마틴(1994) - 장정윤 저 - 무용입문 - 교학 연구사
*문애령편저(1995) - 서양 무용사 - 눈빛
*수잔오(1990) - 김채현 옮김 - 서양춤 예술의 역사
*팀 비워턴, 토마스소빅(1991) -이용관,현대영화 연구회 옮김-영화 비평의 이해 - 예견사
*이준규(1992) - 발레 작품에 있어서 음악과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 한양대석사
*정호진(1992) - 신고전주의 사조가 무용형식에 상용된 형태에 관한 연구 - 한양대석사
*조승미 - 발레 그 사적인 작품해설 - 대광 서림
*송수남(1991) -창의적인 무용 움직임이 언어인지 기술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덕문화사
*김복희, 김화숙(1986) - 무용론 - 보진재 출판사
*Curt Sachs. (1937), 김매자(역)「세계무용사」, (서울 : 풀빛, 1983),
*크리스티아데어(1992)<춤,여성그리고남성>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김채현 옮김1996)
*제르멘느 프뤼도모 (1992) 양선희 무용의 역사 1,2 삼신각
*칸딘스키(1979) - 김애자 역, 예술에 있어서 형식적인 것에 대하여 - 대덕 문화
* 미쉘 페로(1994)<여성의 역사> 새물결-귄기돈.정나원옮김(1998)
*박선희 1996 현대사회에 있어서의 무용학과 심리학의 학제화 경향에 관한 연구조선대
* 文暎 1993 무용 심리학의 학문적 구조 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안근석(1990) 심리학개론 형설출판사
*정양은 (1986)심리학개론 범문사
* 홍대석 (1988)사회심리학 박영사
* Ibid
* R.G. Callingwood, The Principles of Art(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938),
*Sally Banes(1998)
*George Balanchine & FRANCIS MA SON(1977) - Balachine's 08 Ballet vol 3. - *sally banes 1998 ( dancing women) Routledge
*Rodowick, David Norman, The Political Avant Garde: Modernism and Epistemology in Post'68 Film Theory,
* Robert Lapsley and Michael Westlake, Film Theory: An Introduction,
추천자료
유아교육론 [ 교문사 간 李恩相, 梁玉承 공저 ]
고전소설과 현대소설의 갈등양상을 통한 문학치료의 가능성
미술치료의 이해와 적용
자아개념(자기개념)의 의미, 자아개념(자기개념)의 구분, 자아개념(자기개념)의 특성, 자아개...
미술치료에 대한 이해
미술치료의 개념(정의)과 장점, 역사
(인간과교육)1)주입식 교육관과 이와 대비되는 자연주의 교육관, 진보주의 교육관, 실존주의 ...
미술치료프로그램
[생활과건강] 건강한 생활양식 중 관련된 내용을 상세히 기술. 제시한 내용 각각에 대한 효과...
아동발달에 대한 이론적 단점을 비교하고 각 발달이론이 아동양육에 대해 제공하는 시사점이 ...
영유아 프로그램개발과평가.영유아 프로그램의 이론적 배경에 대하여 작성하시오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