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복지 투자 우선지역 지원사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교육복지 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추진배경과 의의
(1) 교육복지 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추진 배경
(2) 교육복지 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의의
2. 교육복지 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내용과 기본 방향
(1) 학습 능력 증진
(2) 정서 발달을 위한 문화활동
(3) 정신 건강을 위한 심리심성 발달 지원
(4) 복지프로그램의 활성화
(5) 영유아 교육보육의 활성화 지원
3. 교육복지 투자 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주요 프로그램 모델
(1) 학습 능력 증진 프로그램
(2) 정서발달 지원 프로그램
(3) 지역사회와 연계한 문화 활동 프로그램
(4) 사업운영 모델 선정 근거와 적용 관점

Ⅱ.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대한 흥미와 학업성취가 낮은 학생들에게 개별 지원, 소집단 단위의 프로그램, 학급 단위의 프로그램 등을 적절히 제공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흥미를 갖게 하고, 스스로 공부하는 힘을 길러주는데 주안점을 두도록 하였다.
정서 발달 지원 프로그램은 교육 복지실이 중심이 되어 진행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제시하였고, 전체 학생을 위한 프로그램도 있지만, 보다 집중적이고 심층적인 지원과 배려가 필요한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학교와 가정, 지역사회를 연계하는 프로그램 운영에서는 지역사회전문가가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문화 활동은 현재 학교에서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나, 여기서는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하여 그 내용을 풍부하게 하고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 2005년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현황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대상학교 수
비고
서울
(6개)
강서구 (가양2, 3동, 등촌 3동)
9 (초6,중3)
기존
시범
지역
강서구 (방화2, 3동)
4 (초3, 중1)
노원구 (상계4동, 중계3, 4동)
5 (초3, 중2)
노원구 (월계2, 4동)
6 (초3, 중3)
강북구 (미아1, 2동, 번2, 3동)
5 (초4, 중1)
관악구 (신림6, 7, 10, 13동)
4 (초3, 중1)
부산
(3개)
북구 (덕천 1, 2, 3동)
5 (초3, 중2)
해운대구 (반송1, 2동)
7 (초4, 중3)
영도구 (동삼1, 3동)
8 (초4, 중4)
2005년
추가선정
지역
대구
(2개)
수성구 (범물1동, 지산1동, 황금1동)
4 (초3, 중1)
달서구 (신당동, 월성2동)
6 (초3, 중3)
인천
(1개)
연수구 (선학동, 연수3동)
5 (초3, 중2)
대전
(1개)
동구 (판암 1동, 판암 2동, 대동)
5 (초3, 중2)
광주
(2개)
광산구 (우산동, 월곡 2동)
4 (초2, 중2)
북구 (우산동, 문화동)
5 (초3, 중2)

(15개)
39개동
82개교
(초 10, 중 32)
기존 8개
신규 7개
Ⅲ. 결론
위에서 본 것 같이 교육은 인간다운 삶의 조건 구축을 의미하는 복지의 핵심 요소라고 했다. 하지만 우리 사회는 안정적이지 못하며, 개인적, 가정적, 지역적, 사회경제적 요인 등으로 인한 교육 소외, 교육 부적응, 교육 불평등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그리고 계층 간 소득격차의 심화, 가정의 기능 약화, 급격한 도시화 등이 초래하는 사회 통합 위기에 학교와 지역사회가 적극적으로 대처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교육문화적 조건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도시 저소득층 밀집 지역의 교육 및 문화적 기회 불평등 완화 정책 추진이 시급하다. 이로 인해 교육인적자원부가 생각해 낸 방법이 교육복지 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인데, 교육복지 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은 도시 빈곤지역에 소재하는 아동청소년의 교육문화복지 수준을 총체적으로 제고하고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가 협력하여 교육복지 증진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다. 교육인적자원부는 2003년부터 교육복지 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을 추진하였고, 지난 2년간의 시범사업에 이어 2005년에는 사업지역을 확대하여 15개 지역을 지원하고 있다.
이처럼 오늘날 아동, 청소년 교육에 필요한 교육복지 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이 확대되고 있지만, 안정적이게 자리 잡히기 위해서는 학교 내의 어른들의 노력이 필요하며, 사업의 장단점을 잘 살리고, 학교에 맞는 사업을 추진하여 적용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Ⅳ. 참고문헌
교육복지 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추진 길잡이 - 교육인적자원부
네이버 블로그 - http://blog.naver.com/
학교교육개발원 - http://kid.kedi.re.kr/

키워드

지원사업,   복지,   교육,   사업,   지역,   투자,   교육복지,   정책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11.25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84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