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공포증
Ⅰ. 공포증의 개념
공포장애는 특정한 대상 행동 또는 상황에 처했을 때 극심한 두려움과 불안증세가 생겨서 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그 대상, 행동 및 상황을 피해 버리는 장애이다. 일상적이고 보편적인 공포반은응 누구나 느낄수 있지만 병리적인 공포증은 정상적인 공포반응보다 훨씬 강도가 강하며 오래 지속되고 일상생활이나 사회적 기능에 지장을 초래한다. 병리적인 증상을 가진 사람들의 예를 들면 심장이 너무 빨리 뛰어서 터질 지경이다. 목이 막히고 숨을 쉴 수가 없어 질식할 것 같다든지. 손이 땀이 나고 너무 어지러워 뭔가 붙잡지 않으면 쓰러질 것 같다, 이러다 죽을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이러한 말들은 공포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이 두려워하는 상황에 직면했을 때 주로 나타나는 증상들이다.
공포증은 불안장애 중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질병일 뿐만 아니라 가장 흔한 정신과적 질환이다. 미국의 경우 전체 인구의 5.1-12.5% 정도가 공포증에 시달리고 있으며 이를 나이와 성별로 구분해 보면 여성의 경우 모든 연령층에서 가장 흔한 신경과적 질환이고, 남자의 경우 25세 이상 성인에게 두 번째로 흔한 질병이다. 그러나 공포증 환자의 23%만이 치료를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들 환자가 병원을 찾는 경우는 많으나 주로 신체적 증상, 예를 들면 흉통이나 소화불량 등 신체적증상을 호소하므로 오진되기 쉬운 질환임을 보여주고 있다.
DSM-Ⅳ에서는 공포증을 특정공포증과 사회공포증으로 구분하고 있다. 다음 글에서는 특정공포증과 사회공포증을 각각 살펴보고 공포증의 치료방법을 고찰하고자 한다.
Ⅱ. 공포증의 유형
1) 특정공포증
(1) 특정공포증의 유병률
공포증을 가진 사람의 많은 수는 치료를 받으러 오지 않거나 잘못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특정공포증의 평생유병률은 11%로서 2:1로 여성에 많고 10대에 특히 많이 분포되있는걸 알수있다. 특정공포증은 사회공포증보다 더 흔하며 여성에 많고 남성에게는 물질관련장애 다음으로 흔하다.
(2) 특정공포증의 원인
생물학적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피, 주사, 외상 등에 대한 특정공포증에 대해 유전적 요인이 제기되고 있기는 하나, 확정적은 아니다. 유전 체질이론에서 공포증의 소인을 가지고 태어난 사람이 만성적 환경적 스트레스가 잦을 때 공포증이 발병한다고 한다.(그 스트레스는 대개 부모의 죽음, 부모와의 이별, 형들의 모독이나 비판, 가족내 폭력 등)
공포증에 대한 정신분석적 이론은 고전적 증례 보고인 5세 어린이 한스의 정신분석을 통해 제시되었다. 한스는 어린 시절 해결되지 않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로 인하여 아버지 대신 말에대한 공포증을 설명하고 있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그에 유래한 거세 공포, 근친상간에 대한 불안, 기타 성적 흥분에 이르는 갈등이 불안을 초래하며, 이때 불안은 그러한 용납되지 않는 무의식적 갈등에 대한 경고라고 하였다. 이 불안이 방어기제의 하나인 억압으로 해결되지
Ⅰ. 공포증의 개념
공포장애는 특정한 대상 행동 또는 상황에 처했을 때 극심한 두려움과 불안증세가 생겨서 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그 대상, 행동 및 상황을 피해 버리는 장애이다. 일상적이고 보편적인 공포반은응 누구나 느낄수 있지만 병리적인 공포증은 정상적인 공포반응보다 훨씬 강도가 강하며 오래 지속되고 일상생활이나 사회적 기능에 지장을 초래한다. 병리적인 증상을 가진 사람들의 예를 들면 심장이 너무 빨리 뛰어서 터질 지경이다. 목이 막히고 숨을 쉴 수가 없어 질식할 것 같다든지. 손이 땀이 나고 너무 어지러워 뭔가 붙잡지 않으면 쓰러질 것 같다, 이러다 죽을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이러한 말들은 공포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이 두려워하는 상황에 직면했을 때 주로 나타나는 증상들이다.
공포증은 불안장애 중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질병일 뿐만 아니라 가장 흔한 정신과적 질환이다. 미국의 경우 전체 인구의 5.1-12.5% 정도가 공포증에 시달리고 있으며 이를 나이와 성별로 구분해 보면 여성의 경우 모든 연령층에서 가장 흔한 신경과적 질환이고, 남자의 경우 25세 이상 성인에게 두 번째로 흔한 질병이다. 그러나 공포증 환자의 23%만이 치료를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들 환자가 병원을 찾는 경우는 많으나 주로 신체적 증상, 예를 들면 흉통이나 소화불량 등 신체적증상을 호소하므로 오진되기 쉬운 질환임을 보여주고 있다.
DSM-Ⅳ에서는 공포증을 특정공포증과 사회공포증으로 구분하고 있다. 다음 글에서는 특정공포증과 사회공포증을 각각 살펴보고 공포증의 치료방법을 고찰하고자 한다.
Ⅱ. 공포증의 유형
1) 특정공포증
(1) 특정공포증의 유병률
공포증을 가진 사람의 많은 수는 치료를 받으러 오지 않거나 잘못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특정공포증의 평생유병률은 11%로서 2:1로 여성에 많고 10대에 특히 많이 분포되있는걸 알수있다. 특정공포증은 사회공포증보다 더 흔하며 여성에 많고 남성에게는 물질관련장애 다음으로 흔하다.
(2) 특정공포증의 원인
생물학적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피, 주사, 외상 등에 대한 특정공포증에 대해 유전적 요인이 제기되고 있기는 하나, 확정적은 아니다. 유전 체질이론에서 공포증의 소인을 가지고 태어난 사람이 만성적 환경적 스트레스가 잦을 때 공포증이 발병한다고 한다.(그 스트레스는 대개 부모의 죽음, 부모와의 이별, 형들의 모독이나 비판, 가족내 폭력 등)
공포증에 대한 정신분석적 이론은 고전적 증례 보고인 5세 어린이 한스의 정신분석을 통해 제시되었다. 한스는 어린 시절 해결되지 않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로 인하여 아버지 대신 말에대한 공포증을 설명하고 있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그에 유래한 거세 공포, 근친상간에 대한 불안, 기타 성적 흥분에 이르는 갈등이 불안을 초래하며, 이때 불안은 그러한 용납되지 않는 무의식적 갈등에 대한 경고라고 하였다. 이 불안이 방어기제의 하나인 억압으로 해결되지
추천자료
[불안장애][불안장애의 종류][불안장애의 증상][불안장애 사례연구][불안장애의 치료][정신건...
인간써비스영역에서(인간서비스) 정신건강학의 중요성, 양육자의 태도가 영유아기의 아동의 ...
정신건강과 정신보건사회복지 실천
자신이 속한 발달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신건강문제는 어떤 것이며 자신을 어떻게 대처하...
[노화][지능][교육프로그램][정신건강][세포노화]노화의 정의, 노화의 원인, 노화와 지능, 노...
인간의 발달과정 중 아동기 발달의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발달과제와 정신건강문제와의 관련성...
쟁점주제 : [정신건강론]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현대 사회의 쟁점주제들의 긍정적, 부정...
현대사회의 이슈가 되고 있는 정신건강문제 발생 원인과 예방에 대한 주관적 견해를 논하시오...
정상과 이상에 대한 내용을 기억하면서 정신건강이란 무엇이며, 자신의 정신건강을 유지하거...
자신의 생애사를 돌아보며 현재의 정신건강과 연결 지어 보기 그리고, 앞으로의 정신건강을 ...
(의료사회사업론 A형) 우리나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사업의 개요, 자원 현황, 프로그램 ...
[자신(개인)과 우리사회의 정신건강 수준에 대하여 진단 및 평가하고 이러한 정신건강 수준이...
이번 학기 수업에서 핵심적인 내용은 정신건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들이 과제 제출까...
자신(개인)과 우리사회의 정신건강 수준에 대하여 진단 및 평가하고 이러한 정신건강 수준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