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는 열악한 환경 때문에 대문 안에 봉당을 두고 겹집형 민가로 변용된 것이다.
이와 같은 민가형의 특징은 모두 겹집형이며, 다 같이 봉당이라는 흙바닥의 옥내 작업장을 두고 있다는 점이다. 함경도 지방에서는 이에 대신하여 바당과 정주간이 있다. 깊은 산간지대라는 환경적인 특수성 때문에 겹집형 가옥 형태와 봉당은 필연적인 대응 관계로 보이는데, 이들 지역의 공통분모와 같은 존재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북부 지방 민가는 일관되게 겹집 형태와 외정형의 모습을 취하고 있다.
6) 제주도 민가
제주도 민가는 온돌 구조가 늦게 전해진 탓으로 한반도와 다른 남방계 주거 양식을 보인다. 민가의 정지에는 취사를 위한 솥걸이만 있고 난방을 위한 아궁이는 없다. 일반형에 속하는 민가에는 정지에 인접해 고상식 상방이 있고 안방 격인 구들은
고팡과 한 묶음이 되어 정지의 반대쪽 단부에 있다. 정지에 상방이 인접하는 것은 제주도 민가의 평면이 온돌 난방과는 무관하며, 중심 되는 주거 공간이 온돌방이 아니라 상방이라는 증거이다.
제주도는 지역적인 특색이 가장 강하며, 주택의 중앙부에 위치한 상방은 주거생활의 중심공간의 됨과 동시에 중간, 휴양, 가족과의 단란, 손님의 접대, 오락유희 등 주택의 사회적 기능을 충족시키는 곳이다. 각 실의 동선을 연결하는 매개공간이 되며 대청과는 의미가 다르고, 실내생활 위주로 토상식 바닥이 진화된 것이므로 한국민가의 마루 중 생활공간의 성격이 가장 강하다.
정지는 조리, 상보기, 설거지의 공간으로 주택의 보건, 위생적 공간이 된다.
외부 출입문은 정지 앞문이 되고 정지 뒷문은 서비스용 출입구가 된다.
난간은 마당에서 상방으로 들어가기 위한 준비공간으로써 외부공간과 내부공간의 완충 공간이다. 이곳은 바닥이 마당보다 높고 상방과 같아서 마당과는 구분이 된다. 밖으로는 개방되어 있으면서 내부로는 연속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공간의 연장이며 내부공간의 시작이다. 구들은 수면, 화장, 탈의, 학습, 육아, 병조리의 공간이 되며, 주택의 사적 생활을 만족시키는 곳이다. 이곳은 외부에 잘 공개되지 않는 휴식공간이다. 큰 구들은 부부의 방이 되며 작은 구들은 아이들 방이 된다.
고방은 곡식류를 저장하는 공간이며 주택의 수장기능을 만족시킨다. 장류를 제외한 모든 주부식을 저장하고 음식 만드는 기구까지 보관한다. 굴뚝은 구들에 불을 때기 위한 공간으로 주택의 보건 위생적 공간이며, 출입은 난간으로 하도록 문이 없다.
이와 같은 민가형의 특징은 모두 겹집형이며, 다 같이 봉당이라는 흙바닥의 옥내 작업장을 두고 있다는 점이다. 함경도 지방에서는 이에 대신하여 바당과 정주간이 있다. 깊은 산간지대라는 환경적인 특수성 때문에 겹집형 가옥 형태와 봉당은 필연적인 대응 관계로 보이는데, 이들 지역의 공통분모와 같은 존재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북부 지방 민가는 일관되게 겹집 형태와 외정형의 모습을 취하고 있다.
6) 제주도 민가
제주도 민가는 온돌 구조가 늦게 전해진 탓으로 한반도와 다른 남방계 주거 양식을 보인다. 민가의 정지에는 취사를 위한 솥걸이만 있고 난방을 위한 아궁이는 없다. 일반형에 속하는 민가에는 정지에 인접해 고상식 상방이 있고 안방 격인 구들은
고팡과 한 묶음이 되어 정지의 반대쪽 단부에 있다. 정지에 상방이 인접하는 것은 제주도 민가의 평면이 온돌 난방과는 무관하며, 중심 되는 주거 공간이 온돌방이 아니라 상방이라는 증거이다.
제주도는 지역적인 특색이 가장 강하며, 주택의 중앙부에 위치한 상방은 주거생활의 중심공간의 됨과 동시에 중간, 휴양, 가족과의 단란, 손님의 접대, 오락유희 등 주택의 사회적 기능을 충족시키는 곳이다. 각 실의 동선을 연결하는 매개공간이 되며 대청과는 의미가 다르고, 실내생활 위주로 토상식 바닥이 진화된 것이므로 한국민가의 마루 중 생활공간의 성격이 가장 강하다.
정지는 조리, 상보기, 설거지의 공간으로 주택의 보건, 위생적 공간이 된다.
외부 출입문은 정지 앞문이 되고 정지 뒷문은 서비스용 출입구가 된다.
난간은 마당에서 상방으로 들어가기 위한 준비공간으로써 외부공간과 내부공간의 완충 공간이다. 이곳은 바닥이 마당보다 높고 상방과 같아서 마당과는 구분이 된다. 밖으로는 개방되어 있으면서 내부로는 연속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공간의 연장이며 내부공간의 시작이다. 구들은 수면, 화장, 탈의, 학습, 육아, 병조리의 공간이 되며, 주택의 사적 생활을 만족시키는 곳이다. 이곳은 외부에 잘 공개되지 않는 휴식공간이다. 큰 구들은 부부의 방이 되며 작은 구들은 아이들 방이 된다.
고방은 곡식류를 저장하는 공간이며 주택의 수장기능을 만족시킨다. 장류를 제외한 모든 주부식을 저장하고 음식 만드는 기구까지 보관한다. 굴뚝은 구들에 불을 때기 위한 공간으로 주택의 보건 위생적 공간이며, 출입은 난간으로 하도록 문이 없다.
추천자료
수평저항시스템
계획주자창 시설
[국내] 우리나라 의류/패션 산업 통계자료 및 현황 조사
백화점의 운영 전략에 대한 이해
보성 강골마을
포스터 디자인의 이해 & 포스터 감상 교육법 연구
[전라남도 진도][진도의 관광지][진도 영등축제][진도 진도아리랑]전라남도 진도의 지리적 특...
한국건축사_연경당
성소피아성당A
[그리스 건축 의의][그리스 건축 특징][그리스 건축 영향요인][그리스 건축 건물][그리스 건...
[건축][건축의 설계도면][건축의 아트리움][해체주의][자연][건축과교육][건축의 문제점]건축...
[낙안읍성][낙안읍성 역사][낙안읍성 설화][낙안읍성 환경][낙안읍성 성곽][낙안읍성 민속마...
[주택론] 한옥(韓屋)의 특징 및 상징성 그리고 우수성
[미니멀리즘 건축] 미니멀리즘 건축의 사례 ; 미니멀리즘 건축의 특징과 발전과정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