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동북공정이란?
2. 동북공정의 추진 배경과 목적
3. 동북공정의 진행경과
4. 고구려의 민족사 문제
5. 고구려 발해, 그리고 고려의 계승 문제
6. 결 론
2. 동북공정의 추진 배경과 목적
3. 동북공정의 진행경과
4. 고구려의 민족사 문제
5. 고구려 발해, 그리고 고려의 계승 문제
6. 결 론
본문내용
으나, 이에 반발한 묘청은 서경천도운동을 벌인다.
우왕 말년에 추진된 요동정벌은 고려의 마지막 북진정책이었다.
6. 결 론
지금까지 동북공정의 중요한 3가지의 쟁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첫 번째 고구려와 발해의 민족구성에 대해 알아보았고 두 번째 고구려와 수당 간의 전쟁을 내전인가 아닌가의 문제를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고구려와 발해, 그리고 고려의 계승문제에 대해 알아보았다.
여기까지 내용에서 보면 현재의 중국강역을 기준으로 그 경내의 모든 민족의 역사를 중국사로 다루는 과정에서 거구려, 발해의 역사가 중국사에 편입되고 있다.
앞으로 중국은 고구려사, 발해사에 이어 부여, 고조선, 선사시대로 이어지는 연구를 할 것이며, 사실상 진행되고 있다. 이에 우리는 한반도내의 대표적 고구려비인 중원고구려비를 비롯한 한반도내의 모든 고구려 사료와 유물들에 대한 철저한 보호와 적극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풍부한 자료를 발굴해 주장에 힘을 실어줄 근거를 제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한국 고증세사 연구에 더욱 박차를 가하여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시켜야 하고 국민들 또한 자국의 역사에 대해 올바른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중국의 동북공정에 적절히 대응해야 할 것이다.
우왕 말년에 추진된 요동정벌은 고려의 마지막 북진정책이었다.
6. 결 론
지금까지 동북공정의 중요한 3가지의 쟁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첫 번째 고구려와 발해의 민족구성에 대해 알아보았고 두 번째 고구려와 수당 간의 전쟁을 내전인가 아닌가의 문제를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고구려와 발해, 그리고 고려의 계승문제에 대해 알아보았다.
여기까지 내용에서 보면 현재의 중국강역을 기준으로 그 경내의 모든 민족의 역사를 중국사로 다루는 과정에서 거구려, 발해의 역사가 중국사에 편입되고 있다.
앞으로 중국은 고구려사, 발해사에 이어 부여, 고조선, 선사시대로 이어지는 연구를 할 것이며, 사실상 진행되고 있다. 이에 우리는 한반도내의 대표적 고구려비인 중원고구려비를 비롯한 한반도내의 모든 고구려 사료와 유물들에 대한 철저한 보호와 적극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풍부한 자료를 발굴해 주장에 힘을 실어줄 근거를 제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한국 고증세사 연구에 더욱 박차를 가하여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시켜야 하고 국민들 또한 자국의 역사에 대해 올바른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중국의 동북공정에 적절히 대응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