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렁이 키우기 실험보고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쇠똥, 활엽수 낙엽, 과일껍질(배, 사과, 포도), 요구르트, 흙, 상자, 비닐장갑
도 입
* 지난 시간에 알아 본 것을 발문
-지렁이는 사는 곳은 어떤 흙으로 되어 있을까요?-
-지렁이는 어떤 먹이를 좋아할까요?-
* 확인
지렁이가 가장 좋아하는 것은 과일류로 수박, 참외, 복숭아 등이고 채소류도 비교적 잘 먹는다. 염분이 많은 경우에는 먹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설거지 한 후 싱크대 밑의 망에 걸러진 것은 설거지물로 헹구어져 염분 농도가 씻겨 나간 상태이므로 지렁이에게 급여하면 무척 잘 먹는다.
따라서, 쇠똥, 썩은 활엽수 낙엽, 여러 가지 과일껍질(포도, 사과), 요구르트, 흙, 싱크대 밑의 음식물 쓰레기 배합하여 효소를 첨가한다.
* 학습목표 확인
- 지렁이가 잘 자라는 먹이배합을 할 수 있다.
전 개
* 활동1. 각 조별로 준비물 확인
* 활동2. 각 조별로 지렁이 먹이 만들기
- 준비해온 지렁이 먹이의 배합비율 알아보기-
- 배합비율에 주의하며 먹이 섞기-
* 활동3. 만든 먹이를 발효시킬 곳에 보관
- 발효가 잘 되는 온도 알아보기-
- 각 조의 먹이 온실에서 30일간 발효-
정 리
* 각 조의 지렁이 먹이재료, 배합비율 기록
* 지렁이 먹이배합을 하고 나서 느낀 점 발표
*차시 예고
-다음 시간에는 지렁이의 입식을 하겠습니다-
③ 지렁이 입식 시키기
주제
지렁이 입식 시키기
차시
3 / 5
학습목표
1. 지렁이 통을 만들어 봄으로, 지렁이가 살 수 있는 환경에 대해 알 수 있다.
2. 지렁이를 먹이와 함께 통 안에 입식 시켜봄으로, 지렁이의 생김새를 관찰 할 수 있다.
3. 지렁이가 환경에 미치는 긍정적인 기능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
학습자료
아동 ;반쯤 잘려진 페트병 2개, 지렁이 먹이 ,망, 고무줄, 검은 종이,
셀로판테이프, 지렁이 먹이
교사 ;스티로폼 박스 , 지렁이
도입
1.지난 시간 만든 지렁이 먹이와 지렁이 통을 만들 수 있는 여러 가지 재료를 갖고, 조별로 모이도록 지도한다. 이 때 교사는 조별로 지렁이 먹이의 발효상 태를 확인한다.
2.지렁이 먹이통을 만드는 방법과 입식 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지렁이 먹이통 만들어 입식시키는 방법;
①마개부분이 잘려진 페트병을 검은 종이로 싼다.
※먹이통 안으로 햇빛이 비추지 않도록 꼼꼼히 종이로 감싸야 함을 주의한다.
②지렁이 통 안에 준비해 놓은 지렁이와 지렁이 먹이를 넣는다.
③입구부분을 망으로 싼다.
전개
활동1: 조별로 지렁이 통을 만들어 봄으로, 지렁이가 사는 환경에 대해 알 수 있다.
*교사는 아동이 지렁이 통을 만들 때, 먹이통 안으로 햇빛이 비추지 않아야 함 을 강조하면서 지렁이의 생태에 대해 언급한다.(지렁이는 햇빛이 들지 않고 습기가 많은 곳에 살며 이는 피부호흡을 하기 때문임을 이야기한다. 또한, 통은 준비해 온 데로 2개를 만들도록 지도한다.)
활동2; 지렁이를 관찰하여 지렁이의 생김새를 알아본다.
*교사는 조별로 지렁이를 5마리씩을 나누어주고, 지렁이가 기어가는 상태나 생김새를 관찰하여 기록하도록 지도한다. 또한 조별로 나누어 준 지렁이의 크기를 측정하여 이 또한 기록하도록 지도한다.(지렁이는 몸을 움츠렸다 폈다하면서 앞으로 나아간다. 교사는 지렁이가 몸을 폈을 때 길이를 측정하도록 지도한다.)
활동3; 지렁이를 먹이와 함께 입식 시켜 보고, 지렁이가 환경에 미치는 긍정적인 기능에 대해 생각해 본다.
*교사는 지렁이가 먹이에 대한 적응 정도를 알 수 있도록 지렁이가 통 안으로 들어가는 시간을 측정하여 조별로 기록하도록 한다.
*지렁이를 모두 입식 시킨 조는 통 입구부분을 망으로 싸고, 교사가 준비한 스티로폼 상자 안에 넣도록 한다. 나머지 통 안에는 지렁이 먹이만을 담아 망으로 싸고 역시 스티로폼 상자 안에 넣어, 나중에 지렁이가 입식 된 통과 비교할 수 있도록 둔다.
*교사는 지렁이가 들어 있는 통 안에서는 어떤 변화가 있게 될지 생각해 볼 시간을 주고, 발표해보도록 한다.
*지렁이가 먹이를 먹고 배출하는 분변토의 탈취기능과 지렁이가 먹이 속을 다니면서 공기를 유통시켜 떼알구조로 만들어 줌으로, 지렁이가 든 먹이통에 어떤 변화가 있을 지 예상해 본다. 이를 통해 지렁이가 우리 환경에서 어떤 긍정적인 기능을 할지 생각해 보도록 지도한다.
정리
*지렁이가 살 수 있는 알맞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조별로, 일주일에 2~3번씩 와서 물을 넣어주고 먹이의 상태를 관찰하여, 관찰일지를 적도록 지도한다.
*다음시간에는 지렁이를 꺼내서 그 상태에 대해 관찰할 것임을 예고한다.
⑤ 지렁이의 활용 방안에 대해 알아보기
주제
지렁이의 활용 방안에 대해 알아보기
차시
5 / 5
학습 목표
1. 지렁이를 활용하기 위해 지렁이의 어떤 점을 이용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2. 지렁이의 활용 방안을 이해할 수 있다.
학습자료
실제 지렁이의 활용 사진, 실물 화상기
도입
* 전시 학습 - 지렁이를 꺼내서 관찰해 본 결과와 느낌을 상기 시킨다.
발문) 1. 흙의 냄새는 지렁이를 넣기 전과 후에 어떻게 변했나요?
2. 흙의 구조는 지렁이를 넣기 전과 후에 어떻게 변했나요?
3. 왜 그렇게 변했을까요?
* 학습목표 제시
1. 지렁이를 활용하기 위해 지렁이의 어떤 점을 이용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2. 지렁이의 활용 방안을 이해할 수 있다.
전개
* 전시간에 내어 준 “지렁이 활용방안”에 대한 과제를 조별로 발표 한다.
예시 : <1조> 유기농 작물재배
<2조> 하수 슬러지와 산업슬러지 처리
<3조>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여주 군청, 제주도 등)
<4조> 오리공법 (두엄바이오텍 시스템)
<5조> 가정에서 화분이나 텃밭에서 지렁이 활용
* 조별 발표가 끝나면 실물화상기와 인터넷을 통해 부족한 부분을 보충한다.
* 학생들의 질문을 받아 답변한다.
* 판서를 통해 지렁이 활용방안에 대한 정리를 한다.
정리
* 지렁이의 활용 방안에 대해 확인하기
발문) 1. 지렁이의 활용은 지렁이의 어떤 특징 때문에 가능한가요?
2. 여러 가지 활용 방안 중 가장 마음에 드는 것은 무엇이며
왜 그렇게 생각하나요?
* OHP를 통해 1차시부터 5차시까지의 내용을 정리한다.
* 다음 차시 예고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11.26
  • 저작시기200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87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