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연구동향
Ⅱ. 내용
⑴ 실학의 개념
⑵ 실학발생의 배경과 연구 분야
⑶ 실학의 유형
⑷실학의 역사적 의의
Ⅲ. 연구과제
Ⅱ. 내용
⑴ 실학의 개념
⑵ 실학발생의 배경과 연구 분야
⑶ 실학의 유형
⑷실학의 역사적 의의
Ⅲ. 연구과제
본문내용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긍정적 기능을 감안할 때 실학사상에 관해서는 좀더 깊은 연구가 우리에게는 계속 요청되고 있다.
조선 후기의 실학사상에 관한 연구를 위해서는 몇 가지의 과제가 확인되어야 한다. 우선 실학사상은 조선 후기 전체 사상사의 맥락에서 연구되어야 한다. 조선 후기 사상계에서는 正學 이라고 불리던 성리학과 그리고 邪學으로 지칭되던 각종 종교 사상들이 병존하고 있었다. 이들 다양한 사상들은 당시의 사회에서 각자 고유한 기능을 발휘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우리는 조선 후기의 사상을 논할 때에는 당시 존재하던 다양한 사상들의 특성을 주목하고 각 사상이 가지고 있는 상호관계를 밝혀나가야 한다.
한편 우리는 실학을 연구할 때 실학자 자신의 사상이 당대에는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어떻게 인식 평가되고 있었는가를 좀더 명확히 밝혀야 한다. 실학사상에 대한 당대의 평가의 여하에 관심을 갖지 않거나 그 역사적 사회적 기능을 도외시한 채 오늘날의 시각에서만 그것을 규정하고 긍정적으로 평가해 줄 수는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실학이 가지고 있는 철학적 구조에 대한 인식을 심화시켜 나가야 한다. 그들이 제시한 현실 개혁안의 철학적 기초가 무엇인지를 분명히 함으로서 그 개혁안의 역사적 의미와 기능을 올바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실학과 근대사상 내지는 개화사상과의 관계 여부에 관해서도 좀더 철저한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하기위해서는 우리 역사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실학 자체를 이상 시 하거나 절대시하지 말고 객관적이고 냉정한 눈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과연 실학이 그 시기 사회문제를 어느 만큼이나 해결 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이었는가, 사회적 영향은 어느 정도 였는가를 생각해야 한다. 그리고, 우리가 사실을 사실 자체로 제대로 보기 위해서는 지나치게 현재의 관점을 과거에 투영해서는 안 되며 자료에 대한 엄밀한 비판도 필요하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실학연구가 더욱 계속된다면 우리는 조선 후기의 사상계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좀더 잘 알 수 있을 것임에 틀림이 없다.
※ 참고문헌
한국역사 연구회, 『한국역사입문② - 중세편-』, 1995, 풀빛
한국철학사 연구회, 『한국실학사상사』, 2000, 다운샘
강만길, 『한국근대사』, 1994, 창작과 비평사
이수윤, 『韓國思想史』, 2004, 법문사
이을호, 『한국사상사의 심층연구』, 1982, 우석
조선 후기의 실학사상에 관한 연구를 위해서는 몇 가지의 과제가 확인되어야 한다. 우선 실학사상은 조선 후기 전체 사상사의 맥락에서 연구되어야 한다. 조선 후기 사상계에서는 正學 이라고 불리던 성리학과 그리고 邪學으로 지칭되던 각종 종교 사상들이 병존하고 있었다. 이들 다양한 사상들은 당시의 사회에서 각자 고유한 기능을 발휘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우리는 조선 후기의 사상을 논할 때에는 당시 존재하던 다양한 사상들의 특성을 주목하고 각 사상이 가지고 있는 상호관계를 밝혀나가야 한다.
한편 우리는 실학을 연구할 때 실학자 자신의 사상이 당대에는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어떻게 인식 평가되고 있었는가를 좀더 명확히 밝혀야 한다. 실학사상에 대한 당대의 평가의 여하에 관심을 갖지 않거나 그 역사적 사회적 기능을 도외시한 채 오늘날의 시각에서만 그것을 규정하고 긍정적으로 평가해 줄 수는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실학이 가지고 있는 철학적 구조에 대한 인식을 심화시켜 나가야 한다. 그들이 제시한 현실 개혁안의 철학적 기초가 무엇인지를 분명히 함으로서 그 개혁안의 역사적 의미와 기능을 올바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실학과 근대사상 내지는 개화사상과의 관계 여부에 관해서도 좀더 철저한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하기위해서는 우리 역사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실학 자체를 이상 시 하거나 절대시하지 말고 객관적이고 냉정한 눈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과연 실학이 그 시기 사회문제를 어느 만큼이나 해결 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이었는가, 사회적 영향은 어느 정도 였는가를 생각해야 한다. 그리고, 우리가 사실을 사실 자체로 제대로 보기 위해서는 지나치게 현재의 관점을 과거에 투영해서는 안 되며 자료에 대한 엄밀한 비판도 필요하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실학연구가 더욱 계속된다면 우리는 조선 후기의 사상계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좀더 잘 알 수 있을 것임에 틀림이 없다.
※ 참고문헌
한국역사 연구회, 『한국역사입문② - 중세편-』, 1995, 풀빛
한국철학사 연구회, 『한국실학사상사』, 2000, 다운샘
강만길, 『한국근대사』, 1994, 창작과 비평사
이수윤, 『韓國思想史』, 2004, 법문사
이을호, 『한국사상사의 심층연구』, 1982, 우석
추천자료
조선후기사회 그리고 동학과 서학
조선후기토지개혁론의 추이
조선후기 문학-가객
실학사상으로 살펴본 그당시 문학
초정 박제가의 생애와 업적,사상,문학,실학사상,후대에 미친 영향
조선후기 풍속화의 발생과 근대성
[연암 박지원][박지원][북학파][실학사상][일야구도하기][박지원의 문학][실학파문학]연암 박...
실학사상의 의의와 계승발전 방안
조선후기 외세의 침략과 국내 상황 - 인조반정, 신미양요, 병인양요, 척화비
서양의 실학사상의 발생배경과 실학주의 교육
조선후기 성리학에 대한 비판
조선후기의 종교 (미륵불, 무속 신앙, 천주교, 동학)
조선시대의 사회와 문화 - 조선후기의 경제적 변화와 농민항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