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왕따 현상의 원인과 집단따돌림 가해학생과 피해학생의 특성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청소년 왕따 현상
2) 집단 따돌림 가해학생
3) 집단 따돌림 피해학생

본문내용

동특성 >
- 집에 돌아온 후 피곤한 듯 주저 앉는다.
- 학용품이나 소지품이 자주 없어지거나 부서져 있다.
- 예전보다 용돈을 자주달라거나 많이 요구한다.
- 손발에 상처가 있거나 옷이 찢겨 있는 일이 잦다.
- 노트나 가방에 낙서가 많다.
- 내성적이고 소심하며 초조한 기색이 보인다.
- 학교에 가길 싫어하고 학교에 늦게 가려고 한다.
- 학교를 그만 두고 싶다거나 전학 가고 싶다고 말한다.
- 다른 아이의 괴롭힘에 대한 피해를 자주 말한다.
- 머리나 배가 아프다고 호소한다.
- 자기 방에 틀어박혀 있는 시간이 많아진다.
- 친구나 선배한테 전화 오는 것을 싫어한다.
- 참고 문헌 -
전민영 (2007). 인식대상에 따른 집단따돌림 피해학생과 가해학생 간의 자아개념의 비교. 학위논문(석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김시몬 (2002). 집단 따돌림의원인. 상담과 선교(제35호). 한국상담선교연구원.
남락헌 (1995). 따돌림 당하는 아이의 행동 특성, 따돌림 하는 아이의행동 특성 「왕따리포트」. 서울 : 우리교육
박순옥 (1999). 일반아동과 지체부자유 아동간의 자아 개념 및 내외통제성과 외상관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1.08.31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91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