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록 이론값을 구할 방법을 찾지 못하여 이론값과의 비교는 불가능했으나 다른 높이(바닥)로
포사했을 경우 같은 높이로 포사한 경우에 가장 먼 포사거리를 기록했던 45도 보다는 약간
낮은 각도인 40도에서 가장 먼 포사거리를 얻을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3. 생각해보기 문제
-그래프에서 각 경우에 대하여 어떤 각도가 최대의 거리를 주는가?
45도
-땅위에서 공을 발사하는 때와 탁자위에서 공을 발사할 때 어떤 경우일 때 최대거리가 더 큰가?
탁자위에서 공을 발사할 때
4. 토의 및 고찰
생각했던 것과 비교해 의외의 결과가 나왔다. 이론값과 비교해 더 짧게 나올 것이라는 나의 생각이 빚나간 것이다. 조원들과 토의도 하고 여러 가지 자료를 찾아본 끝에 초기속도를 구하여 이론값을 나타냈으나 이때의 초기속력이 측정할 때 각각의 속력과 항상 같지 않기 때문에 이런 차이가 발생했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됐다.
또한 보다 낮은 곳으로 포사 할 경우 45도가 아닌 그 보다 약간 낮은 각에서 더 먼 거리까지 도달 한다는 결과도 흥미로웠다. 그 이유를 알아보기위해 여러 자료를 찾아봤으나 정확한 이론적 근거는 알아낼 수 없었고 그림으로 밖에는 설명 할 수 없었다.
포사했을 경우 같은 높이로 포사한 경우에 가장 먼 포사거리를 기록했던 45도 보다는 약간
낮은 각도인 40도에서 가장 먼 포사거리를 얻을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3. 생각해보기 문제
-그래프에서 각 경우에 대하여 어떤 각도가 최대의 거리를 주는가?
45도
-땅위에서 공을 발사하는 때와 탁자위에서 공을 발사할 때 어떤 경우일 때 최대거리가 더 큰가?
탁자위에서 공을 발사할 때
4. 토의 및 고찰
생각했던 것과 비교해 의외의 결과가 나왔다. 이론값과 비교해 더 짧게 나올 것이라는 나의 생각이 빚나간 것이다. 조원들과 토의도 하고 여러 가지 자료를 찾아본 끝에 초기속도를 구하여 이론값을 나타냈으나 이때의 초기속력이 측정할 때 각각의 속력과 항상 같지 않기 때문에 이런 차이가 발생했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됐다.
또한 보다 낮은 곳으로 포사 할 경우 45도가 아닌 그 보다 약간 낮은 각에서 더 먼 거리까지 도달 한다는 결과도 흥미로웠다. 그 이유를 알아보기위해 여러 자료를 찾아봤으나 정확한 이론적 근거는 알아낼 수 없었고 그림으로 밖에는 설명 할 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