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기술
1. 서론
2. 본론
● DiffServr
●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 레이블(Label)
■ 패킷 포워딩(Forwarding)
■ FEC(Forwarding Equivalence Class)
■ MPLS의 요약
■ MPLS의 이점(Benefits)
3. 결론
1. 서론
2. 본론
● DiffServr
●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 레이블(Label)
■ 패킷 포워딩(Forwarding)
■ FEC(Forwarding Equivalence Class)
■ MPLS의 요약
■ MPLS의 이점(Benefits)
3. 결론
본문내용
정할 수 있는 기능과 함께 LSP 설정시 망 자원을 적절히 할당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Traffic Engineer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현재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에 의해서 제공되는 VPN(Virtual Private Network)은 PPTP(Point-to-Point Tunneling Protocol), L2F (Layer 2 Forwarding), L2TP(Layer 2 Tunneling Protocol)과 같은 별도의 터널링 프로토콜을 제공해야만 한다. 하지만 MLSP에서는 LSP(Label Switching Path)에서 이용되는 레이블과 VPN 식별자 정보를 맵핑시킴으로써 쉽게 VPN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 VPN(Virtual Private Network) : 기업형 고객을 대상으로, 원래 공중교환데이터 망(PSDN)을 이용하여 사 내사설망(Private Network)을 가상으로 구현해 주고 이의 운영/관리를 대신해 주는 서비스였다. 그러나 사내 정보처리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비중이 높아지며, 인터넷을 이용하는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에 공중교환데이터망의 역할을 인터넷이 대신하는 경우가 점차 많아지고 있다.
2. 결론
현재까지의 인터넷은 망 구조의 특성이 트래픽의 최선형 전달을 위한 IP연결성 제공에 있었지만, 앞으로는 멀티 캐스트와 QoS 제공, 나아가 모바일까지 지원할 수 있는 구조로 확장되면서, 망 내부에서는 효율적인 자원 이용과 관리를 위한 가입자 트래픽의 전달 경로에 대한 제어 능력까지도 가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따라서 초고속 인터넷 망에서는 대규모 IP 트래팩의 효율적인 유통과 뺑 및 트래픽 전달 경로 제어와 관련된 고속 IP 전달 기술의 도입이 필수적이며 MPLS는 유력한 대안중의 하나이다. 이는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가 갖고 있는 IP 라우팅(Routing)과 L2 연결형 서비스를 결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구조적 특성과 IP 서비스의 유연한 제공성 및 기술의 진화성에 있다. 그러나 MPLS도 해결해야할 기술적인 이슈가 있고, 표준화가 계속되고 있는 기능성과 유용성이 상용망에서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기술이라는 문제점이 있다.(MPLS의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해 MPLS WG 라는 프로젝트가 제안되고 있다. MPLS WG는 MPLS의 초고속 통신망 위에 Diffsevr를 접목하는 기술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실제로 전통적인 IP 라우팅 기반의 MPLS는 최단 경로를 통해 패킷을 전달하기 때문에 트래픽 엔지니어링 관점에서는 자동화된 IP 시그널링 기능 외에는 별다른 장점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확장성 있는 라우팅의 개발과 IP 시그널링 프로토콜의 표준화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밖에 멀티캐스트 LSP(Label Switching Path)의 설정을 위한 세부적인 절차와 메커니즘, L2 계층 루핑 처리, 고속 리라우팅 메커니즘의 개발과 광 계증과 연계된 LSP 보호 기능에 대한 해결 방안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MPLS 테스트 베드의 구축과 시험을 통해 실질적인 MPLS 망의 기능 및 성능에 대한 체계적인 시험과 엔지니어링이 대규모 망 적용에 앞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서로 다른 망과의 호환성 문제도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만약 서로 다른 망과의 호환성을 생각하지 않는다면, 호환성을 위해서 새로운 기술의 도입을 요구 할 것이며 이로 인해 원래의 NGI(Next Generation Internet)의 본분을 잊어버릴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호환성의 문제를 염두 해둔 대규모 망의 접목을 시도하여야 할 것이다.
현재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에 의해서 제공되는 VPN(Virtual Private Network)은 PPTP(Point-to-Point Tunneling Protocol), L2F (Layer 2 Forwarding), L2TP(Layer 2 Tunneling Protocol)과 같은 별도의 터널링 프로토콜을 제공해야만 한다. 하지만 MLSP에서는 LSP(Label Switching Path)에서 이용되는 레이블과 VPN 식별자 정보를 맵핑시킴으로써 쉽게 VPN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 VPN(Virtual Private Network) : 기업형 고객을 대상으로, 원래 공중교환데이터 망(PSDN)을 이용하여 사 내사설망(Private Network)을 가상으로 구현해 주고 이의 운영/관리를 대신해 주는 서비스였다. 그러나 사내 정보처리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비중이 높아지며, 인터넷을 이용하는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에 공중교환데이터망의 역할을 인터넷이 대신하는 경우가 점차 많아지고 있다.
2. 결론
현재까지의 인터넷은 망 구조의 특성이 트래픽의 최선형 전달을 위한 IP연결성 제공에 있었지만, 앞으로는 멀티 캐스트와 QoS 제공, 나아가 모바일까지 지원할 수 있는 구조로 확장되면서, 망 내부에서는 효율적인 자원 이용과 관리를 위한 가입자 트래픽의 전달 경로에 대한 제어 능력까지도 가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따라서 초고속 인터넷 망에서는 대규모 IP 트래팩의 효율적인 유통과 뺑 및 트래픽 전달 경로 제어와 관련된 고속 IP 전달 기술의 도입이 필수적이며 MPLS는 유력한 대안중의 하나이다. 이는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가 갖고 있는 IP 라우팅(Routing)과 L2 연결형 서비스를 결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구조적 특성과 IP 서비스의 유연한 제공성 및 기술의 진화성에 있다. 그러나 MPLS도 해결해야할 기술적인 이슈가 있고, 표준화가 계속되고 있는 기능성과 유용성이 상용망에서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기술이라는 문제점이 있다.(MPLS의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해 MPLS WG 라는 프로젝트가 제안되고 있다. MPLS WG는 MPLS의 초고속 통신망 위에 Diffsevr를 접목하는 기술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실제로 전통적인 IP 라우팅 기반의 MPLS는 최단 경로를 통해 패킷을 전달하기 때문에 트래픽 엔지니어링 관점에서는 자동화된 IP 시그널링 기능 외에는 별다른 장점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확장성 있는 라우팅의 개발과 IP 시그널링 프로토콜의 표준화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밖에 멀티캐스트 LSP(Label Switching Path)의 설정을 위한 세부적인 절차와 메커니즘, L2 계층 루핑 처리, 고속 리라우팅 메커니즘의 개발과 광 계증과 연계된 LSP 보호 기능에 대한 해결 방안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MPLS 테스트 베드의 구축과 시험을 통해 실질적인 MPLS 망의 기능 및 성능에 대한 체계적인 시험과 엔지니어링이 대규모 망 적용에 앞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서로 다른 망과의 호환성 문제도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만약 서로 다른 망과의 호환성을 생각하지 않는다면, 호환성을 위해서 새로운 기술의 도입을 요구 할 것이며 이로 인해 원래의 NGI(Next Generation Internet)의 본분을 잊어버릴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호환성의 문제를 염두 해둔 대규모 망의 접목을 시도하여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정보통신산업][정보통신산업 SWOT 분석][정보통신산업 현황][정보통신산업 전망]정보통신산...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의 개념, 유형, 필요성, 목적...
[정보통신][정보통신발전]정보통신의 개념, 정보통신의 특징, 정보통신의 시작, 정보통신의 ...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 개념과 목적,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 유형과 필요성, ICT활용...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의 정의와 특징,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의 필요성과 기반조성,...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의 정의와 도입배경,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의 현황과 지침, I...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개념과 형태,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목표와 기본방향, I...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 통일교육의 필요성,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 통일교육의 수업...
네덜란드와 뉴질랜드의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정책, 캐나다와 미국의 정보통신기술(ICT)...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개념, 유형, 필요성,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과 교수활동, I...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장학활동의 개념과 목표,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장학활동의 ...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수업설계의 이론적 기초, 중요성, 요소와 ICT(정보통신기술)활용...
국어과와 수학과의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 사회과와 과학과의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
[정보통신기술, ICT, 경제효과]정보통신기술(ICT)의 의미, 정보통신기술(ICT)의 특징, 정보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