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어의 구백병(Kuchijiro-sho) 에 관한 조사 ///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upramedullary neuron이라는 뇌신경핵의 대형세포보다도 대형인 신경세포가 제 X 뇌신경핵이 존재하는 연수 후방과 척수와의 경계면에 걸쳐 등쪽 뇌연막 밑에 있는데 정상구조는 뇌신경핵의 대형신경세포와 같은데 이곳에서도 뇌신경핵의 대형신경세포에 보이는 변화와 같은 변화가 생기는데 염색상에 있어 약간의 차이가 있다.
즉 HE 염색에 엷은 청자색에 진한 자색으로, 덩어리 부분이 아잔염색에 전체가 적색으로 염색되지만 그 내부에 녹색으로 염색되는 부위가 덩어리 모양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인 변화가 생기는데 염색상에 있어 약간의 차이가 난다. 연수의 뇌신경핵의 다형신경세포의 핵내에 형성되는 덩어리에 인접부위에 덩어리보다 전자밀도가 낮은 물질이 관찰되는데 직경 110~140nm의 바이러스 입자로 보이는 덩어리가 보인다. 광학현미경에서 핵막 부근에 선명하지 않게 보이는 부분이 전자현미경에서는 바이러스 입자가 핵막을 따라서 분산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신경세포핵의 변화가 물어뜯는 현상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효과적인 대책은 없으나 종묘 구입시 바이러스 감염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면 바이러스 전파 및 발병률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11.22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79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