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가에는 정지에 인접해 고상식 상방이 있고 안방 격인 구들은
고팡과 한 묶음이 되어 정지의 반대쪽 단부에 있다. 정지에 상방이 인접하는 것은 제주도 민가의 평면이 온돌 난방과는 무관하며, 중심 되는 주거 공간이 온돌방이 아니라 상방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평면구성」(공간), 1984/11
강영환,「한국전통민가연구의 동향과 과제」(대한건축학회지 33/2/147), 대한건축학회,
1989. 3
이종목,「우리나라 농촌주택의 유형과 그 형태」(문화유산),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 1960
정경운,「한국민가의 기초적 연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700원
- 등록일 2008.09.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가의 안채 평면형은 지역에 따라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지리학과 건축학 분야에서 안채평면의 지리적 분포를 연구해 왔으며, 그것으로 문화의 전파경로를 추적하는 연구도 진행되었다. 나아가 안채의 평면형으로 주거문화권을 설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4.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가의 평면유형 및 평면구성방식. 김시예.천득염.유우상
낙안읍성전통 민가의 배치 및 외부공간구성에 관한 조사연구. 김시예.천득염.유우상
낙안읍성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조사 연구. 길종원. 신웅주
낙안읍성 전통민가의 건축적 특성에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5.01.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태까지
규정하게 했다.
태백 산간 지역의 민가
태백 산간 지역의 민가
╋━━━━━━━━━━────────
<특징>
대체로 부속채가 발달되지 못하고,
모든 주거 공간이 몸체에 집중되는
평면형.
즉,
|
- 페이지 3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3.01.2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