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소설 이광수와 <무정>에 대해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작가 이광수 연보

Ⅱ. 이광수의 작품 <무정>

Ⅲ. 작품의 줄거리

Ⅳ. <무정> 등장인물의 성격

Ⅴ. 무정의 계몽주의

Ⅵ. 무정의 한계

Ⅶ. 민족개조론

Ⅷ. 이광수의 친일문제

Ⅸ. 결론

본문내용

도모 할 수 없으리라는 판단을 하였으며, 「민족개조론」(1922)에 따르면, 도덕적 개조를 주창하면서 민족성의 타락이란 바로 도덕적 타락이기 때문에, 이에 민족이 쇠퇴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민족성의 도덕적 개조가 요청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는 조선민족의 힘을 기르기 위함이며, 우리의 전근대적이고 봉건적인 민족정신을 일본식의 근대적이고 현대적인 것으로 바꾸자고 하는 것이다. 이는 우리민족의 정신을 비하시키고, 당시 우리를 지배하던 일본을 따라가자는 의미이며 나아가서는 우리는 일본보다 미개하니 일본을 무조건 따라가자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그의 이와 같은 작품에서 조선인은 쉽게 말하면 제가 조선인인 것을 잊어야 하며 또한 기억할 필요가 없는 것이라 주장하면서 나는 일찍 조선인의 동화는 일본신민이 되기에 넉넉한 정도면 그만이라는 생각을 가진 일이 있었다. 그러나 나는 지금에 와서는 이러한 신념을 가진다. 즉 조선인은 전혀 조선인인 것을 잊어야 한다고, 아주 피와 살과 뼈가 일본인이 되어버려야 한다고 까지 말하고 있다. 우리는 그의 잘못된 역사의식과 그가 지닌 민족주의적 한계성을 파악함으로써 그의 친일 행위에 대한 시대의 아픔을 읽을 수 있을 것이다.
Ⅸ. 결 론
지금까지 춘원의 대표작 「무정」과 그가 주장했던 「민족개조론」 그리고 이광수의 친일문제에 대해서 간략하게나마 다루어 보았다. 한국문학사에서 춘원을 빼고서는 이야기 할 수 없을 만큼 가장 비중이 크다고 평가 받는 이 작가를 단지 3가지의 범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는 것은 너무나 터무니없는 이야기이다. 하지만 우리가 다룬 이 3가지를 언급하지 않고서는 춘원의 문학을 이야기할 수 없었기에 나머지 다루지 않았던 수많은 부분들을 우선하여 제시하는 바이다.
몰락한 집안의 맏아들로 태어나서 어린 나이에 스스로 생계를 책임지며 세파를 헤쳐 나갔던 춘원, 고아의 운명을 받아들일 수밖에 취약하고 불우한 배경 속에서도 영특한 머리와 피나는 노력으로 한국 문학의 선구자로 민족의 지도자로 우뚝 서게 되었던 춘원, 그러나 민족을 배신한 변절자 혹은 반역자라는 오명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던 춘원, 우리는 그를 가리켜 ‘행복한 불행자’라고 이야기한다.
◆ 참고문헌
박성철, 이광수의 초기 소설연구, 경남대학교교육대학원, 1988
김승종, 한국 현대 작가론, 전주대학교출판부, 1995
김윤식, 이광수와 그의 시대, 솔, 1999
장석주, 20세기 한국문학의 탐험, 시공사, 2000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11.10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61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