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나의 본관과 시조
1. 계촌법
2. 호칭(呼稱)
※보고서 후기..
1. 계촌법
2. 호칭(呼稱)
※보고서 후기..
본문내용
從叔)
비당숙(鄙堂叔)
종숙장(從叔丈)
당숙장(堂叔丈)
종숙(從叔)
종조부
(從祖父)
할아버님
종조부님
(從祖父)님
종손(從孫)
종조부(從祖父)
귀종조부님
(貴從祖父)님
할에비
종조부(從祖父)
종조모
(從祖母)
할머니
종조모님
(從祖母)님
上同
종조모(從祖母)
귀종조모님
(貴從祖母)님
할미
종조모(從祖母)
재종형
(再從兄)
형님
재종(再從)형님
아우
재종제(再從弟)
비재종형
(鄙再從兄)
영재종씨
(令再從氏)
형
재종형(再從兄)
외조부
(外祖父)
외할아버지
외할아버님
외조부주
(外祖父主)
저
외손(外孫)
저손(杵孫)
외왕부(外王父) 외조부(外祖父)
외왕존장
(外王尊丈)
외왕대장
(外王大丈)
나
여(余)
외조모
(外祖母)
외할머니
외할머님
외조모주
(外祖母主)
上同
외조모(外祖母)
외왕대부인
(外王大夫人)
나
할미
외숙
(外叔)
외숙님
외삼촌
내구주(內舅主)
저
생질(甥姪)
비외숙(鄙外叔) 비표숙(鄙表叔)
귀외숙(貴外叔)
귀표숙(貴表叔)
나
아재비
외숙모
(外叔母)
외숙모님
(外叔母님)
표숙모주
(表叔母主)
上同
비외숙모
(鄙外叔母)
비표숙모
(鄙表叔母)
귀외숙모
(貴外叔母)
귀표숙모
(貴表叔母)
나
아재미
이숙
(姨叔)
이모부(姨母父) 이숙주(姨叔主)
이질(姨姪)
비이숙(鄙姨叔)
귀이숙장
(貴姨叔丈)
구분
대상자
내가 부를 때
내가 말할 때
내가 남에게 말할 때
남이 나에게 말할 때
남에게 자신을 말할 때
이모
(姨母)
이모(姨母)님
이모주(姨母主)
이질(姨姪)
비이모(鄙姨母)
귀이모(貴姨母)
내종형
(內從兄)
내형주(內兄主)
외종제(外從弟)
비내종형
(鄙內從兄)
귀내종형
(貴內從兄)
내종제
(內從弟)
내제(內弟)
외종형(外從兄)
비내종제
(鄙內從弟)
귀내종제
(貴內從弟)
외종형
(外從兄)
표종형주
(表從兄主)
비종제(鄙從弟)
비외종형
(鄙外從兄)
귀외종형
(貴外從兄)
외종제
(外從弟)
표종제(表從弟)
내종형(內從兄)
비외종제
(鄙外從弟)
귀외종제
(貴外從弟)
족조
(族祖)
족대부(族大夫)
족손(族孫)
비족대부
(鄙族大父)
귀족대부
(貴族大父)
족숙
(族叔)
족숙주(族叔主)
족질(族姪)
비족숙(鄙族叔)
귀족숙부
(貴族叔父)
족형
(族兄)
족형주(族兄主)
족제(族弟)
비족형(鄙族兄)
귀족형주
(貴族兄主)
장인
(丈人)
장인어른
빙장어른
외구주(外舅主)
저
외생(外甥)
비빙장(鄙聘丈)
귀악장(貴岳丈)
나
여(余)
옹(翁)
장모
(丈母)
장모님
빙모님
외고주(外姑主)
上同
비빙모(鄙聘母)
존빙모부인
나
빙고(聘姑)
사위
사위
나
여(余)
빙고(聘姑)
사위
서아(서兒)
서랑(서郞)
저
외생(外甥)
※보고서 후기..
과제를 통해 처음으로 계촌법과 호칭에 대해서 알아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교수님께서 ‘계촌법’에 관해 조사해 오라고 하셨을 때 솔직히 처음 듣는 단어라 어리둥절 했었다. 결국 인터넷과 백과사전을 찾아보고 나서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었다.
나는 계촌법 이라는게 이렇게 복잡한지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일상생활에서 내가 쓰는 말을 잘 생각해보면 ‘사촌’, ‘친척’. 거의 이 두 단어 밖에 사용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누구한테 사촌이라고 해야 할지, 친척이라고 해야 할지 모르기 때문에 그냥 내가 내키는데로 부르고 있다. 나뿐만이 아니라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너무 복잡해서 ‘이렇게 촌수가 되는 구나’라고만 이해 할 수밖에..
호칭도 마찬가지였다. 한 사람을 부르는 호칭이 뭐가 그렇게 많은지 입이 벌어질 정도였다. 처음 듣는 단어도 많이 있었고, 누가 어떻게 부르느냐에 따라서도 그 호칭이 달랐다. 우리 선조들은 왜 이렇게 복잡하게 살았는지 안쓰러울 정도였다.
하지만 계촌법과 호칭은 우리나라 전통 이다. 아무리 그 내용을 알기 싫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촌수와 호칭으로 얽힐 수밖에 없는 것이다. 우리가 한국의 전통을 지켜나가야지 누가 지켜주겠는가? 솔직히 조사를 하면서 정확히 알게 된 것은 아니지만 몰랐었던 새로운 것을 알 수 있어서 자료를 찾았던 시간에 대해서는 아깝지가 않다. 계촌법과 호칭, 그 밖에 우리나라의 전통은 연구해볼만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참고문헌
http://beautyjeong.hihome.com/html/sunjo/sunjo_main.htm
-계촌법-
http://www.poori.net/chonsoo.htm
'한국민족대백과사전' 제22권
http://www.dacheon.net/chonsu00.htm
-호칭-
http://woobonglee2000.hihome.com/hoching.htm
비당숙(鄙堂叔)
종숙장(從叔丈)
당숙장(堂叔丈)
종숙(從叔)
종조부
(從祖父)
할아버님
종조부님
(從祖父)님
종손(從孫)
종조부(從祖父)
귀종조부님
(貴從祖父)님
할에비
종조부(從祖父)
종조모
(從祖母)
할머니
종조모님
(從祖母)님
上同
종조모(從祖母)
귀종조모님
(貴從祖母)님
할미
종조모(從祖母)
재종형
(再從兄)
형님
재종(再從)형님
아우
재종제(再從弟)
비재종형
(鄙再從兄)
영재종씨
(令再從氏)
형
재종형(再從兄)
외조부
(外祖父)
외할아버지
외할아버님
외조부주
(外祖父主)
저
외손(外孫)
저손(杵孫)
외왕부(外王父) 외조부(外祖父)
외왕존장
(外王尊丈)
외왕대장
(外王大丈)
나
여(余)
외조모
(外祖母)
외할머니
외할머님
외조모주
(外祖母主)
上同
외조모(外祖母)
외왕대부인
(外王大夫人)
나
할미
외숙
(外叔)
외숙님
외삼촌
내구주(內舅主)
저
생질(甥姪)
비외숙(鄙外叔) 비표숙(鄙表叔)
귀외숙(貴外叔)
귀표숙(貴表叔)
나
아재비
외숙모
(外叔母)
외숙모님
(外叔母님)
표숙모주
(表叔母主)
上同
비외숙모
(鄙外叔母)
비표숙모
(鄙表叔母)
귀외숙모
(貴外叔母)
귀표숙모
(貴表叔母)
나
아재미
이숙
(姨叔)
이모부(姨母父) 이숙주(姨叔主)
이질(姨姪)
비이숙(鄙姨叔)
귀이숙장
(貴姨叔丈)
구분
대상자
내가 부를 때
내가 말할 때
내가 남에게 말할 때
남이 나에게 말할 때
남에게 자신을 말할 때
이모
(姨母)
이모(姨母)님
이모주(姨母主)
이질(姨姪)
비이모(鄙姨母)
귀이모(貴姨母)
내종형
(內從兄)
내형주(內兄主)
외종제(外從弟)
비내종형
(鄙內從兄)
귀내종형
(貴內從兄)
내종제
(內從弟)
내제(內弟)
외종형(外從兄)
비내종제
(鄙內從弟)
귀내종제
(貴內從弟)
외종형
(外從兄)
표종형주
(表從兄主)
비종제(鄙從弟)
비외종형
(鄙外從兄)
귀외종형
(貴外從兄)
외종제
(外從弟)
표종제(表從弟)
내종형(內從兄)
비외종제
(鄙外從弟)
귀외종제
(貴外從弟)
족조
(族祖)
족대부(族大夫)
족손(族孫)
비족대부
(鄙族大父)
귀족대부
(貴族大父)
족숙
(族叔)
족숙주(族叔主)
족질(族姪)
비족숙(鄙族叔)
귀족숙부
(貴族叔父)
족형
(族兄)
족형주(族兄主)
족제(族弟)
비족형(鄙族兄)
귀족형주
(貴族兄主)
장인
(丈人)
장인어른
빙장어른
외구주(外舅主)
저
외생(外甥)
비빙장(鄙聘丈)
귀악장(貴岳丈)
나
여(余)
옹(翁)
장모
(丈母)
장모님
빙모님
외고주(外姑主)
上同
비빙모(鄙聘母)
존빙모부인
나
빙고(聘姑)
사위
사위
나
여(余)
빙고(聘姑)
사위
서아(서兒)
서랑(서郞)
저
외생(外甥)
※보고서 후기..
과제를 통해 처음으로 계촌법과 호칭에 대해서 알아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교수님께서 ‘계촌법’에 관해 조사해 오라고 하셨을 때 솔직히 처음 듣는 단어라 어리둥절 했었다. 결국 인터넷과 백과사전을 찾아보고 나서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었다.
나는 계촌법 이라는게 이렇게 복잡한지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일상생활에서 내가 쓰는 말을 잘 생각해보면 ‘사촌’, ‘친척’. 거의 이 두 단어 밖에 사용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누구한테 사촌이라고 해야 할지, 친척이라고 해야 할지 모르기 때문에 그냥 내가 내키는데로 부르고 있다. 나뿐만이 아니라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너무 복잡해서 ‘이렇게 촌수가 되는 구나’라고만 이해 할 수밖에..
호칭도 마찬가지였다. 한 사람을 부르는 호칭이 뭐가 그렇게 많은지 입이 벌어질 정도였다. 처음 듣는 단어도 많이 있었고, 누가 어떻게 부르느냐에 따라서도 그 호칭이 달랐다. 우리 선조들은 왜 이렇게 복잡하게 살았는지 안쓰러울 정도였다.
하지만 계촌법과 호칭은 우리나라 전통 이다. 아무리 그 내용을 알기 싫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촌수와 호칭으로 얽힐 수밖에 없는 것이다. 우리가 한국의 전통을 지켜나가야지 누가 지켜주겠는가? 솔직히 조사를 하면서 정확히 알게 된 것은 아니지만 몰랐었던 새로운 것을 알 수 있어서 자료를 찾았던 시간에 대해서는 아깝지가 않다. 계촌법과 호칭, 그 밖에 우리나라의 전통은 연구해볼만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참고문헌
http://beautyjeong.hihome.com/html/sunjo/sunjo_main.htm
-계촌법-
http://www.poori.net/chonsoo.htm
'한국민족대백과사전' 제22권
http://www.dacheon.net/chonsu00.htm
-호칭-
http://woobonglee2000.hihome.com/hoching.htm
추천자료
치과재료학 5, 6주 학습목표
초등학교 1학년과 2학년 미술과(즐거운생활) 목표, 초등학교 3학년과 4학년 미술과(미술교육)...
인사관리 5장 6장 7장 12장 15장 요약
물리실험 사례1(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 물리실험 사례2(부력), 물리실험 사례3(중력가속...
초등6)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 5.마음을 나누며 (말․듣 130-131/(5/9차시)) ...
봉신연의 5회 6회
토익스피킹(TOEIC Speaking) lv6목표/ Part5 만능답안 및 Part6 idea정리. [영어,영문]
평가인증 만5세 6월 우리동네 보육일지(보육실습일지)
채동번의 5대사역사소설 오대사통속연의 4회 5회 6회 한문 및 한글번역
[Skills for success5 UNIT6 본문해석] Skills for success 5 UNIT6 Reading1. The New Oases...
[Skills for success5 UNIT6 본문해석] Skills for success5 UNIT6 Reading2 A Path to Road ...
중국 - 내몽골 여행기 6월 29일~7월 5일 6박 7일 동안 다녀왔던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