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동의 개념
2. 앞선 연구 및 문제점
3. 실현 방법
4. 사동법 통사 특성
2. 앞선 연구 및 문제점
3. 실현 방법
4. 사동법 통사 특성
본문내용
영역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현상을 시간부사어, 장소부사어, 방편부사어 등을 통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시간부사어의 경우이다. 통사적 사동법은 이론적으로 사동 사건이 원인이 되어 피사동 사건을 일으키는 것이므로 사동 사건과 피사동 가건이 시간의 간격을 가질 수 있으나, 파생적 사동법은 그러한 시간적인 차이가 허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시간 부사어의 쓰임이 파생적 사동법에서는 제약된다.
(11) ㄱ. 사냥꾼은 토끼를 10분 뒤에 죽였다.
ㄴ. 사냥꾼은 토끼를 10분 뒤에 죽게 했다.
(11)ㄱ에서 <10분 뒤에>는 사냥꾼의 행위의 시점인데 반해, (11)ㄴ에서 <10분 뒤에>는 토끼의 행위의 시점이다.
(12) ㄱ. 사냥꾼은 토끼를 내일 죽였다.
ㄴ. 사냥꾼은 내일 토끼가 죽게 하였다.
파생적 사동법인 문장 (12)ㄱ에서 <내일>은 사냥꾼의 행위이므로 <죽였다>와 함께 나타날 수 없어 비문법적인 문장이다.
장소부사어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파생적 사동법인 (13)ㄱ에서 <마루에서>는 어머니의 행위의 장소인 데 반해, (13)ㄴ에서 <마루에서>는 아이의 행위의 장소이다. (12)ㄱ과 마찬가지 이유로 다음 문장 (14)ㄱ이 비문법적인 문장이다.
(13) ㄱ. 어머니가 아이를 마루에서 재웠다.
ㄴ. 어머니가 아이를 마루에서 자게 하였다.
(14) ㄱ. *안방에서 어머니는 아이를 마루에서 재웠다.
ㄴ. 안방에서 어머니는 아이를 마루에서 자게 하였다.
방편부사어의 경우도 문장(15)와 같이 파생적 사동법과 통사적 사동법에서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다.
(15) ㄱ. 사냥꾼이 토끼를 총으로 죽였다.
ㄴ. 사냥꾼이 토끼가 지쳐서 죽게 하였다.
의존동사 구문
의존동사 구문이 통사적 사동법에서 훨씬 더 자유롭다.
(16) ㄱ. 나는 철수에게 책을 읽혀 보았다.
ㄴ. 나는 철수에게 책을 읽어 보게 하였다.
ㄷ. 나는 철수에게 책을 읽게 해 보았다.
파생적 사동법인 (16)ㄱ에서는 의존동사 <보다>가 사동사 다음에만 쓰일 수 있으나, 통사적 사동법인 (16)ㄴ,(16)ㄷ에서는 의존동사의 실현 자리가 두 군데 있으며. 따라서 그 의미해석도 다르다.
주체높임의 실현
주체높임의 <-으시->가 쓰일 수 있는 자리가 파생적 사동법에서는 한 자리밖에 없으나, 통사적 사동법에서는 두 자리가 있다.
(17) ㄱ. 박 선생님께서 우리 아버지께 책을 읽히셨다.
ㄴ. 박 선생님께서 우리 아버지께 책을 읽게 하셨다.
ㄷ. 박 선생님께서 우리 아버지께 책을 읽으시게 하였다.
ㄹ. 박 선생님께서 우리 아버지께 책을 읽으시게 하셨다.
참고문헌
권재일 1992, 한국어 통사론 (민음사)
김석득 1970, 시킴변형 구조와 공기관계, <한글> 146 (한글학회)
1971, 국어구조론-피동 및 사동접미사의 공존관계와 변형구조 (연세대출판부)
1979, 국어의 피,사동 <언어> 4-2, (한국언어학회)
1987, 시킴법과 입음법 <국어생활> 8, (국어연구소)
김형배 1997, 국어의 사동사 연구 (박이정)
남광우 1965, 사동,피동형의 역사적 고찰 <논문집> 3. (학술원)
양동휘 1979, 국어의 피,사동 <한글> 166 (한글학회)
이익섭,임홍빈 1983, 국어문법론 (학연사)
최태영 1987, 사동,피동접사의 음운론적 연구 <숭실어문> 4, (숭실대국어국문학회)
최현배 1971 우리말본 (정음문화사)
1982 고친 한글갈 (정음문화사)
허 웅 1995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샘문화사)
Comrie, Bernard 1989, Language Universals and Linguistic Typology, second ed.,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e.
먼저 시간부사어의 경우이다. 통사적 사동법은 이론적으로 사동 사건이 원인이 되어 피사동 사건을 일으키는 것이므로 사동 사건과 피사동 가건이 시간의 간격을 가질 수 있으나, 파생적 사동법은 그러한 시간적인 차이가 허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시간 부사어의 쓰임이 파생적 사동법에서는 제약된다.
(11) ㄱ. 사냥꾼은 토끼를 10분 뒤에 죽였다.
ㄴ. 사냥꾼은 토끼를 10분 뒤에 죽게 했다.
(11)ㄱ에서 <10분 뒤에>는 사냥꾼의 행위의 시점인데 반해, (11)ㄴ에서 <10분 뒤에>는 토끼의 행위의 시점이다.
(12) ㄱ. 사냥꾼은 토끼를 내일 죽였다.
ㄴ. 사냥꾼은 내일 토끼가 죽게 하였다.
파생적 사동법인 문장 (12)ㄱ에서 <내일>은 사냥꾼의 행위이므로 <죽였다>와 함께 나타날 수 없어 비문법적인 문장이다.
장소부사어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파생적 사동법인 (13)ㄱ에서 <마루에서>는 어머니의 행위의 장소인 데 반해, (13)ㄴ에서 <마루에서>는 아이의 행위의 장소이다. (12)ㄱ과 마찬가지 이유로 다음 문장 (14)ㄱ이 비문법적인 문장이다.
(13) ㄱ. 어머니가 아이를 마루에서 재웠다.
ㄴ. 어머니가 아이를 마루에서 자게 하였다.
(14) ㄱ. *안방에서 어머니는 아이를 마루에서 재웠다.
ㄴ. 안방에서 어머니는 아이를 마루에서 자게 하였다.
방편부사어의 경우도 문장(15)와 같이 파생적 사동법과 통사적 사동법에서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다.
(15) ㄱ. 사냥꾼이 토끼를 총으로 죽였다.
ㄴ. 사냥꾼이 토끼가 지쳐서 죽게 하였다.
의존동사 구문
의존동사 구문이 통사적 사동법에서 훨씬 더 자유롭다.
(16) ㄱ. 나는 철수에게 책을 읽혀 보았다.
ㄴ. 나는 철수에게 책을 읽어 보게 하였다.
ㄷ. 나는 철수에게 책을 읽게 해 보았다.
파생적 사동법인 (16)ㄱ에서는 의존동사 <보다>가 사동사 다음에만 쓰일 수 있으나, 통사적 사동법인 (16)ㄴ,(16)ㄷ에서는 의존동사의 실현 자리가 두 군데 있으며. 따라서 그 의미해석도 다르다.
주체높임의 실현
주체높임의 <-으시->가 쓰일 수 있는 자리가 파생적 사동법에서는 한 자리밖에 없으나, 통사적 사동법에서는 두 자리가 있다.
(17) ㄱ. 박 선생님께서 우리 아버지께 책을 읽히셨다.
ㄴ. 박 선생님께서 우리 아버지께 책을 읽게 하셨다.
ㄷ. 박 선생님께서 우리 아버지께 책을 읽으시게 하였다.
ㄹ. 박 선생님께서 우리 아버지께 책을 읽으시게 하셨다.
참고문헌
권재일 1992, 한국어 통사론 (민음사)
김석득 1970, 시킴변형 구조와 공기관계, <한글> 146 (한글학회)
1971, 국어구조론-피동 및 사동접미사의 공존관계와 변형구조 (연세대출판부)
1979, 국어의 피,사동 <언어> 4-2, (한국언어학회)
1987, 시킴법과 입음법 <국어생활> 8, (국어연구소)
김형배 1997, 국어의 사동사 연구 (박이정)
남광우 1965, 사동,피동형의 역사적 고찰 <논문집> 3. (학술원)
양동휘 1979, 국어의 피,사동 <한글> 166 (한글학회)
이익섭,임홍빈 1983, 국어문법론 (학연사)
최태영 1987, 사동,피동접사의 음운론적 연구 <숭실어문> 4, (숭실대국어국문학회)
최현배 1971 우리말본 (정음문화사)
1982 고친 한글갈 (정음문화사)
허 웅 1995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샘문화사)
Comrie, Bernard 1989, Language Universals and Linguistic Typology, second ed.,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e.
추천자료
국제법상 탈북자의 인권보호에 관한 연구
보고서-소논문 -정보법의 영역(연구범위)과 과제-
국제법상 항공범죄의 재판관할권 연구
정신보건법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
[법여성학]법학에서의 여성학 연구 내용과 과제
여성과 관련된 노동법적 쟁점 전반의 연구
현행 노조법상 부당노동행위의 판단 기준에 대한 연구
노조법상 정당한 쟁의행위의 효력관련 판례 연구
사회조사연구방법(관찰법,면접법,질문지법()
아동복지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10'06월), 아동학대방지법과 관련법 중심
[브랜드자산측정, 브랜드자산측정 연구흐름, 브랜드자산측정 구성요인, 브랜드자산측정 접근...
휴면법인에 중점을 둔 대도시내 법인 등록세 중과세제도에 대한 연구
공정거래법에 의한 카르텔 규제연구 -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정부규제 의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