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재료학 1~3주 학습목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주 : 치과재료의 분류

2주 : 치과재료의 특성(물리적 특성, 기계적 특성)

3주 : 치과재료의 특성(기계적 특성, 생물학적 특성)

본문내용

향을 보인다.
4. 교모와 마모를 구별한다.
교합에 의해 치질과 수복물의 표면이 마모되는 것은 교모(Attrition)라고 하며, 잇솔의 오용 등으로 치질이 마멸하는 것은 마모(Abrasion)라고 한다. 마모나 교모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재료의 경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수복용 재료의 경도는 치아의 경도와 유사해야 교모를 방지할 수 있다.
5. 크립과 유동을 구별한다.
항복강도 이하의 힘을 한 번 가했을 때 재료는 영구변형이 일어나지 않지만 이와 같은 햄을 반복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가할 경우 영구변형이 일어날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크리프(Creep)라고 한다. 치과용 아말감에는 융점이 실온도다 낮은 수은이 성분으로 포함되어 있으므로 다른 금속에 비해 크리프가 큰 편이다.
재료가 완전히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또는 열가소성이 있는 재료에서는 주어진 온도에서 일정한 하중을 가하는 경우, 초기에는 재료의 변형이 없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형이 일어나는 현상을 유동(Flow) 또는 흐름성 이라고 한다. 치과용 왁스나 인상용 콤파운드, 치과용 아말감등에서 중요한 성질이다.
6. 알러지를 일으키기 쉬운 재료를 열거한다.
치과재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알러지 반응은 대부분 접촉성 알러지이다. 접촉성 알러지는 이종물질(항원, Antigen)에 의해 임파구가 감작(sensitization)되어 있을 때 다시 같은 물질(항원)이 침입하면 임파구가 과민반응을 일으켜서 점막과 치부에 염증이 생기는 현상을 말한다. 접촉성 알러지는 특정한 재료에 생기지만, 개인에 따라 발생여부와 정도에 차이가 많다. 알러지를 일으키기 쉬운 재료로는 레진의 단량체, 니켈(Nickel)이나 아연(Zinc)과 같은 금속 등이 있다. 알러지 검사는 피부감작시험을 통해 할 수 있고 가능하면 환자의 알러지 병력을 청취하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된다.
7. 독성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을 나열한다.
생명체의 생명활동을 억제하거나 더 나아가서는 사멸시키는 물질은 독성(toxicity)이 있다고 말한다. 금속의 부식생성물이 독성이 있는 대표적인 물질로서 황이나 염소 등과 결합하여 여러 가지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금속의 부식생성물 외에도 중합된 레진 내에 남아 있는 잔류 단량체 등이 독성물질이 될 수 있다.
8. 치아와 수복물의 미세누츨에 대한 영향을 설명한다.
치아와 수복물 사이에 작은 공간이 생긴 것을 미세누출(microleakage)이라 하고 이 공간을 따라 타약, 음식물 잔사와 세균 등이 침투하는 현상을 퍼콜레이션(percolation)이라고 한다. 미세누출은 치아와 수복재료간의 열팽창계수 차로 인하여 반복되는 열적 체적변화의 차이에 의해 일어나거나 재료의 경화과정 중의 수축에 의해 발생된다. 미세누출이 발생하면 수복물 변연 부위에 치아우식증이 유발되고 심한 경우에는 치수를 괴사시키기까지 하며 변색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미세누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재료의 열팽창계수를 잘 고려하여 수복재를 선택해야 하며 치아와 수복재료의 화학적 결합을 유도하는 것이 좋다.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4.02
  • 저작시기200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23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