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적인 국어의 통사구조, 음운구조, 의미구조에 대한 정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통사구조 ※※
※※ 의미구조 ※※
※※ 음운구조 ※※

본문내용

: 예) 낫, 낮, 낳, 낟, 낯, 낱 → 대표음 ‘ㄷ’으로 중화 → [nat]
3. 형태음운론: 예)‘낫’의 기본형 {naS} 형태음운 {S}은 환경에 따라 음운/S/ 또는 /t/로 됨.
≪변별적자질≫
1. 주요분류자질: [consonantal], [vocalic]
2. 조음방식자질: [nasal], [continuant], [strident], [obstruent]
3. 조음장소자질: [anterior], [coronal]
4. 혓몸자질: [high], [low], [back], [round]
≪음운규칙≫
▷ 기능
① 기저음운 표시를 음운표시로 바꿈. 예) 낫~/nac/---기저음운표시
↓---음운규칙(t-중화규칙)
[nat]----------음성표시
② 분절음의 음성자질 바꿈 : 예) L이 어두에서 n으로 됨.→비유음화 현상.
③ 분절음 탈락시킴 : 예) L은 어두에 나타나면서 i 또는 y 앞에서 탈락.
④ 분절음 삽입 : 예) 국어의 사이시옷 -촛불 /cⁿo+pul/ → [cⁿtp'ul]
⑤ 분절음 통합 : 예) 국어에서 h가 파열음이나 파찰음과 나란히 나타나면 그들을 유기파열 음 또는 파찰음이 됨. ­ 좋다 /coh+ta/ → [cohⁿa]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11.13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64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