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지역과 조상-임고서원과 정몽주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임고서원과 은행나무
2. 정몽주
3. 포은 정몽주 선생 출생지 두고 포항 VS 영천시 원조논쟁
Ⅲ. 결론

본문내용

변질 될까 우려되고 있다.
이에 대해 영천시민들은 어이가 없다는 반응이다. 포은 선생이 태어난 충효의 고장 시민이라는 자부심을 갖고 있는데, 포은 선생이 문충리 출생이라는 주장은 영천인의 정신적 뿌리를 흔드는 것이라며 반박하고 있다.
포은선생 숭모사업회측은 “포은 선생의 출생지는 여러 문헌이나 임고서원 문집에서도 포은선생의 출생지(出生地)가 영천이다” 라고 했으며, “포은선생의 아버지인 일성군 묘소도 임고면 양항리에 있고, 백과사전에도 포은선생은 영천 우항 출신이다.” 라고 표기 되어 있다며 반박했다. 또한, “내년부터 포은 문화재를 영천시 관내에서 개최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임고 청년회 관계자도 “내년부터 경로잔치 행사시 포은선생을 기리는 문화축제를 별도로 삽입할지를 적극 검토 중이다” 며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영천시 관계자는 사견임을 전제로 “금번 포항 오천에서 열린 포은 문화 축제에 대해 맞대응 하는 것은 자칫 소모전으로 비춰 질수 있다” 며 감정적 대응보다는 상황의 추이를 보며 논리적으로 대응 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 관련사진-지난 27일 포항 오천에서 열린 행사모습
Ⅲ. 결론
정몽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다. 이런 기회를 마련해 주신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내 몸속에는 위인의 피가 흐른다는 자긍심을 갖고 더 멋진 삶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할 것을 다짐하며 보고서의 끝을 맺으려 한다. 정몽주의 성리학이 한국성리학 본고지인 영남지방뿐만 아니라 전체의 효시라는 것과 이색의 제자로서 영향을 받게 되었다는 조사과정에서 얻게 된 정보는 정말로 유익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11.13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64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