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발달장애를 지닌 유아
2. 행동정의와 유아의 행동평가
3. 발달장애 유아의 행동평가 절차
4. 발달장애아의 장애별 특성과 행동 지도 중점사항
5. 주요 특정 문제행동에 따른 중재 요점
2. 행동정의와 유아의 행동평가
3. 발달장애 유아의 행동평가 절차
4. 발달장애아의 장애별 특성과 행동 지도 중점사항
5. 주요 특정 문제행동에 따른 중재 요점
본문내용
의 측정이 합리적으로 이루어 질때 중재가 효과적으로 수행된다.
4. 발달장애아의 장애별 특성과 행동 지도 중점사항
발달장애별 특성과 지도
장애영역
장애의 특성
지도 중점사항
1. 정신지체
*인지력의 저하
*의사소통의 문제가 야기
*대 소 운동 기능의 약화
*지각운동 발달 훈련을 통한 인지적 행동증가
2. 행동장애
(정서장애)
*주의력 결핍/ 산만성
*신경질적/ 정서불안
*과다행동(지나친 적극성)
*과소행동(지나친 소극성)
*동기유발을 위한 보상치료 교육
*다양한 행동수정기법의 사용
3. 자폐성 장애
*대인관계 성립의 곤란
*의사소통의 문제
*고집성
*1:1의 행동 치료교육
*지각훈련
*환경촉진 언어행동 훈련
4. 학습장애
*미세뇌기능의 부조화
*사회 환경적 부조화
*뇌기능 강화를 위한 반복적 지각운동 학습
*학습의 다양화, 긍정적 강화
*환경의 재구성
5. 지각 손상
*청각 학습의 결손
*시각적 학습의 결손
*시각적 행동 학습의 강화
*구화훈련
*청각적 학습행동 강화
*청각도구의 활용방법으로 습득을 위한 반복행동
6. 언어장애
*기질적 언어장애
*심리적 언어장애
*구조상의 결손 재활 및 행동 훈련
*심리 행동상의 원인적 환경 개선 및 행동치료 교육
7. 뇌성마비
*근육의 경직 현상에 의한 대 소 운동장애
*구강근육경직에 의한 언어장애
*물리치료를 동한 환경적응훈련
*근육이완 작업행동 지도
*보장구 작용에 따른 정응훈련지도
5. 주요 특정 문제행동에 따른 중재 요점
1)갑자기 물건을 내던지거나 부수는 행위
유아가 원하는 방법에 따라 쉬게 하거나, 부수는 것 자체에 흥미를 가지는 경우 충분한 실험을 할 수 있도록 던지면 튀는 물건을 제공한다.
2)다동행위
유아의 손에 무엇인가를 쥐에 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3)다른 사람을 할퀴거나 때리는 행위
다양한 손사용 기능을 익힐 적극적 경험을 유도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4)괴성을 지르는 행위
유아 자신의 손으로 자신의 입을 닫았다 뗐다 하는 활동을 유도한다.
5)자해 행위
즉각적으로 교사는 우선 유아의 손을 가능하다면 바지 등의 주머니 속으로 넣어 두도록 안내한다.
6) 먹을 수 없는 것을 입에 넣는 행위
먹을 것과 못 먹는 것을 가르치고, 입에 넣지 않는 것임을 가르친다.
7)쓰레기통 뒤지기
결핍문제가 해소 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가능한 성인과 함께 있는 시간을 늘여주거나 음식물을 보상해주고 쓰레기통에는 유아가 뒤질 수 있는 음식물 찌꺼기나 사탕껍질을 없앤다.
4. 발달장애아의 장애별 특성과 행동 지도 중점사항
발달장애별 특성과 지도
장애영역
장애의 특성
지도 중점사항
1. 정신지체
*인지력의 저하
*의사소통의 문제가 야기
*대 소 운동 기능의 약화
*지각운동 발달 훈련을 통한 인지적 행동증가
2. 행동장애
(정서장애)
*주의력 결핍/ 산만성
*신경질적/ 정서불안
*과다행동(지나친 적극성)
*과소행동(지나친 소극성)
*동기유발을 위한 보상치료 교육
*다양한 행동수정기법의 사용
3. 자폐성 장애
*대인관계 성립의 곤란
*의사소통의 문제
*고집성
*1:1의 행동 치료교육
*지각훈련
*환경촉진 언어행동 훈련
4. 학습장애
*미세뇌기능의 부조화
*사회 환경적 부조화
*뇌기능 강화를 위한 반복적 지각운동 학습
*학습의 다양화, 긍정적 강화
*환경의 재구성
5. 지각 손상
*청각 학습의 결손
*시각적 학습의 결손
*시각적 행동 학습의 강화
*구화훈련
*청각적 학습행동 강화
*청각도구의 활용방법으로 습득을 위한 반복행동
6. 언어장애
*기질적 언어장애
*심리적 언어장애
*구조상의 결손 재활 및 행동 훈련
*심리 행동상의 원인적 환경 개선 및 행동치료 교육
7. 뇌성마비
*근육의 경직 현상에 의한 대 소 운동장애
*구강근육경직에 의한 언어장애
*물리치료를 동한 환경적응훈련
*근육이완 작업행동 지도
*보장구 작용에 따른 정응훈련지도
5. 주요 특정 문제행동에 따른 중재 요점
1)갑자기 물건을 내던지거나 부수는 행위
유아가 원하는 방법에 따라 쉬게 하거나, 부수는 것 자체에 흥미를 가지는 경우 충분한 실험을 할 수 있도록 던지면 튀는 물건을 제공한다.
2)다동행위
유아의 손에 무엇인가를 쥐에 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3)다른 사람을 할퀴거나 때리는 행위
다양한 손사용 기능을 익힐 적극적 경험을 유도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4)괴성을 지르는 행위
유아 자신의 손으로 자신의 입을 닫았다 뗐다 하는 활동을 유도한다.
5)자해 행위
즉각적으로 교사는 우선 유아의 손을 가능하다면 바지 등의 주머니 속으로 넣어 두도록 안내한다.
6) 먹을 수 없는 것을 입에 넣는 행위
먹을 것과 못 먹는 것을 가르치고, 입에 넣지 않는 것임을 가르친다.
7)쓰레기통 뒤지기
결핍문제가 해소 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가능한 성인과 함께 있는 시간을 늘여주거나 음식물을 보상해주고 쓰레기통에는 유아가 뒤질 수 있는 음식물 찌꺼기나 사탕껍질을 없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