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재료학 5, 6주 학습목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직접 수복용 심미재

직접 수복용 복합레진

본문내용

색깔의 선택은 2개 이상의 광원하에서 시행해야한다. 그중 하나는 반드시 북쪽 에서 온 자연과이야 하고 가급적 약간 구름낀 한낮에 시행하는 것이 좋다 등
직접 수복용 복합레진
(Direct Restorative Composite Resin)
실습목적 : 복합레진의 물리적 성질과 취급 방법을 익힌다.
실험결과 및 분석 고찰
※ 재료 검사
검사항목
제품 1
상품명
DenFil(TM)
제조회사
VRICOM
색상
A3
제품번호
DF302081
유통기한일
2004. 08
총무게 및 부피
4g
※ 실험결과
검사항목
실험한 상품명
소견 ( 중합정도, 표면)
2mm
4mm
광중합 10초
DenFil(TM)
덜 중합된 듯 하다 [a]
덜 중합된 듯 하다 [c]
광중합 20초
DenFil(TM)
매우 단단 [b]
단단 [d]
- 실험결과 2mm끼리 비교를 해보면 b가 a보다 중합이 더 잘되어서 매우 단단했다. 반면에 매끄러운 정도를 비교할때는 a가 b보다 더 매끄러운 결과가 나왔다. 4mm끼리 비교를 해 봤을때도 단단함 정도는 2mm때처럼 d가 c보다 더 단단했다. 또 각각의 가장자리를 비교해보니 d의 경우는 비슷하다는 결론이 나왔지만 c의 경우에는 과중합 받은 면이 더 매끄러운 결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2mm와 4mm를 비교해 봤었는데 이때 각각의 중간 부분의 미끄러운 정도를 비교해 보니 2mm의 경우에는 미끄러운 결과가 나왔고, 4mm의 경우에는 단단해서 긁히기까지 하는 결과가 나왔다.
결론 및 임상적 제안
- 실험을 해보고 결과를 분석해보니 b의 경우가 가장 단단하고 매끄러움도 덜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나는 광중합 되는 정도가 길이와 광중합을 받는 시간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실전에서 복합레진을 사용할 경우 레진에 충분한 정도의 광조사를 해 줘야 겠다는 것을 느꼈고 중합이 길이에도 영향을 받으므로 약 2mm 씩 나눠서 사용하는 적층법을 사용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참고서적
- 치과재료학 [ 고문사, 치위생과치과재료학연구회 ]
- 치과재료학 및 실습 Ⅰ,Ⅱ 지침서 [ 신구대학치위생과 치과 재료학 교재 ]
- 요점치과재료학 [ 군자출판사, 배태성 박영준 김형일 감교한 ]
- 치과재료학 [ 나래출판사, CRAIG 외 공저, 고영무 외 공역 ]
- 치과재료학 [ 한국퀸테센스출판사, Ralph W.Phillips 외 공저, 이종률 김경남 공역 ]
- 치과재료학 [ 군자출판사, 고영무 외 공역 ]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4.02
  • 저작시기200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23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